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정보통신분야 기술사 훑어보기

· 약 6분

종류

  • 정보관리기술사: Professional Engineer Information Management
    • 기존 정보처리기술사
    • 합격률 2022 5.2% 2021 8.8% 2020 7.1%
  •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Professional Engineer Computer System Application
    • 기존 전자계산조직응용기술사
    • 합격률 2022 12.5% 2021 11.9% 2020 18%
  • 네트워크, 클라우드, 시스템 엔지니어면 컴퓨터시스템응용기술사, 나머진 정보관리기술사로.
  • 기술사법으로 관리된다.

시험 관련

출제경향

  • 60%는 거의 그대로 출제, 나머지 20%는 비슷한 유형 출제
  • 총 80%가 기출 변형
  • 시험관이 그때 그때마다 차출되고 해당 시점에 내고 싶은 문제를 내기 때문에 범위 예상이 힘들다.
  • 기술 트랜드나 IT정책을 팔로잉하고 있어야한다.

준비물

  • 1.6mm 펜 4자루 이상: 큰 글씨 선호
  • 모양자: 플로우차트 그리는데 필요

느낌

  • 회사에서 했었던 업무들에 대한 프레임워크들을 문서로 리뷰하는 느낌이였다.
  • 이 시험은 기사처럼 암기로 되는 시험이 아니다. IT기법이 왜 그렇게 발전해왔는지, 그걸로 기업의 비지니스에 IT가 어떻게 기여했는지 산업 전반을 이해해야 답을 할 수 있다.
  • 라이팅 문제처럼 에세이를 써야하고, 면접을 대비하는 것처럼 나만의 답안들을 만들어야한다.
  • 장기 말에서 장기를 두는 사람을 만드는 시험이랄까.. 중인 중에서는 제일 높은 관직이지 않을까..
  • 사람들을 설득하는 포지션이기에 질문에 대한 답변을 말로, 손으로, 다이어그램으로 설명할 수 있게 많이 연습해야할 것 같다.
  • 손으로 작성하는게 생각보다 쉽지 않다.
  • 시험의 70%가 공공 분야와 관련이 있다.

과정

  • 1,000 시간을 투자하면 얼추 합격한다고 한다. 9시간 투자시 4달, 보통 빨라야 6달이 걸린다.
  • 토픽마다 컴포넌트 맵을 작성해야한다.
    • 정의, 필요성/목적, 배경/특징/주요 유형, 개념구성/기술구성 그림, 개념구성/기술구성 내용, 구현절차/방법론, 비교 사례/활성화/전략, 구현절차/방법론, 기대효과/발전제언
    • 토픽 이론 학습
  • 서브노트를 안 쓰고 합격한 사람은 없다.
  • 합격한 사람의 한 달 전 서브노트로 쓰는게 좋다.
  • 한 번 포맷이 머리 속에 있으면 모든 주제에 대해 해당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 아는 걸 쓰지말고 물어본 걸 써라. 이건 목차를 잘 만들어야한다.

국제기술사

  • 기술사상호인정 협정(MRA) 따라 가능하긴한데 미국은 1년간 미국 근무 경력 또는 비슷한 경력를 요구하여 실질적으로 전환하는 케이스는 드물다.
  • 국제 기술사는 컴퓨터 관련 과를 졸업해야만 인정이 가능하다.

공부방법

5W1H 개념, 배경, 특징, 방향

  1. 개념적 What: 무엇인가 핵심, 원리, 가치, 결어 (기술, 서비스, 절차 중 하나)
  2. Why: 왜 필요한가
  3. 구체적 What: 세부구성은 무엇인가 아키텍쳐, 구성도 (개념도), 구성요소 (소스, 매커니즘, 결과)
  4. How: 어떻게 구현하는가 Provider, Consumer 관점, 이전에는 뭐가 있었는지
  5. Who: 누가 찾고, 활용하는가
  6. 결론: 향후방안, 예상 이슈, 발전 방향

예시: ML

  • 개념적 What
    • 핵심
      • 기계
      • 학습
        • 지도
        • 비지도
        • 강화
      • 데이터
    • 원리: 기계가 많은 데이터를 지도, 비지도, 강화학습을 통해 학습하여
    • 가치: 사람 대신 판단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 결어: 기술
  • Why
    • 비용절감
    • 자동화
    • 편의성 (의사결정)
      • 생산성 증가
      • 품질 증가
  • 구체적 What
    • 아키텍쳐
      • 학습데이터 -> 지도/비지도/강화 -> 대시보드, 자동화도구
  • How
    • 동작원리
    • 절차
    • 적용방법
  • Who
    • 개인 Personal Assistant
    • 기업
      • 의사결정
      • 고객관리
      • 마케팅
      • 생산
    • 공공 서비스
      • 교통
      • 안전
      • 환경
  • 향후방향
    • 예상이슈
      • 편향적 판단
      • 적대적 공격
      • 검증
    • 발전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