정보통신분야 기술사 훑어보기
· 10 min read
- 정보통신분야 기술사 훑어보기
- 정보통신분야 기술사 출제기준
- 기술사: IT경영
- 기술사: 융합 IT
- 기술사: 프로젝트관리
- 기술사: 소프트웨어 공학
- 기술사: 정보보안
- 기술사: 데이터베이스
- 기술사: 네트워크
- 기술사: 알고리즘
- 기술사: 에세이
종류
- 정보관리기술사: Professional Engineer Information Management
- 기존 정보처리기술사
- 합격률 2022 5.2% 2021 8.8% 2020 7.1%
-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Professional Engineer Computer System Application
- 기존 전자계 산조직응용기술사
- 합격률 2022 12.5% 2021 11.9% 2020 18%
- 네트워크, 클라우드, 시스템 엔지니어면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나머진 정보관리기술사로.
- 기술사법으로 관리된다.
시험 관련
출제경향
- 60%는 거의 그대로 출제, 나머지 20%는 비슷한 유형 출제
- 총 80%가 기출 변형
- 시험관이 그때 그때마다 차출되고 해당 시점에 내고 싶은 문제를 내기 때문에 범위 예상이 힘들다.
- 기술 트랜드나 IT정책을 팔로잉하고 있어야한다.
준비물
- 1.6mm 펜 4자루 이상: 큰 글씨 선호
- 파일럿, 빅 볼펜이 볼펜똥이 안나옴.
- Pilot Super Grip G
- BIC Cristal
- Dong-A AnyBall
- Zebra Tapli Clip
- 모양자: 플로우차트 그리는데 필요
출제위원
- 출제위원은 3명, 그 답안을 가지고 다른 사람 3명이 체점을 한다.
- 1교시 문제를 받자마자 교수, SI기술사, 공무원기술사일지 파악해야한다.
- 교수: 학구적 스타일
- SI기술사: 프로젝트를 해봤는데 이슈있는 스타일
- 공무원기술사: 공공, 법 스타일
- 이걸 파악해서 연관된 서브노트를 쉬는 시간에 본다.
- 평소 5년치 분석할 때에도 이런 관점에서 분석해야한다.
느낌
- 회사에서 했었던 업무들에 대한 프레임워크들을 문서로 리뷰하는 느낌이였다.
- 이 시험은 기사처럼 암기로 되는 시험이 아니다. IT기법이 왜 그렇게 발전해왔는지, 그걸로 기업의 비지니스에 IT가 어떻게 기여했는지 산업 전반을 이해해야 답을 할 수 있다.
- 라이팅 문제처럼 에세이를 써야하고, 면접을 대비하는 것처럼 나만의 답안들을 만들어야한다.
- 장기 말에서 장기를 두는 사람을 만드는 시험이랄까.. 중인 중에서는 제일 높은 관직이지 않을까..
- 사람들을 설득하는 포지션이기에 질문에 대한 답변을 말로, 손으로, 다이어그램으로 설명할 수 있게 많이 연습해야할 것 같다.
- 손으로 작성하는게 생각보다 쉽지 않다.
- 시험의 70%가 공공 분야와 관련이 있다.
- KoreaScience의 자료가 좋다.
과정
- 1,000 시간을 투자하면 얼추 합격한다고 한다. 9시간 투자시 4달, 보통 빨라야 6달이 걸린다.
- 토픽마다 컴포넌트 맵을 작성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