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24 posts tagged with "정보처리"

View All Tags

소프트웨어 공학 정리

· 115 min read
  • 하드웨어를 동작시켜 사용자가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하도록하는 프로그램과 자료구조
  • 프로그램 개발, 운용, 유지보수 관련된 모든 문서와 정보를 포함
  • 상품성 : 개발된 소프트웨어는 상품화되어 판매된다.
  • 견고성 : 일부 수정으로 소프트웨어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복잡성 : 개발과정이 복잡, 비표준화
  • 순응성 : 사용자의 요구나 환경 변화에 적절히 변경
  • 비가시성 : 소프트웨어 구조는 외관으로 나타나지 않고 코드로 숨어 있다.
  • 비마모성 : 마모되거나 소멸되지 않는다.
  • 비제조성 : 하드웨어처럼 제작이 아니라 논리적인 절차에 맞게 개발
  • 비과학성 : 과학적이 아니라 조직, 인력, 시간, 절차 등 중심

분류

  • 기능에 의한 분류 : 시스템, 응용
  • 사용 분야에 의한 분류 : 프로그래밍, 문서, 통신, 분산처리, 멀티미디어, 개발, 인공지능
  • 개발 과정 성격에 따른 분류 : 프로토타입, 프로젝트 산출물, 패키지
  • 정보처리 방법에 따른 분류 : 일괄처리, 온라인, 실시간

시스템 구성요소

  • 입력 : 처리 방법, 처리할 데이터, 조건을 시스템에 투입하는 것
  • 처리 :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 방법과 조건에 따라 처리하는 것
  • 출력 : 처리된 결과를 시스템에서 산출하는 것
  • 제어 : 자료를 입력하여 출력될 때까지의 처리 과정이 올바르게 진행되는지 감독하는 것
  • 피드백 : 출력된 결과가 예정된 목표를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목표 달성을 위해 반복 처리 하는 것

위기

여러가지 원인해 의해 개발 속도가 하드웨어의 개발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소프트웨어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을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함을 의미

  • 소프트웨어의 특징에 대한 이해 부족 : 물리적이지 않고 논리적인 소프트웨어 특징을 이해하지 못함
  • 소프트웨어의 관리 부재 :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리를 소홀히 하여 효율적인 자원 통제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 프로그래밍에만 치중 : 소프트웨어 품질이나 유지보수는 고려하지 않고, 프로그래밍만 하려하므로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소프트웨어의 요구사항을 처리하지 못함
  • 개발 인력 부족과 그로 인한 인건비 상승
  • 성능 및 신뢰성 부족
  • 개발 기간 지연 및 개발 비용 증가
  • 유지보수가 어려워져 비용 증가
  • 소프트웨어의 생산성 저하
  • 소프트웨어의 품질 저하

소프트웨어 공학

  • 소프트웨어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된 학문
  • 소프트웨어의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목적
  • IEEE 정의 : 소프트웨어의 개발, 운용, 유지보수, 폐기 처분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안
  • Fairley 정의 : 지정된 비용과 기간 내의 소프트웨어를 체계적으로 생산하고 유지보수하는 데 관련된 기술적이고 관리적인 원리
  • Boehm 정의 : 과학적인 지식을 소프트웨어 설계와 제작에 응용하는 것이며 이를 개발 운용, 유지보수하는 데 필요한 문서 작성 과정
  • 제품을 단지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경제적인 방법으로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것
  • 계층화 기술을 사용한다.

계층화 기술

도구, 방법, 절차가 있다.

  • 도구 : Tool 절차와 방법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 대표적으로 CASE를 사용
  • 방법 : Method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기술적인 방법을 제공
  • 절차 : Process
    •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되는 개발 방법과 도구가 사용되는 순서
    • 계층화 기술들을 결합시켜 합리적이고 적절한 방법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유지

기본 원칙

  •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기술을 계속적으로 적용해야한다.
  • 개발된 소프트웨어 품질이 유지되도록 지속적으로 검증해야한다.
  •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사항 및 결과에 대한 명확한 기록을 유지해야한다.

발전 과정

  • 1960 : 소프트웨어 공학의 시작, 구조적 프로그래밍
  • 1970 : 구조적 분석/설계 개념 도입, 상품화
  • 1980 : 하드웨어 가격 하락
  • 1985~ : 객체지향 기술 사용, CASE 등의 활용, 재공학

품질과 생산성

품질

  • 사용자가 요구하는 대로 동작
  • 하드웨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
  • 일정 시간 내에 주어진 조건하에서 원하는 기능을 실행
  • 처리 절차에 맞게 수행되어 정확하게 결과가 산출
  • 소프트웨어의 개발, 유지보수 등이 초기 예상 비용 이내에서 수행
  • 적당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사용하기가 편리해야한다.
  •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아야한다.
  • 에러가 최소화
  • 소프트웨어 사용법, 구조의 설명, 성능, 기능이 이해하기 쉬어야한다.
  • 실행 속도가 빠르고, 기억 용량을 적게 차지해야 한다.

생산성

투입된 비용, 노력에 대한 생산량을 의미

  • 개발자의 능력
  • 원활한 의사 전달
  • 프로젝트의 복잡도와 성격
  • 기술 수준
  • 관리 기술

생명 주기

  • 소프트웨어 수명 주기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바탕
  •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정의하고 운용, 유지보수 등의 과정을 단계별로 나눈 것
  • 프로젝트 비용 산정과 개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본 골격
  • 프롲게트 진행 방향을 명확하게 파악
  • 용어 및 기술의 표준화를 가능하게 한다.
  • 프로젝트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 여러 소프트웨어 간 상호 일관성을 유지하게 한다.

단계

정의 단계, 개발단계, 유지보수 단계로 나뉨

정의 단계

  •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것인지 정의하는 단계
  • 관리자와 사용자가 가장 많이 참여하는 단계
  • 타당성 검토단계, 개발 계획단계, 요구사항 분석 단계로 나뉨

개발 단계

  • 실제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단계
  • 설계 단계 : 구조, 알고리즘, 자료구조를 작성하는 단계로 에러가 가장 많이 발생
  • 구현 단계 : 설계 단계에서 작성된 문서를 기초로 하여 코딩하고 번역하는 단계
  • 테스트 단계 : 구현된 소프트웨어에 내재되어 있는 오류를 찾아주는 단계

유지보수 단계

  • 소프트웨어를 적응 및 유지시키는 단계
  •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단계 중에서 시간과 비용이 가장 많이 든다.

정의 : 개발 계획, 요구사항 분석 설계 : 구조, 알고리즘 구현 : 코딩 테스트 : 오류 검출

생명 주기 모형

폭포수 모형

  • 소프트웨어 개발이 각 단계를 확실히 매듭짓고 그 결과를 철저히 검토하여 승인한 뒤 다음 단계로 진행
  • 이전 단계로 넘어갈 수 없는 방식
  • 가장 오래되고 가장 폭넓게 사용된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모형
  • 고전적 생명 주기 모형
  • 앞 단계가 끝나야만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 선형 순차적 모형
  • 제품의 일부가 될 매뉴얼을 작성해야 한다.
  • 타당성 검토 => 계획 => 요구 분석 => 설계 => 구현(코딩) => 테스트(검사) => 유지보수
  • 모형 적용 경험과 성공 사례가 많다.
  • 단계별 정의가 분명하고 전체 공조의 이해가 용이하다.
  • 단계별 산출물이 정확하여 개발 공정의 기준점을 잘 제시한다.
  • 개발 중 발생하는 새로운 요구나 경험을 반영하기 어려워 처음부터 사용자가 모든 요구사항을 명확하게 제시해야한다.
  • 오류 없이 다음 단계로 진행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힘들다.
  • 업무에 운용할 때 검출되지 않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프로토타입 모형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프로토타입(견본품)을 만들어 최종 결과물을 예측하는 모형
  • 시제품은 사용자와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중점을 두어 개발한다.
  • 폭포수 모형의 단점을 보완
  • 프로토타입은 요구 분석 단계에서 사용한다.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에서 유지보수가 없어지고, 개발 단계 안에서 유지 보수가 이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요구 수집 => 빠른 설계 => 프로토타입 구축 => 고객 평가 => 프로토타입 조정 => 구현
  • 요구사항을 충실히 반영하며 요구사항의 변경이 용이
  • 최종 결과물이 만들어지기 전에 의뢰자가 최종 결과물의 일부 또는 모형을 볼 수 있다.
  • 프로토타입은 의뢰자나 개발자 모두에게 공동의 참조 모델을 제공한다.
  • 미리 제작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경우 실제 소프트웨어와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 단기간 제작해야되기 때문에 비효율적 언어나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나선형 모형

  • Boehm이 제안한 것으로 폭포수와 프로토타입 모형의 장점에 위험 분석 기능을 추가한 모형
  • 여러 번의 개발 과정을 거쳐 점진적으로 완벽한 최종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
  • 점진적 모형
  •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서 발생하는 위험을 관리하고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계획 및 정의 => 위험 분석 => 공학적 개발 => 고객평가의 반복
  • Planning => Risk Analysis => Engineering => Customer Evalutation
  • 가장 현실적인 모형
  • 대규모 프로젝트나 큰 시스템에 적합하다.
  • 개발 과정이 반복되므로 누락되거나 추가된 요구사항을 추가할 수 있고, 정밀하며 유지보수가 필요 없다.
  • 위험성 평가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발견하지 못하면 문제가 발생한다.
  • 비교적 최신 기법이라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4GT 모형

  • 사용자와 개발자가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4세대 언어를 이용하여 개발자가 조사한 요구사항 명세서로부터 원시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게 해주는 모형
  • 설계 단계를 축소하고 요구 분석단계에서 코딩단계로 전환할 수 있는 비절차적 모형
  • 요구사항 수집 => 설계 전략 => 4세대 언어를 이용한 구현 => 제품화
  • 중소형 소프트웨어 개발에는 시간이 감소하지만 대규모에서는 자동화로 인해 분석 설계 단계에서 더 많은 시간이 필요

프로젝트 관리

  • 주어진 기간 내에 최소의 비용으로 사용자를 만족시키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활동
  • 소프트웨어 개발 계획을 세우고 분석, 설계, 구현 등 작업을 통제하는 것
  •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의 전 과정에 걸쳐 진행된다.

관리 대상

  • 계획관리 : 프로젝트 계획, 비용산정, 일정 계획, 조직 계획
  • 품질관리
  • 위험관리

3대 요소

  • 사람 : People 프로젝트 관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인적자원
  • 문제 : Problem 사용자 입장에서 문제를 분석하여 인식
  • 프로세스 : Process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전체적인 작업 계획 및 구조

구성 단계

  • 프로젝트 계획 수립
  • 프로젝트 가동
  • 프로젝트 통제
  • 프로젝트 종료

프로젝트 계획 수립

  • 프로젝트가 수행되기 전에 소프트웨어 개발 영역 결정, 필요한 자원, 비용, 일정 등을 예측하는 작업
  • 관리자가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프레임워크 제공
  •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 최소화
  • 계획 수립 후에는 시스템 정의서와 프로젝트 계획서가 산출
  • 프로젝트 관리자의 임무

소프트웨어 개발 영역 결정

  • 프로젝트 계획 수립의 첫 번째 업무
  • 개발될 소프트웨어의 영역을 결정
  • 주요 요소 : 처리될 데이터, 소프트웨어에 대한 기능, 성능, 제약 조건, 신뢰도, 인터페이스 등
  • 인터페이스
    • 소프트웨어에 의해 간접적으로 제어되는 장치와 소프트웨러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나 하드웨어
    • 운영체제, 서브루틴 패키지와 같이 새로운 소프트웨어에 연결되어야 하는 소프트웨어
    • 키보드나 기타 I/O 장치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사람
    • 순서적인 연산에 의해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절차

자원 추산

  •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자원을 예측하는 것
  • 인적자원, 재사용 소프트웨어자원, 환경 자원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추산

  •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비용을 예측하는 것

프로젝트 계획 수립시 고려사항

  • 프로젝트 복잡도
  • 프로젝트 규모
  • 구조적 불확실성의 정도
  • 과거 정보의 가용성
  • 위험성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추산

  • 비용을 예측하는 작업
  • 가장 어렵고 오차 발생이 심한 작업

프로젝트 비용 결정 요소

프로젝트 요소

  • 제품의 복잡도
  • 시스템의 크기
  • 요구되는 신뢰도 : 일정한 기간 내에 주어진 조건 하에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정도

자원 요소

  • 인적 자원 : 관리자, 개발자의 자질
  • 하드웨어 자원
  • 소프트웨어 자원 : 개발 지원 도구

생산성 요소

  • 개발자의 능력
  • 개발 기간 : 개발 기간이 길어질수록 개발 비용이 적어짐

비용 산정 기법

하향식

전문가 감정 기법

  • 경험이 많은 두 명 이상의 전문가에게 비용 산정 의뢰
  • 개인적이고 주관적
  • 편리하고 신속하게 비용 산정
  • 의뢰자에게 신뢰를 얻을 수 있음

델파이 기법

  • 전문가 감정 기법의 주관적 편견을 보완하기 위함
  • 많은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해 선정하는 방법
  • 한 명의 조정자와 여러 명의 전문가

상향식

프로젝트의 세부적인 작업 단위별로 비용을 산정한 후 집계하여 전체 비용을 산정하는 방법

LOC 기법

  • 원시 코드 라인수 기법
  • 소프트웨어 각 기능의 원시 코드 라인 수와 비관치, 낙관치, 기대치를 측정하여 예측치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비용을 산정하는 기법
  • 측정이 용이하고 이해하기 쉬워 가장 많이 사용된다.
  • 예측치 = (낙관치 + (4 X 기대치) + 비관치) / 6 = (a + 4m + b) / 6
  • ManMonth = 개발 기간 X 투입 인원 = LOC / 1인당 월평균 코딩량
  • 개발 비용 = ManMonth X 1인 인건비
  • 개발 기간 = ManMonth / 투입 인원
  • 생산성 = LOC / ManMonth

개발 단계별 인원수 기법

  • Effort Per Task
  • 각 기능을 구현시키는데 필요한 ManMonth를 생명 주기의 각 단계별로 산정
  • LOC보다 정확하다.

수학적 산정 기법

  • 상향식 비용 산정 기법
  • 경험적 추정 모형 = 실험적 추정 모형
  • COCOMO, Putnam, FP 모형

COCOMO 모형

  • COnstructive COst MOdel
  • Boehm이 제안
  • 원시 프로그램 규모인 LOC에 의한 비용 산정 기법
  • 개발할 소프트웨어의 규모를 예측한 후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책정되는 비용 산정 방정식에 대입하여 비용을 구한다.
  • 비용 견적의 강도 분석 및 유연성이 높아 널리 사용된다.
  • 같은 규모의 프로그램이라도 성격에 따라 비용이 다르게 산정된다.
  • 비용 산정 결과는 ManMonth로 나타낸다.

조직형

  • Organic Mode
  • 중소규모, 5만 라인 이하의 소프트웨어 개발
  • 사무처리, 업무, 과학용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합

반분리형

  • Semi-Detached Mode
  • 30만 라인 이하의 소프트웨어 개발
  • 트랜잭션 처리 시스템, 운영체제, DBMS,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등 유틸리티 개발에 적합

내장형

  • Embedded Mode
  • 30만 라인 이상의 소프트웨어 개발
  • 최대형 규모의 트랜잭션 처리 시스템, 운영체제, 신호기 제어, 미사일 유도, 실시간 처리 등 시스템 프로그램 개발에 적합

종류

  • 기본형 : Basic 소프트웨어 크기와 개발 유형만을 이용
  • 중간형 : Intermediate 기본 COCOMO를 사용하나 제품, 컴퓨터, 개발요원, 프로젝트 특성에 따라 비용을 산정한다.
  • 발전형 : Detail 개발 공정별로 보다 자세하고 정확하게 노력을 산출하여 비용을 산정하는 모형, 소프트웨어 환경과 구성요소가 사전에 정의되어 있어야하고 개발과정 후반부에 주로 적용한다.

Putnam 모형

  • Putnam이 제안
  • 생명 주기 예측 모형
  • 시간에 따른 함수로 표현되는 Rayleigh-Norden 곡선의 노력 분포도를 기초로 한다.
  • SLIM : Rayleigh-Norden 곡선과 Putnam 예측 모델을 기초로하여 개발된 자동화 추정 도구

FP 모형

  • 기능 점수 = Function Point
  • Albrecht이 제안
  •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증대시키는 요인별로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와 영향도를 합하여 기능 점수를 구한 후 비용을 산정하는 기법
  • 최근에 유용성과 간편성으로 비용 산정 기법 가운데 최선의 평가를 받고 있다.
  • ESTIMACS : FP 모형을 기초로하여 개발된 자동화 추정 도구

프로젝트 일정 계획

  • 프로젝트 프로세스를 이루는 소작업의 순서와 일정을 정하는 것
  • 소프트웨어 개발 기간의 지연을 방지하고 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진행되도록 일정을 계획
  • 계획된 일정은 프로젝트의 진행을 관리하는데 기초 자료가 된다.
  • 계획된 일정과 프로젝트의 진행도를 비교하여 차질이 있을 경우 조정할 수 있다.
  • WBS, PERT/CPM, 간트 차트가 사용된다.

사람-노력 관계

  • 소규모 개발 프로젝트에서는 한 사람이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설계, 코딩, 테스트까지 수행할 수 있다.
  • 프로젝트의 크기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해야 한다.
  • Brooks의 법칙 : 프로젝트 중 새로운 인력을 투입할 경우 작업 적응기간과 부작용으로 인해 일정이 더 지연된다.

노력 분배

  • 노력을 개발과정에 분배할 때는 40-20-40 규칙을 권장한다.
  • 분석 설계에 40, 코딩에 20, 테스트에 40

WBS

  • Work Breakdown Structure = 업무 분류 구조
  • 개발 프롲게트를 여러 개의 작은 관리 단위로 분할하여 계층적으로 기술한 업무 구조

PERT/CPM

  • 프로젝트 지연을 방지하고 계획대로 진행되게 하기 위한 일정을 계획하는 것
  • 초단시간 내 계획 완성을 위한 프로젝트 일정 방법
  • 프로젝트 개발 기간을 결정하는 임계 경로를 제공한다.
  • 통계적 모델을 적용해 개별 작업에 대한 가장 근접한 시간을 측정하는 기준이 된다.
  • 각 작업에 대한 시작 시간을 정의하여 작업들 간의 경계 시간을 계산할 수 있게 한다.
  • 가장 빠른 완료시간, 가장 늦은 완료시간, 총 자유시간을 구할 수 있다.

PERT

  •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 프로그램 평가 및 검토 기술
  • 프로젝트에 필요한 전체 작업의 상호 관계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 낙관적인 경우, 가능성이 있는경우, 비관적인 경우로 나누어 각 단계별 종료 시기를 결정하는 방법
  • 과거에 경험이 없어 소요 기간 예측이 어려운 소프트웨어에서 사용
  • 노드와 간선으로 구성되며 원 노드에는 작업을 화살표 간선에는 낙관치, 기대치, 비관치를 표시한다.
  • 결정 경로, 작업에 대한 경계시간, 작업 간의 상호관련성을 알 수 있다.
  • 작업 예측치 = (비관치 + (4 X 기대치) + 낙관치) / 6

CPM

  • Critical Path Method = 임계 경로 기법
  • 프로젝트 완성에 필요한 작업을 나열하고 작업에 필요한 소요 기간을 예측하는데 사용하는 기법
  • 노드와 간선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로 노드는 작업을, 간선은 작업사이의 전후 의존 관계를 나타낸다.
  • 원형 노드는 작업과 소요기간을 표시하고, 박스 노드는 이정표를 의미하며 예상 완료 시간을 표시한다.
  • 전 작업이 완료된 후 다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 각 작업의 순서와 의존관계, 작업의 동시성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 프로젝트 규모 추정 => 단계별 필요작업 분할 => 작업의 상호 의존 관계를 CPM 네트워크로 나타냄 => 일정 계획을 간트 차트로 나타냄

Gantt Chart

  • 간트 차트 = 시간선 = Time Line
  • 프로젝트의 각 작업들이 언제 시작하고 언제 종료되는지에 대한 작업 일정을 막대 도표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프로젝트 일정표
  • 중간 목표 미달성시 그 이유와 기간을 예측 가능
  • 사용자와의 문제점이나 예산의 초과 지출 등을 관리
  • 자원 배치와 인원 계획에 사용 가능
  •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
  • 작업 경로를 표시할 수 없다.
  • 계획의 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약하다.
  • 계획 수립 또는 수정 때 주관적 수치에 기울어지기 쉽다.
  • 이정표, 작업 일정, 작업 기간, 산출물로 구성

프로젝트 조직 구성 계획

분산형 팀 구성

  • 팀원 모두가 의사 결정에 참여하는 비이기적인 구성 방식
  • 민주주의식 팀 구성
  • 팀 구성원의 참여도와 만족도를 높이고 이직률을 낮게 한다.
  • 팀 구성원 각자가 서로의 일을 검토하고 다른 구성원이 일한 결과에 대해 같은 그룹의 일원으로 책임을 진다.
  • 여러 사람의 의사를 교류하므로 복잡하고 이해되지 않는 문제가 많은 장기 프로젝트 개발에 적합
  • 링 모양의 구조를 가진다.
  • 팀 구성 방법 중 가장 많은 의사 소통 경로를 갖는다.

중앙 집중형 팀 구성

  • 관리자가 의사 결정을 하고 그 결정에 따르는 구성 방식
  • 책임 프로그래머 팀 구성
  •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모든 권한과 책임을 한 명의 관리자에게 위임하고 기술 및 관리 지원을 위해 인력을 투입하는 형태
  • 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
  • 프로젝트의 성공은 책임 프로그래머의 능력에 달렸다.
  • 책임 프로그래머에 따라 의사 결정이 이뤄지기 때문에 의사 결정이 빠르고 의사 교환 경로를 줄일 수 있다.
  • 책임 프로그래머 : 요구 분석 및 설계, 기술적 판단, 프로그래머 작업 지시 및 배분
  • 프로그래머 : 책임 프로그래머 지시에 따른 코딩, 테스트, 디버깅, 문서 작성
  • 프로그램 사서 : 프로그램 리스트, 설계 문서, 테스트 계획 관리
  • 보조 프로그래머 : 책임 프로그래머의 업무 지원, 기술적 문제에 대한 자문, 사용자와 품질 보등 담당자 섭외, 책임 프로그래머 감독 하 분석, 설계 구현 담당

계층적 팀 구성

  • 분산형과 중앙 집중형을 혼합한 형태로 혼합형 팀 구성
  • 초급 프로그래머를 작은 그룹으로 만들어 각 그룹을 고급 프로그래머가 관리
  • 경험자와 초보자를 구별
  • 기술 인력이 관리를 담당하게 되어 좋은 기술력을 사장시킬 수 있고, 기술 인력이 업무 관리 능력을 갖춰야한다.

소프트웨어 품질 보증

품질 표준

소프트웨어의 운영적인 특성, 소프트웨어의 변경 수용능력, 새로운 환경에 대한 소프트웨어의 적응 능력에 따라 분류

운영특성

  • 정확성 : Correctness 사용자의 요구 기능 충족
  • 신뢰성 : Reliability 요구된 기능을 오류 없이 수행하는 정도
  • 효율성 : Efficiency 소프트웨어가 자원을 쓸데없이 낭비하지 않아야한다.
  • 무결성 : Integrity 허용되지 않는 사용이나 자료의 변경을 제어하는 정도
  • 사용 용이성 : Usability 소프트웨어는 적절한 UI와 문서를 가지고 있어야한다.

변경 수용 능력

  • 유지보수성 : Maintainability 변경 및 오류 사항 교정에 대한 노력을 최소화 하는 정도, 소프트웨어를 진화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 유연성 : Flexibility 소프트웨어를 얼마만큼 쉽게 수정할 수 있는가의 정도
  • 시험 역량 : Testability 프로그램을 시험할 수 있는 정도

적응 능력

  • 이식성 : Portability 다양한 하드웨어 환경에 운용이 가능하도록 쉽게 수정될 수 있는 정도
  • 재사용성 : Reusability 전체나 일부 소프트웨어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가의 정도
  • 상호 운용성 : Interoperability 다른 소프트웨어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정도

품질 보증

  • SQA = Software Quality Assurance
  • 어떠한 소프트웨어가 이미 설정된 요구사항과 일치하는가를 확인하는 데 필요한 개발 단계 전체에 걸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작업
  • 소프트웨어 개발 초기에 소프트웨어 특성과 요구사항을 철저히 파악하여 품질 목표를 설정하고, 개발 단계에서는 정형 기술 검토를 통해 품질 목표의 충족 여부를 점검하며, 개발 후에는 디버깅과 시험 과정을 거친다.

정형 기술 검토

  • FTR = Formal Technical Review
  • 가장 일반적인 검토 방법으로 소프트웨어 기술자들에 의해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품질 보증 활동
  • 검토회의, 검열 등이 있으며 회의 형태로 수행된다.
  • 검토중인 소프트웨어가 해당 요구사항과 일치하는지를 검증
  • 미리 정해진 표준에 따라 표현되는지를 확인
  • 기능과 로직에 오류가 있는지 확인
  • 소프트웨어가 균일한 방식으로 개발되도록 한다.
  • 프로젝트를 용이하게 관리하도록 한다.

정형 기술 검토 지침사항

  • 제품 검토에만 집중
  • 의제를 제한하여 진행
  • 논쟁과 반박을 제한
  • 문제 영역을 명확히 표현
  • 해결책이나 개선책에는 논하지 말라
  • 참가자의 수를 제한하고 사전 준비를 강요
  • 검토될 확률이 있는 각 제품에 대한 체크리스트 개발
  • 자원과 시간 일정을 할당
  • 모든 검토자들을 위해 훈련
  • 사전에 작성한 메모를 공유
  • 검토 과정과 결과를 재검토

정형 기술 검토 유형

Walkthrough

  • 검토 회의 = 워크스루
  • 소프트웨어 개발 각 단계에서 개최하는 기술 평가 회의
  •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와 같은 작은 단위를 검토하는 것
  • 오류의 조기 검출을 목적으로 하며 발견된 오류는 문서화
  • 검출된 오류는 회의 후에 해결
  • 3~5명이 검토에 참여해야하며 두 시간 이내
  • 검토를 위한 자료를 미리 배포하여 검토, 미리 검토하는 시간도 두 시간 이내

Inspections

  • 검열 = 심사
  • 검토 회의를 발전시킨 형태
  •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에서 산출된 결과물의 품질을 평가하며 이를 개선시키는데 사용

기타

  • 검증 : Verification 설계의 각 과정이 올바른지, 프로그램이나 하드웨어에 오류가 있는지를 검사
  • 확인 : Validation 올바른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정의, 분석이 잘 되었는지를 검사
  • 인증 : Certification 사용자 또는 전문가가 소프트웨어 품질을 공식적으로 확인
  • 소프트웨어 시험 : Test
  • 오류 수정 : Debugging

소프트웨어 신뢰성과 가용성

  • 신뢰성 : 프로그램이 주어진 환경에서 주어진 시간동안 오류 없이 작동할 확률로 측정과 예측이 가능하다.
  • 가용성 : 한 프로그램이 주어진 시점에서 요구사항에 따라 운영되는 확률

측정

  • 신뢰성 측정은 MTBF를 이용한다.
  • MTBF
    • Mean Time Between Failure
    • 평균 고장 간격
    • 수리가 가능한 시스템이 고장난 후부터 다음 고장이 날 때까지의 평균 시간
    • MTBF = MTTF + MTTR
  • MTTF
    • Mean Time To Failure
    • 평균 가동 시간 = 고장 평균 시간
    • 수리 불가능한 시스템의 사용 시점부터 고장이 발생할 때까지의 가동 시간 평균
    • MTTF = (가동중1 + 가동중2 + 가동중3 + ... + 가동중 n) / n
  • MTTR
    • Mean Time To Repair
    • 평균 수리 시간
    • 시스템 고장이 발생하여 가동하지 못한 시간들의 평균
    • MTTR = (고장중1 + 고장중2 + 고장중3 + ... + 고장중 n) / n
  • 가용성 측정
    • 시스템의 총 운용 시간 중 정상적으로 가동된 시간의 비율
    • 가용성 = 가동시간 / (가동시간 + 고장시간) = MTBF / (MTBF + MTTR)

위험 관리

  • Risk Analysis
  •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예상되는 각종 돌발 상황을 미리 예상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활동
  • 위험은 불확실성과 손실을 가지고 있는데, 위험관리로 대비한다.
  • 위험 식별 => 위험 분석 및 평가 => 위험 관리 계획 => 위험 감시 및 조치

범주

  • 프로젝트 위험 : Project Risk
  • 기술 위험 : Technical Risk
  • 비즈니스 위험 : Business Risk

종류

  • 인력 부족
  • 예산 관리
  • 일정 관리
  • 사용자 요구사항 변경 : 대표적 위험 요소

Charette가 제안한 종류

  • 알려진 위험 : 프로젝트 계획서, 기술적 환경, 정보 등에 의해 발견 될 수 있는 위험
  • 예측 가능한 위험 : 과거의 경험으로 예측 가능한 위험
  • 예측 불가능한 위험 : 사전 예측이 매우 어려운 위험

위험 분석 및 평가

  • 프로젝트에 내재한 위험 요소를 인식하고 그 영향을 분석하는 활동
  • 위험 추산(Risk Estimation) 작업을 통해 수행된다.
  • 가능한 모든 위험 요소와 영향을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반영
  • 위험표(Risk Table)을 작성하여 활용한다.

위험표

  • 위험 내용
  • 위험 범주
  • 발생 확률
  • 영향력
  • 위험 감시 및 조치

위험 감시 및 조치

  • 위험 회피 : Risk Avoidance 예상하고 회피
  • 위험 감시 : Risk Monitoring 위험 요소 징후에 대해 계속적으로 인지하는 것
  • 위험 관리 : Risk Management
  • 비상 계획 수립 : Contingency Plan 위험 회피 전략이 실패할 경우 위험에 대해 관리하고 대비책과 비상 계획을 수립한다.

소프트웨어 형상 관리

  • SCM =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 소프트웨어 변경 사항을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일련의 활동
  • 소프트웨어 변경의 원인을 알아내고 제어하며 적절이 변경되고 있는지 확인하여 담당자에게 통보하는 작업
  • 형상 관리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 단계에 적용되는 활동
  • 유지보수 단계에서도 수행
  • 형상 관리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전체 비용을 줄인다.
  • 개발 과정의 여러 방해 요인을 최소화시킨다.
  • 형상은 소프트웨어 각 개발 단계의 결과물

형상 항목

  • SCI = Software Configuration Item
  • 스시템 명세서
  •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계획서
  •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명세와 실행가능한 프로토타입
  • 예비 사용자 매뉴얼
  • 설계 명세서
  • 원시 코드 목록
  • 테스트 계획, 절차, 시험 사례, 결과
  • 운영과 설치에 필요한 매뉴얼
  • 실행 프로그램
  • DB 기술서 : 스키마, 파일 구조, 초기 내용
  • 구축된 사용자 매뉴얼
  • 유지보수 문서 : 변경 요청서, 변경 처리 보고서
  • 소프트웨어 공학을 위한 표준과 절차

관리 기능

  • 형상 식별 : 대상에게 이름과 관리 번호를 부여하고 계층(트리)구조로 구분
  • 버전 제어 : 다른 버전과의 형상 항목을 관리하려 특정 절차와 도구를 결합시키는 작업
  • 변경 제어 : 형상 항목의 변경 요구를 검토해 현재의 기준선이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조정
  • 형상 감사 : 기준선의 무결성을 평가
  • 형상 상태 보고

전통적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

  • 고전적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 = 구조적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
  • 과거의 많은 소프트웨어 개발 경험을 토대로하여 성공적으로 평가되는 소프트웨어 분석 및 설계 방법들을 집대성하여 하나의 개발 방법으로 정형화한 것

요구사항 분석

  • 소프트웨어 개발의 첫 단계
  • 개발 대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이해하고 문서화하는 활동
  • 사용자 요구의 타당성을 조사하고 비용과 일정에 대한 제약 설정
  • 사용자 요구를 정확하게 추출하여 목표를 정하고 어떤 방식으로 해결할 것인지 결정
  •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결과는 소프트웨어 설계단계에서 필요한 자료가 된다.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정확하고 일관성있게 분석하여 문서화
  • 소프트웨어 분석가에 의해 요구사항 분석이 수행

요구사항 분석작업

  • 문제 인식 : 사용자 면담, 설문조사 및 협조, 문서 검토
  • 평가와 종합 : 요구사항에 대한 정보를 평가하고 해결책 종합
  • 모델 제작 :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모델로 작성
  • 문서화와 검토 : 요구사항 분석 명세서 작성

요구사항 분석의 어려움

  • 대화 장벽 : 다이어그램 및 프로토타입 이용
  • 시스템의 복잡도 : 구조적 분석이나 객체지향 분석 이용
  • 요구의 변경 : 수정 요구와 상반된 요구들의 수용 기술 필요
  • 요구 명세화의 어려움 : 제도적인 요구 분석 기술 필요

분석가의 자질

  • 개발 경험이 많아야한다.
  • 사용자의 요구를 정확히 수용하고 환경을 이해해야한다.
  • 설계에 필요한 자료를 충분히 제공
  • 시간 배정과 계획을 빠른 시간내에 파악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컴퓨터 기술에 대한 이해
  • 고객 관점에서의 문제 파악

구조적 분석 기법

  • 자료의 흐름과 처리를 중심으로 하는 요구사항 분석 방법
  • 도형 중심의 도구를 사용하므로 분석가와 사용자 간의 대화가 용이
  • 하향식 방법을 사용해 시스템을 세분화하고 분석의 중복을 배제할 수 있다.
  • 자료흐름도, 자료사전, 소단위 명세서, 개체 관계도, 상태 전이도, 제어 명세서

구조적 분석 도구

자료 흐름도

  • DFD = Data Flow Diagram = 자료 흐름 그래프 = 버블 차트
  • 자료의 흐름 및 변환 과정과 기능을 도형 중심으로 기술하는 방법
  • 시스템 안의 프로세스와 자료 저장소 사이의 자료 흐름을 나타내는 그래프
  • 자료흐름과 처리를 중심으로하는 구조적 분석 기법
  • 자료 흐름과 기능을 자세히 표현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세분화된다.
  • 자료는 처리(프로세스)를 거쳐 변환될 때마다 새로운 이름이 부여된다.
  • 처리는 입력 자료가 발생하면 기능을 수행한 후 출력 자료를 산출한다.
  • 자료 흐름도를 세분화 할 수 록 소프트웨어 설계와 구현작업이 용이해진다.

자료흐름도

자료 흐름도 구성요소

  • 프로세스
    • 자료를 변환시키는 시스템의 한 부분을 나타낸다.
    • 처리 = 기능 = 변환 = 버블
    • 원이나 둥근 사각형으로 표시하고 안에 프로세스 이름을 적는다.
  • 자료 흐름
    • Data Flow
    • 자료의 흐름이나 연관관계를 나타낸다.
    • 화살표 위에 자료의 이름을 적는다.
  • 자료 저장소
    • Data Store
    • 시스템에서의 자료 저장소를 나타낸다.
    • 파일, 데이터베이스
    • 도형 안에 자료 저장소 이름을 적는다.
  • 단말
    • Terminator
    • 시스템과 교신하는 외부 개체
    • 입력 데이터가 만들어지고 출력 데이터를 받는다.
    • 정보의 생산자와 소비자
    • 도형 안에 이름을 적는다.

자료 사전

  • DD = Data Dictionary = 데이터의 데이터 = Meta Data
  • 자료 흐름도에 있는 자료를 더 자세히 정의하고 기록한 것
  •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

자료 사전 기호

  • = : 자료의 정의 is composed of
    • : 자료의 연결 and
  • ( ) : 자료의 생략 optional
  • [ | ] : 자료의 선택 or
  • : 자료의 반복 Iteration of
  • * * : 자료의 설명 comment

소단위 명세서

  • Mini Specification = 프로세스 명세서
  • 세분화된 자료 흐름도에서 최하위 단계 프로세스의 처리 절차를 기술한 것
  • 분석가의 문서
  • 자료 흐름도를 지원하기 위해 작성
  • 서술 문장, 구조적언어, 의사결정나무, 의사 결정표, 그래프 등을 이용해 기술

개체 관계도

  • ERD = Entity Relationship Diagram
  •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개체와 개체의 구성과 속성, 개체 간의 관계를 표현하여 자료를 모델화하는 데에 사용
  • Entity, Attribute, Relationship으로 구성

상태 전이도

  • STD = State Transition Diagram
  • 시스템에 어떤 일이 발생할 경우 시스템의 상태와 상태 간의 전이를 모델화한 것
  • 상태 전이도를 통해 개발자는 시스템의 행위를 정의할 수 있다.

CASE

요구사항 분석을 위한 자동화 도구

  • SADT : Structured Analysis and Design Technique
  • SREM : Software Requirements Engineering Methodology = RSL/REVS
  • PSL/PSA : Problem Statement Language / Problem Statement Analyzer
  • TAGS : Technology for Automated Generation of Systems

HIPO

  • Hierarchy Input Process Output
  • 시스템의 분석 및 설계나 문서화할 때 사용되는 기법
  • 기본 시스템 모델은 입력, 처리, 출력으로 구성
  • 하향식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문서화 도구
  • 기호, 도표 등을 사용하므로 이해하기 쉽다.
  • 기능과 자료의 의존 관계를 동시에 표현할 수 있다.
  • 변경, 유지보수가 쉽다.

HIPO Chart

  • 시스템의 기능을 여러 개의 고유 모듈로 분할하여 이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계층 구조로 표현한 것
  • 가시적 도표, 총체적 도표, 세부적 도표가 있다.

가시적 도표

  • 도식 목차 = Visual Table of Contents
  • 시스템 전체적인 기능과 흐름을 보여주는 트리 구조도

총체적 도표

  • 총괄 도표 = 개요 도표 = Overview Diagram
  •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능을 기술한 것
  • 입력, 출력, 처리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

세부적 도표

  • 상세 도표 = Detail Diagram
  • 총체적 도표에 표시된 기능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들을 상세히 기술하는 도표

설계

  • 구조적 분석 기법의 결과물인 자료 흐름도 등으로 소프트웨어 기능과 프로그램 구조, 모듈 설계 전략, 평가 지침, 문서화 도구를 제공하는 체계화된 기법
  • 자료 흐름 중심 설계 기법
  • 자료 흐름도, 자료 사전, 개체 관계도, 소단위 명세서가 준비된 이후에 설계

설계 모형

  • 데이터 설계, 구조 설계, 인터페이스 설계, 프로시저 설계로 구성된다.
  • 소프트웨어 품질 평가를 위한 지침

데이터 설계

  • Data Design
  •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를 소프트웨어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자료 구조로 변환하는 것
  • ERD를 이요하여 정의된 개체와 관계, 자료 사전에 정의된 자료의 설명 등이 데이터 설계의 기초가 된다.

구조 설계

  • Architectural Design
  •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모듈 간의 관계와 프로그램 구조를 정의하는 것
  • DFD, DD, STD 등과 모듈의 상호 작용이 구조 설계의 기초가 된다.

인터페이스 설계

  • Interface Design
  • 소프트웨어와 상호 작용하는 시스템, 사용자 등과 어떻게 통신하는지를 기술하는 것
  • DFD 등이 인터페이스 설계의 기초가 된다.

프로시저 설계

  • 절차 설계
  • 모듈이 수행할 기능을 절차적 기술로 바꾸는 것
  • 소단위 명세서, 상태 전이도의 정보가 절차 설계의 기초가 된다.

기타 분류

  • 사용자적 관점
    • 내부 설계 : 시스템 내부 조직과 세부 절차를 개념화하고 명세화
    • 외부 설계 : 시스템 외부 특성 명세화
  • 관리적 관점
    • 기본 설계 :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생성된 정보를 자료 구조와 소프트웨어 구조로 변경
    • 상세 설계 : 기본 설계 사항을 구체적인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으로 표현

설계 기본 원리

모듈화

  • Modularity
  • 소프트웨어를 모듈 단위로 나누는 것

추상화

  • Abstraction = 개념화
  • 문제의 세부 사항을 먼저 설계하기 보다는 전체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을 설계한 후 차례로 세분화하여 구체화시켜 나가는 설계 방법
  • 기능 추상화 : 입력 자료를 출력 자료로 변환하는 과정을 추상화하는 방법
  • 제어 추상화 : 제어의 정확한 메커니즘을 정의하지 않고 원하는 효과를 정하는 데 이용하는 방법
  • 자료 추상화 : 자료와 자료에 적용될 수 있는 기능을 함께 정의함으로써 자료 객체를 구성하는 방법

단계적 정제

  • Stepwise Refinement
  • 문제를 사윙의 중요 개념으로부터 하위의 개념으로 구체화시키는 분할 기법

정보 은닉

  • Information Hiding
  • 한 모듈 내부에 포함된 절차와 자료들의 정보가 감추어져 다른 모듈이 접근하거나 변경하지 못하도록 하는 기법
  • 모듈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하나의 모듈이 변경되더라도 다른 모듈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수정, 시험, 유지보수가 쉽다.

프로그램 구조

  • Program Structure = 제어 계층 구조
  • 모듈의 계층적 구성을 나타내는 것
  • 일반적으로 트리 구조의 다이어그램으로 표기
  • 공유도 : Fan - In 어떤 모듈을 제어(호출)하는 모듈의 수
  • 제어도 : Fan - Out 어떤 모듈에 의해 제어(호출)되는 모듈의 수

자료 구조

  • 자료 사이의 논리적인 관계를 표현한 것

좋은 설계

  •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야한다.
  • 독립적인 기능적 특성을 가진 요소(모듈)로 구성되어야 한다.
  • 특정 기능 또는 부기능을 수행하는 논리적 요소들로 분리되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 모듈 간의 효과적인 제어를 위해 설계에서 계층적 자료조직이 제시되어야 한다.
  • 자료와 프로시저에 대한 분명하고 분리된 표현을 포함해야 한다.
  • 모듈 간과 외부 개체 간의 연결 복잡성을 줄이는 인터페이스를 가져야 한다.
  • 요구사항 분석에서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요구사항을 모두 구현해야 하고, 유지보수가 쉬워야한다.
  • 모듈의 기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정의한다.
  • 적당한 모듈의 크기를 유지한다.
  • 모듈 간의 결합도는 낮추고 응집도는 높인다.
  • 전체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을 설계한 후 차례대로 세분화하여 구체화시켜 나간다.
  • 이식성을 고려한다.

모듈

  • 모듈화 : 소프트웨어를 각 기능별로 분할하는 것
  • 모듈 : 각 기능별로 분할한 것

기능적 독립성

  • 모듈의 기능적 독립성은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기능이 독립됨을 의미
  • 모듈화, 추상화, 정보 은닉의 부산물
  • 모듈이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하고 다른 모듈과의 과도한 상호작용을 배제
  • 독립된 모듈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 모듈과는 간단한 인터페이스만을 가지므로 개발이 쉽고 재사용이 가능
  • 독립성이 높은 모듈일 수록 모듈을 수정하더라도 다른 모듈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오류가 발생해도 쉽게 발견할 수 있고 해결 가능
  • 결합도와 응집도에 의해 측정되며 결합도는 약하게, 응집도를 강하게 하고 모듈의 크기를 작게 만들어야한다.
  • 결합도와 응집도는 소프트웨어 설계시 평가 지침이 된다.

결합도

  • Coupling
  • 모듈 간에 상호 의존하는 정도
  • 각 모듈 간의 결합도가 약해야 하며 의존하는 모듈이 적어야한다.
  • 결합도가 강하면 시스템 구현 및 유지보수 작업이 어렵다.

결합 정도

약함강함
자료 결합도스탬프 결합도제어 결합도외부 결합도공통 결합도내용 결합도

자료 결합도

  • Data Coupling
  •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가 자료 요소로만 구성될 때의 결합도
  • 모듈이 다른 모듈을 호출하면서 매개 변수나 인수로 데이터를 넘겨주고, 호출받은 모듈은 받은 데이터에 대한 처리 결과를 다시 돌려주는 것
  • 모듈 간의 내용을 전혀 알 필요가 없는 상태로 한 모듈의 내용을 변경하더라도 다른 모듈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가장 좋은 결합도

스탬프 결합도

  • Stamp Coupling = 검인 결합도
  • 모듈 간의 인터페이스로 배열이나 레코드 등의 자료구조가 전달될 때의 결합도
  • 두 모듈이 동일한 자료 구조를 조회하는 경우의 결합도

제어 결합도

  • Control Coupling
  • 모듈이 다른 모듈 내부의 논리적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거나 제어 요소를 전달하는 결합도
  • 상위 모듈이 하위 모듈의 상세한 처리 절차를 알고 있어 이를 통제하는 경우나 처리 기능이 두 모듈에 분리되어 설계된 경우 발생
  • 권리 전도현상이 발생

외부 결합도

  • External Coupling
  • 모듈에서 외부로 선언한 데이터(변수)를 다른 모듈에서 참조할 때의 결합도

공통 결합도

  • Common Coupling = 공유 결합도
  • 공유되는 공통 데이터 영역을 여러 모듈이 사용할 때의 결합도
  • 공통 데이터 영역이 내용을 변경하면 이를 사용하는 모든 모듈에 영향을 미친다.

내용 결합도

  • Content Coupling
  • 모듈이 다른 모듈의 내부 기능 및 그 내부 자료를 직접 참조하거나 수정할 때의 결합도
  • 모듈에서 다른 모듈로 제어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내용 결합도

응집도

  • Cohesion
  • 정보 은닉 개념을 확장한 것
  • 명령어나 호출문 등 모듈의 내부 요소들의 서로 관련되어 있는 정도
  • 모듈이 독립적인 기능으로 정의되어 있는 정도
  • 독립적인 모듈이 되기 위해서는 각 모듈의 응집도가 강해야한다.

응집 정도

강함약함
기능적 응집도순차적 응집도교환적 응집도절차적 응집도시간적 응집도논리적 응집도우연적 응집도

기능적 응집도

  • Functional Cohesion
  • 모듈 내부의 모든 기능 요소들이 단일 문제와 연관되어 수행될 경우

순차적 응집도

  • Sequential Cohesion
  • 모듈 내 하나의 활동으로부터 나온 출력 데이터를 그 다음 활동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할 경우의 응집도

교환적 응집도

  • Communication Cohesion = 통신적 응집도
  • 동일한 입력과 출력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들이 모였을 경우의 응집도

절차적 응집도

  • Procedural Cohesion
  • 모듈이 다수의 관련 기능을 가질 때 모듈 안의 구성요소들이 그 기능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경우의 응집도

시간적 응집도

  • Temporal Cohesion
  • 특정 시간에 처리되는 몇 개의 기능을 모아 하나의 모듈로 작성할 경우의 응집도

논리적 응집도

  • Logical Cohesion
  • 유사한 성격을 갖거나 특정 형태로 분류되는 처리 요소들로 하나의 모듈이 형성되는 경우의 응집도

우연적 응집도

  • Coincidental Cohesion
  • 모듈 내부의 각 구성 요소들이 서로 관련 없는 요소로만 구성된 경우의 응집도

효과적인 모듈 설계

  • 결합도는 줄이고 응집도는 높여 모듈의 독립성을 높인다.
  • 모듈의 제어영역에서 모듈의 영향영역을 유지시킨다.
  • 복잡도와 중복성을 줄이고 일관성을 유지시킨다.
  • 모듈의 기능은 예측이 가능해야한다.
  • 유지보수가 쉬어야한다.
  • 모듈 크기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과 구조를 이해하기 쉬운 크기로 분해한다.
  • 하나의 입구와 하나의 출구를 갖도록 한다.

설계 방법

자료설계

  • 설계의 첫번째 작업
  • 요구사항 분석에서 생성된 여러 모델들을 소프트웨어를 구현하는 데 필욯나 자료 구조로 변환하는 것

구조 설계

  • 프로그램 구조를 개발하고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것
  • 구조 도표 : 소프트웨어 기능을 몇 개의 고유 기능으로 분할하여 블랙 박스로 나타내고 블랙 박스 간의 인터페이스를 계층 구조로 표현하는 것
  • 변환 분해 접근법 : DFD를 흐름에 따라 구분하여 프로그램 구조 도표로 변환시키는 방법
  • 거래 분해 접근법 : DFD에서 거래에 해당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자료 흐름도를 거래 중심 구조 도표로 변환하는 방법

구조적 설계 절차

  1. 정보 흐름의 유형을 설정
  2. 흐름의 경계를 표시
  3. 자료 흐름도를 프로그램 구조로 사상
  4. 제어 계층을 분해시켜서 정의
  5. 경험적 방법으로 구체화

인터페이스 설계

소프트웨어 상호 작용하는 시스템, 사용자 등과 어떻게 통신하는지를 기술하는 과정

인터페이스 경고 메세지 지침

  • 메세지 내용을 이해하기 쉬어야한다.
  • 오류 회복을 위한 구체적인 설명이 제공되어야 한다.
  • 소리나 색을 이용해 듣거나 보기 쉽도록 의미를 전달해야 한다.
  • 오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부정적 내용은 절대 사용하면 안 된다.

UI 평가 기준

  •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쉽게 배울 수 있고, 특정 기능 수행 속도가 빨라야한다.
  • 사용중 오류 발생 빈도가 적어야한다.
  •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만족을 충족시켜야 한다.
  •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쉽게 기억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프로시저 설계

  • 절차 설계는 데이터, 아키텍쳐, 인터페이스 설계가 이뤄진 후 수행되는 설계 작업
  • 모듈이 수행할 기능을 절차적 기술로 바꾸는 것
  • 코드에 가까운 추상화 수준의 모듈 명세서를 작성하는 것
  • 그래픽 설계 표기법이나 프로그램 설계 언어 등을 사용해서 나타낸다.

흐름도

  • 그래픽 설계 표기법
  • Flowchart

N-S 차트

NS Chart

  • Nassi-Schneiderman Chart = 박스 다이어그램 = Chapin Chart
  • 그래픽 설계 표기법
  • 논리의 기술에 중점을 둔 도형을 이용한 표현 방법
  • 박스를 기본 요소로 하여 연속, 선택 및 다중 선택, 반복 등의 제어 논리 구조를 표현
  • GOTO나 화살표를 사용하지 않는다.
  • 조건이 복합되어 있는 곳의 처리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식별하는 데 적합하다.
  • 선택과 반복 구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 이해하기 쉽고, 코드 변환이 용이하다.
  • 읽기는 쉽지만 작성하기가 어렵다.
  • 임의로 제어를 전이하는 게 불가능하다.
  • 총체적인 구조 표현과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기가 어렵다.
  • 단일 입구와 단일 출구로 표현한다.

프로그램 설계 언어

  • PDL = Program Design Language = 의사 코드 = Pseudo Code = 구조적 영어
  • 영어 단어를 이요해 구조적 프로그래밍의 제어 구조를 기술하는 것
  • 하향식 접근 방식으로 논리의 전체 흐름을 표현한다.
  • 사용자와의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한다.
  • 현재 프로그래밍 언어와 유사한 서술적 표현에 의해 프로그램, 설계, 시스템 검토, 문서화 기법에 사용된다.

자료 구조 중심 설계

  • 자료 구조 중심 분석 기법에서 생성한 요구사항 분석 명세서를 토대로 입력과 출력 자료 구조로부터 프로그램의 구조와 세부 절차를 도출해 내는 방법
  • Jackson의 JSD, Warnier-Orr의 DSSD

구현

  • 설계 단계에서 생성된 설계 명세서를 컴퓨터가 알 수 있는 모습으로 변환하는 과정
  • 프로그래밍 = 코딩
  • 각 모듈을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원시 코드로 작성하고 문서화하는 작업
  • 설계를 철저히 반영시키고 원시 코드를 간단 명료하게 작성한다.
  • 사용할 프로그램이 언어와 코딩 스타일 등을 결정해야한다.

프로그래밍 언어

  • 1세대 : 기계어, 어셈블리어
  • 2세대 : FORTRAN, ALGOL, COBOL, BASIC
  • 3세대 : PL/1, PASCAL, C, Lisp, C++
  • 4세대 : 비절차적 언어, 자연언어, 사용자 중심언어, 응용 프로그램 생성기 언어, 프로토타입 언어, SQL, 정보 검색어, 보고서 작성기

구조적 프로그래밍

  • Dijkstra에 의해 제안
  • 신뢰성 있는 소프트웨어의 생산과 코딩의 표준화 등을 위해 개발
  • 순차, 선택, 반복 (Sequence, Selection, Iteration)

검사

Test

검사 사례 설계 고려사항

  • 모듈 내의 모든 독립적인 경로가 적어도 한 번은 수행되어야 한다.
  • 가능한 복잡한 논리는 배제한다.
  • 임의의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내부 자료 구조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한다.

화이트 박스 테스트

  • 모듈의 원시 코드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원시 코드의 논리적인 모든 경로를 검사하여 검사 사례를 설계하는 방법
  • 설계된 절차에 초점을 둔 구조적 테스트
  • 프로시저 설계의 제어 구조를 사용하여 검사 사례를 설계한다.
  • 테스트 초기에 적용된다.
  • 모듈 안 작동을 직접 관찰한다.
  • 원시 코드의 모든 문장을 한 번 이상 수행한다.
  • 논리 흐름도, 루프 구조, 순환 복잡도에 관한 오류를 찾을 수 있다.
  • 기초 경로 검사, 제어 구조 검사 (조건 검사, 루프 검사, 데이터 흐름 검사)

기초 경로 검사

  • Basic Path Testing
  • Tom McCabe가 제안
  • 대표적인 화이트 박스 테스트
  • 절차
    1. 흐름도 작성
    2. 논리적 복잡도 측정
    3. 독립 경로들의 기초 집합 결정
    4. 기초 집합의 각 경로를 실행시키는 검사 사례 선정
  • 제어 흐름도
    • 제어 흐름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그래프
    • 프로그램 그래프 = 흐름 그래프
    • 노드(원) : 절차적 명령문
    • 화살표 : 제어의 흐름
    • 영역 : 화살표와 노드로 둘러싸인 구역, 외부 구역도 하나의 영역에 포함된다.
  • 순환 복잡도
    • 한 프로그램의 논리적인 복잡도를 측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척도
    • 제어 흐름도 이론에 기초를 둔다.
    • 순환 복잡도는 제어 흐름도의 영역 수와 일치하므로 영역 수를 계산한다.
    • 순환복잡도 = 화살표 수 - 노드 수 + 2

제어 구조 검사

  • 조건 검사
    • Condition Testing
    • 모듈 내에 있는 논리적 조건을 검사하는 검사 사례 설계 기법
  • 루프 검사
    • Loop Testing
    • 반복 구조에 초점을 맞춰 실시하는 검사 사례 설계 기법
    • 초기화 오류, 인덱싱 증가 오류, 경계값 오류 등을 발견할 수 있다.
  • 데이터 흐름 검사
    • Data Flow Testing
    • 변수의 정의와 변수 사용의 위치에 초점을 맞춰 실시하는 검사 사례 설계 기법

블랙 박스 테스트

  • 소프트웨어가 수행할 특정 기능을 알기 위해 각 기능이 완전히 작동되는 것을 입증하는 검사
  • 기능 검사
  •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에서 실시되는 검사
  • 테스트 과정 후반부에 적용
  • 적합한 입력에 대한 출력의 정확성을 점검
  • 동치 분할 검사, 경계값 분석, 원인효과 그래프 검사, 오류 예측 검사, 비교 검사

동치 분할 검사

  • Equivalence Partitioning Testing = 동등 분할 기법
  • 입력 자료에 초점을 맞춰 검사 사례를 만들고 검사하는 방법
  • 입력 조건에 타당한 입력 자료와 그렇지 않는 입력 자료의 개수를 균등하게 하여 검사 사례를 정하고, 해당 입력 자료에 맞는 결과가 출력되는지 확인하는 방법

경계값 분석

  • Boundary Value Analysis
  • 입력 자료에만 치중한 동치 분할 기법을 보완하기 위한 기법
  • 입력 조건의 중간 값보다 경계값에서 오류가 발생될 확률이 높다는 점을 이용
  • 입력 조건의 경계값을 검사 사례로 선정

원인효과 그래프 검사

  • Cause-Effect Graphing Testing
  • 입력 데이터 간의 관계와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효용성이 높은 검사 사례를 선정하여 검사하는 기법
  • 그래프로 표현한다.

오류 예측 검사

  • Fault Based Testing = Mutation Testing = 데이터 확인 검사
  • 과거의 경험이나 확인자의 감각으로 검사하는 기법
  • 보충적 검사 기법

비교 검사

  • Comparison Testing
  • 여러 버전의 프로그램에 동일한 검사 자료를 제공해 동일한 결과가 출력되는지 검사하는 기법

검사 전략

  • 설계된 검사 사례를 수행하는 것
  • 단위 검사 : 프로그램의 기본 단위인 모듈 수준에서 시작
  • 통합 검사 : 단위 검사 후 모듈을 결합하여 전체 시스템에 대해 검사
  • 검증 검사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가를 검사
  • 시스템 검사 :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컴퓨터 시스템에서 완벽하게 수행되는지를 검사

단위 검사

  • Unit Test
  • 코딩이 이뤄진 후 모듈에 초점을 맞춰 검사하는 것
  • 화이트 박스 테스트 기법을 사용
  • 인터페이스, 외부적 I/O, 자료구조, 독립적 기초 경로, 오류 처리경로, 경계 조건 등을 검사

통합 검사

  • Integration Test
  • 단위 검사가 완료된 모듈을 결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완성시키는 과정에서의 검사
  • 모듈 간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오류를 밝히기 위한 검사 기법

비점진적 통합 방식

  • 단계적으로 통합하는 절차 없이 모든 모듈이 미리 결합되어 프로그램 전체를 검사하는 방법
  • 전체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하므로 오류 발견이 힘들고 수정이 어렵다.

점진적 통합 방식

  • 모듈 단위로 단계적으로 통합하면서 검사하는 방식
  • 하향식, 상향식, 혼합식 통합 방식이 있다.
  • 오류 수정이 용이하고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오류를 완전히 검사할 가능성이 높다.

하향식 통합 검사

  • Top Down Integration Test
  • 프로그램 상위 모듈에서 하위 모듈 방향으로 통합하면서 검사
  • 주요 제어 모듈을 드라이버로 사용하고, 주요 제어 모듈의 종속 모듈들은 스터브로 대체한다.
  • 스터브 : 일시적으로 필요한 조건만을 가지고 임시로 제공되는 시험용 모듈
  • 스터브 사용 이유 : 상위 모듈은 하위 모듈이 모두 결합되어야 정상적으로 검사될 수 있으므로 스터브를 사용해서 검사한다.

상향식 통합 검사

  • Bottom Up Integration Test

  • 프로그램 하위 모듈에서 상위 모듈 방향으로 통합하면서 검사

  • 순서

    1. 하위 모듈을 클러스터로 결합
    2. 검사 사례 입출력을 조정하기 위해 드라이버를 작성
    3. 클러스터 검사
    4. 드라이버를 제거하고 클러스터는 프로그램 구조의 상위로 이동하여 결합

혼합식 통합 검사

  • 하위 수준에서는 상향식 통합, 상위 수준에서는 하향식 통합을 사용해 쵲거의 검사를 지원하는 방식
  • 샌드위치식 통합 검사 방법

검증 검사

  • Validation Test = 확인 검사 = 인수 검사
  •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가를 중점으로 검사
  • 블랙 박스 테스트를 이용하여 진행
  • 형상 검사, 알파 검사, 베타 검사 등이 있다.

형상 검사

  • 구성 검토 = 감사
  •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목록, 유지보수를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사항들이 제대로 표현되었는지를 검사

알파 검사

  • 개발자의 장소에서 사용자가 개발자 앞에서 행하는 검사 기법
  • 통제된 환경에서 행해지며 오류를 사용자와 개발자가 함께 확인하면서 기록한다.

베타 검사

  • 선정된 최종 사용자가 여러 명의 사용자 앞에서 행하는 검사 기법
  • 실업무를 가지고 사용자가 직접 시험하는 것
  • 개발자에 의해 제어되지 않은 상태에서 검사가 행해지며, 오류는 기록 후 개발자에게 주기적으로 보고한다.

시스템 검사

  • 개발된 소프트웨어가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서 완벽하게 수행되는가를 검사
  • 복구 검사, 보안 검사, 강도 검사, 성능 검사
  • 복구 검사 : 실패 후 올바르게 복구되는가
  • 보안 검사 : 침투로부터 시스템이 보호되는가
  • 강도 검사 : 비정상적인 양, 빈도로 호출시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가
  • 성능 검사 : 소프트웨어 실시간 성능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 단계 전 과정에 걸쳐 수행

디버깅

  • 검사사례에 의해 오류를 찾은 후 그 오류를 수정하는 과정
  • 검사기법은 아니다.
  • 맹목적 강요 : 가장 비효율적 방법
  • 역추적 : Backtracking 오류가 발견된 위치에서 원인이 발견될 때까지의 코딩 부분을 거슬러 수정하는 일반적인 방법
  • 원인 제거 : Cause Elimination 오류 가능성이 있는 원인을 제거해 버그를 분리

단위 검사 : 코드 통합 검사 : 설계 검증 검사 : 요구사항

유지보수

  •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 중 가장 많은 노력과 비용이 투입되는 단계
  • 시험 용이성, 이해성, 수정 용이성, 이식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 수리 보수, 적응 보수, 완전화 보수, 예방 보수 활동으로 구분된다.

수정 보수

  • Corrective
  •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검사 단계에서 발견핟지 못한 잠재적인 오류를 찾아 수정하는 활동
  • 오류의 수정과 진단을 포함한다.

적응 보수

  • Adaptive = 환경 적응 = 조정 보수
  • 소프트웨어 수명 기간 중 발생하는 환경의 변화(하드웨어, OS)를 기존 소프트웨어에 반영하기 위해 수행하는 활동
  • 프로그래밍 환경의 변화 또는 주변장치, 시스템 요소의 업그레이드시 대처할 수 있는 유지보수 활동

완전화 보수

  • Perfective = 기능 개선 = 기능 보수
  • 소프트웨어 본래 기능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확장시키는 활동
  • 유지보수 활동 중 가장 큰 업무 및 비용을 차지한다.

예방 보수

  • Preventive = 소프트웨어 재공학
  • 소프트웨어의 오류 발생에 대비하여 미리 예방 수단을 강구하는 활동

유지보수 과정

  1. 유지보수 요구
  2. 현 시스템에 대한 이해
  3. 수정 및 시험

유지보수 비용

  •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요한 비중 중 약 70%
  • Belady, Lehman에 의해 제안된 공식으로 구한다.

image from hexo

유지보수 부작용

  • 코딩 부작용 : 코딩 내용 변경으로 발생
  • 자료 부작용 : 자료나 자료 구조의 변경으로 발생
  • 문서화 부작용 : 자료 코드에 대한 변경이 설계문서나 사용자 매뉴얼에 반영되지 않을 때 발생

외계인 코드

  • Alien Code
  • 아주 오래 전에 개발되어 유지보수 작업이 매우 어려운 프로그램
  • 일반적으로 15년이 더 된 프로그램
  • 문서화로 방지할 수 있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공학

  • 현실 세계의 개체를 기계의 부품처럼 하나의 객체로 만들어 부품을 조립하여 제품을 만들 듯이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에도 객체들을 조립해서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
  • 구조적 기법의 문제점 해결
  • 소프트웨어 재사용 및 확장을 용이하게 해서 빠르게 개발이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쉽다.
  • 복잡한 구조를 단계적, 계층적으로 표현한다.
  •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병령 처리를 지원한다.
  • 현실 세계를 모형화하여 사용자와 개발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객체

  • Object
  • 데이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함수를 묶어 놓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
  • 데이터
    • 객체가 가지고 있는 정보로 속성이나 상태, 분류를 나타낸다.
    • 속성 = Attribute = 상태 = 변수 = 상수 = 자료 구조
  • 함수
    • 객체가 수행하는 기능으로 객체가 갖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알고리즘
    • 객체의 상태를 참조하거나 변경하는 수단이 되는 것
    • 메소드 = 서비스 = 동작 = 연산
    • 기존 구조적 기법에서의 함수, 프로시저에 해당하는 연산 기능
  • 객체는 상태와행위를 가지고 있다.
  • 다른 객체와 구별될 수 있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 일정한 기억 장소를 가지고 있다.
  • 객체의 메소드는 다른 객체로부터 메세지를 받을 때 수행하게 된다.

클래스

  • 공통된 속성과 연산을 갖는 객체의 집합
  • 객체의 일반적인 타입을 의미
  • 각각의 객체들이 갖는 속성과 연산을 정의하고 있는 틀
  • 인스턴스 : 클래스에 속한 각각의 객체
  • 인스턴스화 : 클래스로부터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는 것
  • 최상위 클래스는 상위 클래스를 갖지 않는 유일한 클래스
  • 슈퍼클래스는 특정 클래스의 상위 클래스
  • 서브클래스는 특정 클래스의 하위 클래스

메세지

  • 객체들 간에 상호작용을 하는 데 사용되는 수단
  • 객체에게 어떤 행위를 하도록 지시하는 명령 또는 요구사항
  • 메세지를 받은 수신 객체는 요구된 메소드를 수행한다.

객체지향 기법의 기본 원칙

캡슐화

  • Encapsulation
  • 데이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함수를 하나로 묶는 것
  • 캡슐화된 객체의 세부내용이 외부에 은폐된다.
  • 캡슐화된 객체는 재사용이 용이하다.
  • 객체 간의 메세지를 주고받을 때 각 객체의 세부 내용은 알 필요가 없으므로 인터페이스가 단순해지고 객체 간의 결합도가 낮아진다.

정보 은닉

  • Information Hiding
  • 캡슐화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 다른 객체에게 자신의 정보를 숨기고 자신의 연산만을 통하여 접근을 허용하는 것
  • 각 객체의 수정이 다른 객체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기술
  • 유지보수와 소프트웨어 확장시 오류를 최소화

추상화

  • Abstraction
  • 불필요한 부분을 생략하고 객체의 속성 중 가장 중요한 것에만 중점을 두어 모델화하는 것

상속성

  • Inheritance
  • 이미 정의된 상위 클래스의 모든 속성과 연산을 하위 클래스가 물려받는 것
  • 다중 상속성 : Multiple Inheritance 한 개의 클래스가 두 개 이상의 상위 클래스로부터 속성과 연산을 상속받는 것

다형성

  • Polymorphism
  • 객체들은 동일한 메소드명을 사용하며 같은 의미의 응답을 한다.
  • 응용 프로그램 상에서 하나의 함수나 연산자가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클래스의 인스턴스들을 같은 클래스에 속한 인스턴스처럼 수행할 수 있도록하는 것

객체지향 기법의 생명주기

각 과정이 명확하게 순찾거으로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1. 계획 및 분석
  2. 설계
  3. 구현
  4. 테스트 및 검증

객체지향 분석

  • OOA = Object Oriented Analysis
  •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요구된 문제와 관련된 모든 클래스, 연관된 속성과 연산, 관계 등을 정의하여 모델링 하는 작업
  •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비즈니스를 객체와 속성, 클래스와 멤버, 전체와 부분 등으로 나눠서 분석한다.
  • 분석가에게 주요한 모델링 구성요소인 클래스, 속성, 연선달을 표현해서 문제를 모형화할 수 있게 해준다.
  • 객체는 클래스로부터 인스턴스화되고, 클래스를 식별하는 것이 객체지향 분석의 주요한 목적이다.

객체지향 분석 방법론

Rumbaugh 방법

  • 럼바우 방법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 분석 활동을 객체 모델, 동적 모델, 기능 모델로 나누어 수행

Booch 방법

  • 부치 방법
  • 미시적Micro 개발 프로세스와 거시적Macro 개발 프로세스 모두를 사용하는 분석 방법
  • 클래스와 객체들을 분석 및 식별하고 클래스의 속성과 연산을 정의한다.

jacobson 방법

  • Use Case를 강조하여 사용하는 분석 방법이다.

Coad와 Yourdon 방법

  • E-R 다이어그램을 사용하여 객체의 행위를 모델링한다.

Wirfs-Brock 방법

  • 분석과 설계 간의 구분이 없고 고객 명세서를 평가해서 설계 작업까지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기법

Rumbaugh 분석 기법

  • 모든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그래픽 표기법을 이용하여 모델링하는 기법
  • 객체 모델링 기법 = OMT = Object Modeling Technique
  • 객체 모델링, 동적 모델링, 기능 모델링을 통해 이뤄진다.

객체 모델링

  • Object Modeling = 정보 모델링
  • 관계를 규정하여 객체 다이어그램으로 표시하는 것
  • 분석 활동의 모델 중 가장 중요하며 선행되어야 할 모델링
  • 순서
    1. 객체와 클래스를 식별
    2. 클래스에 대한 자료 사전 작성
    3. 클래스 간의 관계를 정의
    4. 객체 속성 및 연결 관계 정의
    5. 클래스를 계층화하고 모듈로 정의
    6. 생성된 모형을 반복적으로 검증

동적 모델링

  • Dynamic Modeling
  • 상태 다이어그램(상태도)을 이용하여 객체들 간의 제어 흐름, 상호 작용, 동작 순서 등의 동적인 행위를 표현하는 모델링
  • 객체나 클래스의 상태, 사건을 중심으로 다룬다.
  • 사건 : 하나의 객체로부터 다른 객체에 자극을 주어 객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
  • 상태 : 특정 시점의 객체에 대한 속성값
  • 순서
    1. 시나리오 작성
    2. 사건 추적도 작성
    3. 사건 흐름도 작성
    4. 상태도 작성

기능 모델링

  • Functional Modeling
  • 자료 흐름도를 이용해 다수의 프로세스 간의 자료 흐름을 중심으로 처리과정을 표현한 모델
  • 순서
    1. 입출력 자료를 정의
    2. 자료 흐름도를 상세화
    3. 기능 명세서 작성
    4. 제약 조건 파악
    5. 최적화 기준 명세

객체 모델링 : 객체 동적 모델링 : 객체의 흐름, 상태, 행위 기능 모델링 : 자료 흐름, 처리 과정

객체지향 설계

  • Object Oriented Design
  • 객체지향 분석을 사용해서 생성한 여러 가지 분석 모델을 설계 모델로 변환하는 작업
  • 시스템 설계와 객체 설계를 수행한다.
  • 사용자 중심, 대화식 프로그램 개발에 적합하다.
  • 시스템을 구성하는 객체와 속성, 연산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
  • 추상화, 정보 은닉, 기능 독립성, 모듈화, 상속성을 바탕으로 하며 모듈화가 가장 중요하다.
  • 문제 정의 => 요구 명세화 => 객체 연산자 정의 => 객체 인터페이스 결정 => 객체 구현

럼바우의 객체지향 설계

  • 가장 많이 사용된다.
  • 시스템 설계 : 전체적인 시스템 구조를 설계하는 것으로 분석 단계의 분석 모델을 서브시스템으로 분할하고, 시스템의 계층을 정의하며 분할 과정 중에서 성능의 최적 방안, 문제 해결 전략, 자원 분해 등을 확정하는 것이다.
  • 객체 설계 : 분석 단계에서 만들어진 클래스, 속성, 관계, 메세지를 이용한 통신들을 설계 모델로 제작하고 상세화하여 구체적인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을 정의한다.

부치의 객체지향 설계

  • 자료 흐름도를 사용해서 객체를 분해하고 객체 간의 인터페이스를 찾아 Ada 프로그램으로 변환시키는 기법

윌리엄 로렌슨의 객체 지향 설계

  • 추상화, 상속성, 메세지, 그리고 다른 OOD 개념들을 직접 지원해주는 기능으 갖추고 있는 Smalltalk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기법

객체지향 구현

  • 구현은 설계 단계에서 생성된 설계 모델과 명세서를 근거로 하여 코딩하는 단계이다.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이용하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 객체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Object Oriented Programming
  • 객체 기반 언어 : 객체의 개념만을 지원하는 언어
  • 클래스 기반 언어 : 객체와 클래스의 개념을 지원하는 언어
  • 객체 지향성 언어 : 객체, 클래스, 상속의 개념을 모두 지원하는 언어 (Simula, Smalltalk, C++, Objective C)

객체지향 테스트

  • 클래스 테스트 : 캡슐화 된 클래스나 객체를 검사하는 것
  • 통합 테스트 : 객체 몇개를 결합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완성시키는 과정에서의 검사
    • 스레드 기반 테스트
    • 사용 기반 테스트
  • 확인 테스트 : 사용자 요구사항에 대한 만족 여부를 검사
  • 시스템 테스트 : 모든 요소들이 적합하게 통합되고 올바른 기능을 수행하는지 검사

UML

  • Unified Modeling Language
  • Rumbaugh, Booch, Jacobson 등의 객체지향 방법론의 장점을 통합한 객체지향 모델의 표준 표현 방법
  • 객체지향 분석과 설계를 위한 모델링 언어로 객체 기술에 관한 국제 표준화 기구인 Object Management Group에서 UML을 표준으로 지정했다.
  •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이해를 도와주는 사용 사례 다이어그램, 순서 다이어그램, 상태 다이어그램, 활동 다이어그램 등 여러 형태의 다이어 그램을 제공
  • 사용 사례 다이어그램
    • Use Case
    • 사용자와 사용사례로 구성
    • 사용 사례 간에는 여러 형태의 관계로 이루어진다.
    • 기능 모델링 작업에 사용된다.
  • 클래스 다이어그램 : 객체 모델링 작업에 사용
  • 순서 다이어그램 : 동적 모델링 작업에 사용
  • 상태 다이어그램 : 동적 모델링 작업에 사용
  • 활동 다이어그램 : 동적 모델링 작업에 사용

소프트웨어 재사용

  • 이미 개발되어 인정받은 소프트웨어의 전체 혹은 일부분을 다른 소프트웨어 개발이나 유지에 사용하는 것
  • 클래스, 객체 등의 소프트웨어 요소는 소프트웨어 재사용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 소프트웨어 재사용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소스코드이다.
  • 모듈의 크기가 작고 일반적인 설계일수록 재사용률이 높다.

재사용의 이점

  • 개발 시간과 비용의 단축
  •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
  • 개발 생산성 향상
  • 프로젝트 실패 위험 감소
  • 시스템 구축 방법에 대한 지식 공유
  • 시스템 명세, 설계, 코드 등 문서를 공유

재사용의 문제점

  • 새로운 개발방법론 도입이 어려움
  • 프로그램 표준화가 부족
  • 프로그램 언어가 종속적
  • 소프트웨어 요소 내부 뿐아니라 인터페이스 요구사항의 이해가 필요하다.

재사용 방법

합성 중심 방법

  • Composition Based = 블록 구성 방법
  • 모듈을 만들어 조립하며 소프트웨어를 완성시키는 방법

생성 중심

  • Generation Based = 패턴 구성 방법
  • 추상화 형태로 쓰여진 명세를 구체화하여 소프트웨어를 완성시키는 방법

소프트웨어 재공학

  • Software Reengineering
  • 새로운 요구에 맞도록 기존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다 나은 시스템을 구축
  •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여 소프트웨어 성능을 향상
  • 유지보수 생산성 향상을 통해 소프트웨어 위기를 해결
  • 기존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개조하거나 개선하므로 예방 유지보수 측면
  • 자동화된 도구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를 분석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포함
  • 소프트웨어 수명이 연장되고 기술이 향상
  • 오류가 줄어들고 비용이 절감
  • 예방 유지보수

재공학의 목표

  • 복잡한 시스템을 다루는 방법 구현 : 자동화 도구 사용
  • 다른 뷰의 생성 : 기존 시스템 개발 관점 외에 다른 방향의 관점을 생성
  • 잃어 버린 정보의 복구 및 제거
  • 부작용의 발견
  • 고수준의 추상 : 추상화된 어려운 내용을 여러 형태로 추출해 이해
  • 재사용 용이

주요활동

분석

  • Analysis
  • 기존 소프트웨어의 명세서를 확인하여 소프트웨어의 동작을 이해하고 재공학 대상을 선정하는 것

개조

  • Restructuring = 재구조 - 재구성
  • 상대적으로 같은 추상적 수준에서 하나의 표현을 다른 표현 형태로 바꾸는 것
  • 기존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해 코드를 재구성 하는 것
  • 소프트웨어의 기능과 외적인 동작은 바뀌지 않는다.
  • IF ELSE를 SWITCH CASE로 변경하듯이

역공학

  • Reverse Engineering
  • 기존 소프트웨어를 분석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과 데이터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분석 및 설계 정보를 재발견하거나 다시 만들어 내는 작업
  • 기존 코드를 복구하는 방법
  • 대상 소프트웨어가 가능하다.
  • 코드 역공학 : 코드 => 흐름도 => 자료 구조도 => 자료 흐름도
  • 데이터 역공학 : 코드 => 자료 사전 => 개체 관계도
  • 재문서화 : Redocumentation 역공학의 가장 간단하고 오래된 형태

이식

  • Migration
  • 기존 소프트웨어를 다른 운영체제나 하드웨어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작업

Client/Server 시스템

  • 분산 시스템의 가장 대표적인 모델
  •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와 정보를 요구하는 클라이언트로 구성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하나의 작업을 분산 협동 처리한다.

요소

  • 애플리케이션 요소 :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정의된 요구사항을 구현
  • 데이터베이스 요소
  • 프리젠테이션/상호작용 요소 : GUI와 관련된 모든 기능

미들웨어

  •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존재해서 데이터 전송 과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 통신 미들웨어 : NOS(Network Operating System)
  • 데이터베이스 미들웨어 : ODBC
  • 분산 객체 미들웨어 : CORBA, DCOM

객체 요청 브로커

  • ORB = Object Request Broker
  • 분산 객체 미들웨어의 일종
  • 클라이언트의 객체가 서버 객체의 캡슐화된 메소드에게 메세지를 보낼 수 있게 하는 것

CORBA

  •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객체 요청 브로커의 표준
  • OMG(Obejct Management Group)라는 개발자 연합에서 인가
  • IDL : Interface Description Language CORBA가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에서 구현될 때 필요한 인터페이스 언어

CASE

  • Computer Aided Software Engineering
  •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사용되는 요구 분석, 설계, 구현, 검사 및 디버깅 과정 전체 또는 일부를 컴퓨터와 전용 소프트웨어 도구를 사용하여 자동화하는 것
  •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와 방법론이 결합된 것
  • 정형화된 구조 및 방법을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용하여 생산성 향상을 구현하는 공학 기법
  • 자동화 도구를 지원하고 개발자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표준화를 지향하며 자동화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전 단계의 연결,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 모형 지원, 그래픽 지원

사용 이점

  • 소프트웨어 개발 기간 단축하고 개발 비용 절감
  • 자동화된 기법을 통해 소프트웨어 품질 향상
  • 유지보수 간편하게 수행
  • 생산성 향상
  • 운용 활동 효과적으로 관리 및 통제
  • 품질과 일관성을 효과적으로 제어
  • 소프트웨어 개발 모든 단계에 걸친 표준 확립
  • 모듈의 재사용성 향상
  • 개발 기법의 실용화, 문서화가 쉬움

분류

상위 CASE

  • Upper CASE
  •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전반부에서 사용
  • 문제를 기술하고 계획하며 요구 분석과 설계 단계를 지원
  • 여러가지 명세와 문서를 작성하는데 사용
  • SREM, PSL/PSA, SERA, FOUNDATION

하위 CASE

  • Lower CASE
  •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하반부에서 사용
  • 코드의 작성과 테스트, 문서화하는 과정을 지원
  • 구문 중십 편집기, 코드 생성기

통합 CASE

  • Integrate CASE
  •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포함되는 전체 과정을 지원
  • 공통의 정보 저장 장소와 통일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도구를 통합
  • IEF, POWERTOOLS, TAGS/IORL, TEAMWORK

정보 저장소

  •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과정 동안 모아진 정보를 보관하여 관리하는 곳
  • CASE 정보 저장소 = CASE 데이터베이스 = 요구사항 사전 = 저장소
  • 초기에는 사람이 정보 저장소, 오늘은 DB가 정보 저장소
  • 도구들의 통합,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표준화,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정보 공유, 소프트웨어 재사용성의 기본
  • 시스템의 정보 공유 활성화
  • 유지보수성 향상
  • CASE 도구간 정보를 쉽게 교환, 사용자가 새로운 도구를 쉽게 추가
  • 중복된 공통정보를 통합해 불필요한 정보 제거
  • 생명 주기 정보를 재사용
  •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이삭과 변환을 용이하게 함

운영체제 정리

· 121 min read
  • 시스템 전체를 작동시키는 프로그램
  •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에 적재시키거나 인터럽트 관리, 장치 관리, 언어번역 등의 기능 담당
  • 대표적으로 운영체제가 있음
  • 번역프로그램, 매크로 프로세서, 링커, 라이브러리, 정렬/합병프로그램, 로더 등

구성

  • 제어프로그램
  • 감시프로그램
  • 작업 제어 프로그램 : Jbo Scheduler, Master Scheduler
  • 자료 관리 프로그램
  • 처리프로그램
  • 언어 번역기 : 어셈블러,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 서비스 프로그램 : 연결 편집기, 정렬/합병 프로그램, 라이브러리안, 유틸리티
  • 문제 프로그램

제어 프로그램

  • Control Program
  • 시스템 전체의 작동 상태 감시, 작업의 순서 지정, 작업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관리 등의 역할 수행
  • 깜짝데이트(감시, 작업, 데이터)

감시 프로그램

  • Supervisor Program
  • 제어 프로그램 중 가장 중요함
  • 각종 프로그램 실행과 시스템 전체의 작동 상태를 감시 감독

작업 제어 프로그램

  • Job Control Program
  • 다른 업무의 이행을 자동으로 수행하기 위해 준비
  • 처리에 대한 완료를 담당하는 프로그램
  • 작업의 연속 처리를 위한 스케쥴 및 시스템 자원 할당
  • Job Scheduler : 다음 작업을 준비시키는 역할
  • Master Scheduler : 시스템과 운영자 사이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중개자 역할 (CMD)

자료 관리 프로그램

  • Data Management Program
  •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과 보조기억장치의 자료 갱신 및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

처리 프로그램

  • Processing Program

언어 번역 프로그램

  • 원시 프로그램을 기계어 형태의 목적 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프로그램
  • 어셈블러,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서비스 프로그램

  • 연결 편집기 : 프로그램을 연결하여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프로그램 (링커)
  • 정렬/합병 프로그램 : 데이터를 일정한 기준으로 정렬하거나 정렬된 파일을 합치는 프로그램
  • 라이브러리안 : 프로그램의 라이브러리를 유지 관리
  • 유틸리티 프로그램 :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프로그램 (텍스트에디터, 디버거)
  • 문제 프로그램 : 특정 업무 및 문제 해결을 위해 사용자가 작성

운영체제

  •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
  •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집합
  • 유틸리티와 하드웨어 사이의 인터페이스 제공

목적

  • 처리능력 : Throughput 일정 시간 내에 시스템이 처리하는 양
  • 반환시간 : Turn Around Time 시스템에 작업을 의뢰한 시간부터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걸린 시간
  • 사용가능도 : Availability 시스템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 즉시 사용 가능한 정도
  • 신뢰도 : Reliability 시스템이 주어진 문제를 정확하게 해결하는 정도

기능

  • 프로세서,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파일 및 자원 관리
  • 자원 스케쥴링
  •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제공
  • 하드웨어와 네트워크 관리 제어
  • 데이터 관리하고 데이터 및 자원 공유 기능 제공
  • 시스템 오류 검사 및 복구
  • 자원 보호 기능 제공
  • 입 출력에 대한 보조 기능을 제공
  • 가상 계산기 기능을 제공

자원관리

  • 프로세스 관리 : 프레세스 스케쥴링, 동기화, 생성 제거, 시작 정지, 메시지 전달
  • 기억장치 관리 : 프로세스 메모리 할당 및 회수
  • 주변장치 관리 : 입출력 장치 스케쥴링 및 관리
  • 파일 관리

종류

  • 단일 작업 처리 시스템
  • Single Tasking System
  • 시스템을 한 개의 작업이 독점하여 사용하는 방식
  • DOS
  • 다중 작업 처리 시스템
  • Multi Tasking System
  •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열어 두고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는 방식
  • Windows

운영체제 운용 기법

일괄 처리 시스템

  • 초기의 컴퓨터 시스템
  • 일정량 또는 일정 기간 동안 데이터를 모아서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
  • 일괄 처리를 위해 작업제어언어(JCL)을 제공
  • 시스템 효율적 사용 가능
  • 반환 시간이 늦지만 하나의 작업이 모든 자원을 독점하므로 CPU Idle Time이 줄어듦
  • 급여 계산, 지불 계산, 연말 결산 등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

  • 하나의 CPU와 주기억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
  • CPU 사용률과 처리량이 증가

시분할 시스템

  • Time Sharing System = Round Robin
  • 여러 명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컴퓨터가 사용자들의 프로그램을 번갈아가며 처리
  • 여러 사용자가 각자의 컴퓨터로 동시에 운영체제와 대화하면서 프로그램 실행
  • 하나의 CPU는 같은 시점에서 여러 개의 작업을 동시 수행이 안되기 때문에 CPU를 같은 작업 시간량으로 나눠서 그 시간량 동안 번갈아가면서 CPU를 사용
  • 작업시간량 : Time Slice = Quantum
  • 다중 프로그래밍 방식과 결합하여 모든 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는 것처럼 대화식 처리 가능
  • 시스템 전체 효율은 좋으나 사용자는 반응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

다중 처리 시스템

  • 여러 개의 CPU와 하나의 주기억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처리하는 방식
  • 여러 CPU는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며 단일 운영체제에 의해 관리
  • 프로그램의 처리 속도는 빠르지만 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자원 공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해야함

실시간 처리 시스템

  • 데이터 발생 즉시 처리하여 결과를 산출
  • 처리시간이 단축되고 처리비용이 절감
  • 우주선, 교통제어, 레이더, 핵실험, 데이터수집, 전화교환장치, 인터넷뱅킹 등 시간에 제한을 두고 수행되어야하는 작업

다중 모드 처리

  • 일괄처리, 시분할, 다중처리, 실시간처리를 한 시스템에서 모두 제공하는 방식

분산 처리 시스템

  •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 여러 개의 컴퓨터를 통신 회선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
  • 각 단말은 고유의 운영체제와 CPU, 메모리를 가진다.

발달과정

  • 1세데 : 일괄처리
  • 2세대 : 다중프로그래밍, 다중처리, 시분할, 실시간
  • 3세대 : 다중모드
  • 4세대 : 분산처리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

고급언어로 작성된 원시프로그램을 목적프로그램으로 번역하는 번역프로그램

저급 언어

기계어

  •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언어
  • 기종마다 기계어가 다르므로 언어의 호환성이 없음

어셈블리어

  • 기계어와 1:1 대응되는 기호로 이루어진 언어
  • 니모닉 언어 = Mnemonic = 상징어
  • 하드웨어 제어에 주로 사용
  • 언어의 호환성이 없음
  • 어셈블러를 사용하여 기계어로 번역해야 됨

고급 언어

  • 컴파일러 언어
  • 자연어와 비슷한 형태 및 구조
  • 하드웨어 지식이 없어도 작성 가능
  • 기계어로 번역하기 위해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가 사용
  • C, BASIC, COBOL, ALGOL 등

컴파일러

  • 고급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 전체를 목적 프로그램으로 번역한 후 링킹 작업을 통해 실행 프로그램을 생헝
  • 번역과 실행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번역 과정이 번거로움
  • 번역 시간이 오래걸림
  • 한번 번역 후에는 다시 번역하지 않아 실행속도는 빠름
  • C, C++, FORTRAN, COBOL, PL/1
  • 대부분의 언어는 컴파일러로 변환된다.

인터프리터

  •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한 줄 단위로 받아들여 번역
  • 번역과 동시에 프로그램을 한 줄 단위로 즉시 실행
  • 프로그램이 직접 실행되므로 목적프로그램이 생성되지 않음
  • 시분할 시스템에 유용
  • 원시 프로그램에 변화에 대한 반응이 빠름
  • 번역 속도는 빠르지만 실행속도는 느림
  • BASIC, SNOBOL, LISP, APL
  • CPU의 시간낭비가 크다.

어셈블리어

  • 사용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기계어 대신에 명령 기능을 쉽게 연상할 수 있는 기호를 기계어와 1:1 대응시켜 코드화한 기호 언어
  • 어셈블리어로 작성한 원이프로그램은 어셈블러를 통해 목적 프로그램으로 어셈블하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다.
  • 프로그램에 기호화된 명령 및 주소를 사용한다.
  • CPU마다 사용되는 어셈블리어가 다르다.
  • 의사명령과 실행명령으로 구분

형식

Label, OP, Operand

  • Label : 데이터를 기억할 장소 또는 분기할 위치, 기호 상수에 대한 Symbol을 기술하는 부분으로 생략할 수 있다.
  • OP : OPCode를 기술하는 부분
  • Operand : OPCode가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대상인 상수, 데이터나 주소, 레지스터 번호를 기술하는 부분

어셈블러

  •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걸 기계어로 번역하는 프로그램
  • 이중 패스 어셈블러르 사용하면 정의되지 않은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 현재 대부분 이중 패스 어셈블러를 사용한다.
  • 두 개의 패스를 사용하면 기호를 정의하기 전에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작업이 용이하다.
  • 단일 패스 어셈블러 : 원시 프로그램을 하나의 명령문씩 읽는 즉시 기계어로 번역하여 목적 프로그램을 만듦
  • 이중 패스 어셈블러 : 원시 프로그램을 끝까지 읽어서 1단계 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처음부터 읽어나가면서 1단계에서 수행한 결과를 이용해 완전한 목적프로그램을 만듦
  • 크로스 어셈블러 : 현재 사용하는 컴퓨터와 다른 명령 형태로 동작하는 컴퓨터에서 사용할 프로그램을 어셈블 할 때 사용하므로 실행시킬 컴퓨터에 맞게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

구성

  • 기계 명령어 테이블
    • Machin Operation Table = MOT
    • 어셈블리어의 실행 명령에 대응하는 기계어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테이블
    • 어셈블러에 기본적으로 포함
  • 의사 명령어 테이블
    • Pseudo Operation Table = POT
    • 의사 명령과 그 명령을 처리하는 실행 루틴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 테이블
    • 어셈블러에 기본적으로 포함
  • 기호 테이블
    • Symbol Table = ST
    • 원시 프로그램의 Label 부분에 있는 기호들을 모두 차례대로 저장하는 테이블
  • 리터럴 테이블
    • Literal Table = LT
    • 원시 프로그램의 Operand 부분에 있는 리터럴을 차례로 저장하는 테이블

Pass-1 Pass-2

  • Pass-1
    • 기호와 리터럴을 정의
    • 기계 명령어의 길이 정의
    • 위치 계수기(PC, LC) 관리
    • 기호들의 값을 심볼 테이블에 기억
    • 사용된 리터럴을 리터럴 테이블에 기억
    • 해당하는 의사 명령어 처리
    • 사용 관련 DB : 원시 프로그램, Program Counter, MOT, POT, ST, LT
  • Pass-2
    • 기호 번지에 대한 상대 번지를 생성
    • 목적 프로그램 생성
    • 기계 명령어 생성
    • 심볼 테이블에서 기호의 값을 찾음
    • 의사 명령어 처리
    • 리터럴 발생
    • 사용 관련 DB : 원시 프로그램의 사본, Program Counter, Pass-1에서 만든 ST, LT, MOT, POT, 베이스 레지스터 테이블, PRINT LINE, 목적 프로그램

매크로

  • 일종의 부 프로그램 = 개방 서브루틴
  • 프로그램 작성시 한 프로그램에서 동일한 코드가 반복될 경우 반복되는 코드를 한 번만 작성하여 이름을 정의하고 피료시에 정의된 이름을 호출하여 사용
  • 호출된 횟수만큼 정의된 매크로 코드가 해당 위치에 삽입되어 실행
  • 매크로 내에 매크로 사용 가능
  • 사용자의 반복적인 코드 입력을 줄여준다.
  • 프로그램 내에서 매크로 코드를 확인할 수 있음

부프로그램과 비교

구분매크로부 프로그램
별칭개방 서트루틴폐쇄 서브루틴
처리방식매크로 호출 명령이 있는 위치마다 매크로 내용을 삽입하여 확장된 프로그램을 만들어 놓고 연속적으로 실행부 프로그램 호출될 때마다 제어가 부 프로그램으로 넘어갔다가 다시 주 프로그램으로 복귀
특징부 프로그램은 매크로에 비해 프로그램 크기가 작아지고 기억장소가 절약되지만 실행 시간은 약간 느림

매크로 프로세서

  • 원시프로그램에 존재하는 매크로 호출 부분에 매크로를 삽입하여 확장된 원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 처리과정
    • 매크로 정의 인식
    • 매크로 정의 저장
    • 매크로 호출 인식
    • 매크로 확장과 매개변수 치환

링커

  • 연결 편집기
  • 언어 번역 프로그램이 생성한 목적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 또 다른 실행 프로그램 등을 연결하여 실행 가능한 로드 모듈을 만드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 연결 기능만 수행하는 로더의 한 형태

로더

  • 컴퓨터 내부로 정보를 들여오거나 로드 모듈을 보조기억장치로부터 주기억장치에 적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기능

  • 할당 : Allocation 실행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억장치 내에 옮길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
  • 연결 : Linking 부 프로그램 호출 시 그 부 프로그램이 할당된 기억장소의 시작주소를 호출한 부분에 등록하여 연결하는 기능
  • 재배치 : Relocation 기억장소의 실제 주소로 배치시키는 기능
  • 적재 : Loading 실행 프로그램을 할당된 기억공간에 실제로 옮기는 기능

종류

Compile And Go 로더

  • 별도의 로더 없이 언어 번역 프로그램이 로더의 기능까지 수행
  • 연결 기능은 수행하지 않는다.
  • 할당, 재배치, 적재 작업을 모두 언어 번역 프로그램이 담당

절대 로더

  • Absolute Loader

  • 절대적으로 로딩(적재)만 하는 로더

  • 목적 프로그램을 기억장소에 적지시키는 기능만 수행하는 로더

  • 로더 중 가장 간단한 프로그램으로 구성

  • 기억장소 할당이나 연결을 프로그래머가 직접 지정

  • 한번 지정한 주기억장소의 위치는 변경이 어려움

  • 절대로더의 기능별 행위 주체

    • 할당 : 프로그래머
    • 연결 : 프로그래머
    • 재배치 : 언어 번역 프로그램
    • 적재 : 로더

직접 연결 로더

  • Direct Linking Loader = Relocation Loader = Relative Loader = 재배치로더 = 상대로더
  • 일반적인 기능의 로더로 로더의 기본 네 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

동적 적대 로더

  • Dynamic Loading Loader = 호출 시 적재 로더
  • 프로그램을 실행시 필요한 부분만을 적재하고 나머지는 보조기억장치에 저장
  • 프로그램 크기가 주기억장치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 사용

프로세스

  •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실행중인 프로그램
  • 작업 = 태스크
  • PCB를 가진 프로그램
  • 실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 프로세서가 할다오디는 실체로 디스패치가 가능한 단위
  • 프로시저가 활동중인 것
  • 비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
  • 지정된 결과를 얻기 위한 일련의 계통적 동작
  • 목적 또는 결과에 따라 발생되는 사건들의 과정
  • 운영체제가 관리하는 실행 단위

PCB

  • Process Control Block = 프로세스 제어 블록 = Task Control Block = Job Control Block
  • 운영체제가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저장해 놓는 곳
  • 각 프로세스가 생성될 때마다 고유의 PCB가 생성
  •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PCB는 제거됨
  • PCB에 저장된 정보
    •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 포인터
      • 부모 프로세스에 대한 포인터
      • 자식 프로세스에 대한 포인터
      • 프로세스가 위치한 메모리에 대한 포인터
      • 할당된 자원에 대한 포인터
    • 프로세스 고유 식별자
    • 스케쥴링 및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 CPU 레지스터 정보 : AC, IR, PC, 범용 레지스터
    • 주기억 장치 관리 정보 : Base Register, Page Table
    • 입출력 상태 정보
    • 계정 정보 : CPU 사용시간, 실제 사용시간, 한정된 시간

프로세스 상태

  • 제출 : Submit 사용자가 작업을 시스템에 제출한 상태
  • 접수 : Hold 작업이 스풀공간인 디스크의 할당 위치에 저장된 상태
  • 준비 : Ready
    • 프로세스가 프로세서를 할당 받기 위해 기다리고 있는 상태
    • 프로세스는 준비상태 큐(스케쥴링 큐)에서 실행을 준비
    • 접수 상태에서 준비상태로의 전이는 Job Scheduler에 의해 수행
  • 실행 : Run
    • 준비상태 큐에 있는 프로세스가 프로세서를 할당받아 실행되는 상태
    • 할당 시간이 종료되면 프로세스는 준비상태로 전이
    •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I/O처리가 필요하면 실행중인 프로세스는 대기상태로 전이
    • 준비 상태에서 실행상태로의 전이는 CPU Scheduler에 의해 수행
  • 대기, 보류, 블록: 프로세스에 I/O처리가 필요하면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중단되고 I/O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는 상태
  • 종료 : Terminated, Exit 프로세스 실행이 끝나고 프로세스 할당이 해제된 상태
  • 실행중지 : Suspend
  • 하나의 프로세스가 입출력 이외의 다른 이유에 의해 실행되지 못하는 상태
  • 실행중지된 프로세스는 다른 프로세스로 다시 시작하기 전에는 실행될 수 없다.
  • 시스템에 이상이 있거나 부하가 많을 경우 운영체제 필요에 의해 중지
  • 프로세스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프로세스를 완전히 종료하지 않고 중지

상태 용어

  • Dispatch : 준비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는 프로세스 중 하나가 프로세서를 할당받아 실행 상태로 전이되는 과정
  • Wake Up : 입출력 작업이 완료되어 프로세스가 대기 상태에서 준비상태로 전이되는 과정
  • Traffic Controller : 프로세스의 상태에 대한 조사와 통보 담당

스레드

  • 프로세스의 작업 단위로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 단위
  • 프로세스의 일부 특성을 가지고 있지 때문에 경량 프로세스라고 한다.
  • 독립적인 스케쥴링의 최소 단위
  • 동일 프로세스 환경에서 서로 독립적인 다중 수행 가능
  • 병행성 증진
  • 처리율 향상
  • 응답시간 단축
  • 기억장소 낭비 줄어듦
  • 프로세스 간 통신 향상
  • 공통적으로 접근 가능한 기억장치를 통해 효율적으로 통신

사용자 수준의 스레드

  • 사용자가 만든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스레드 운용
  • 속도는 빠르지만 구현이 어려움

커널 수준의 스레드

  • 운영체제 커널에 의해 스레드 운용
  • 구현 쉽지만 속도가 느림

스케쥴링

  • 프로세스가 생성되어 실행될 때 필요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해당 프로세스에게 할당하는 작업
  • 장기 스케쥴링 : 어떤 프로세스가 시스템의 자원을 차지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를 결정하여 준비상태 큐로 보내는 작업
  • 중기 스케쥴링 : 어떤 프로세스들이 CPU를 할당받을 것인지 결정하는 작업
  • 단기 스케쥴링 : 프로세스가 실행되기 위해 CPU를 할당받는 시기와 특정 프로세스를 지정하는 작업
  • 문맥교환 : 하나의 프로세스에서 다른 프로세스로 CPU가 할당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새로운 프로세스에 CPU를 할당하기 위해 현재 할당된 프로세스의 상태를 저장하고 새로운 프로세스의 상태정보를 설정한 후 CPU를 할당하여 실행되도록 하는 작업

목적

스케쥴링은 PCU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정책

  • 공정성
  • 처리율 증가
  • CPU 이용률 증가
  • 우선순위 제도 :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 먼저 실행
  • 오버헤드 최소화
  • 응답시간 최소화
  • 반환시간 최소화
  • 대시시간 최소화
  • 균형 있는 자원의 사용
  • 무한 연기 회피

성능 평가 기준

  • CPU 이용률
  • 처리율
  • 반환시간
  • 대기시간
  • 응답시간

비선점 스케쥴링

  • Non-preemptive
  • 이미 할당된 CPU를 다른 프로세스가 강제로 빼앗아 사용할 수 없는 스케쥴링 기법
  •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으면 해당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까지 CPU를 사용
  • 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요구를 공정하게 처리 가능
  • 응답 시간 예측이 용이
  • 일괄 처리 방식에 적합
  • 짧은 작업이 긴 작업을 기다리는 경우가 발생
  • FCFS, SJF, 우선순위, HRN, 기한부 알고리즘

선점 스케쥴링

  • Preemptive
  • 하나의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아 실행하고 있을 때 우선순위가 높은 다른 프로세스가 CPU를 빼앗아 사용할 수 있는 스케쥴링 기법
  •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를 빠르게 처리 가능
  • 시분할 시스템에 사용
  • 많은 오버헤드 초래
  • 인터럽트용 타이머 클록이 필요
  • RR, SRT, 선점우선순위, 다단계 큐, 다단계 피드백 큐 알고리즘

비선점 스케쥴링

FCFS

  • FIFO
  • 짧은 작업이 긴 작업을 기다리는 경우가 생김
  • 가장 간단한 알고리즘

SJF

  • Shortest Job First = 단기 작업 우선
  • 프로세스들 중에서 실행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에게 먼저 CPU를 할당
  • 가장 적은 평균 대기시간을 제공하는 최적 알고리즘
  • 실행시간이 긴 프로세스는 실행시간이 짧은 프로세스에게 할당 순위가 밀려 무한 연기 상태가 발생할 수 있음

HRN

  • 긴 프로세스에 불리한 SJF를 보완하기 위한 것
  • 대기 시간과 서비스 실행 시간을 이용하는 기법
  • 서비스 실행 시간이 짧거나 대기 시간이 긴 프로세스일 경우 우선순위가 높아진다.
  • 우선순위 = (대기시간 + 서비스시간) / 서비스 시간

기한부

  • Deadline
  • 일정한 시간을 주고 그 시간안에 프로세스를 완료하도록 하는 기법
  • 프로세스가 제한시간 안에 완료되지 않을 경우 제거되거나 처음부터 다시 실행해야함
  • 프로세스 실행 시 집중적으로 요구되는 자원관리에 오버헤드가 발생

우선순위

  • Priority
  • 준비상태 큐에서 기다리는 각 프로세스마다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그 중 가장 높은 프로세스에게 먼저 CPU를 할당하는 기법
  • 우선순위가 동일할 경우 FCFS 기법으로 CPU 할당
  • 가장 낮은 순위를 부여받은 프로세스는 무한연기 또는 기아상태가 발생

에이징

  • Aging
  • 특정 프로세스의 우선순위가 낮아 무한정 기다리게 되는 경우 기다린 시간에 비례하여 일정 시간이 지나면 우선순위를 한 단계씩 높여 가까운 시간에 자원을 할당받도록하는 기법
  • SJF나 우선순위 기법에서 발생하는 무한연기, 기아상태를 예방

선점 스케쥴링

선점 우선순위

  • 준비상태 큐의 프로세스 중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프로세스에게 먼저 CPU를 할당하는 기법
  • 준비상태 큐에 새로 들어온 프로세스의 우선순위가 높을 경우 현재 프로세스를 보류하고 새로운 프로세스를 실행

SRT

  • Shortest Remaining Time = 선점 SJF 기법
  • 비선점 스케쥴링인 SJF기법을 선점으로 변경
  • 시분할 시스템에 유용
  • 오버헤드 증가

RR

  • Round Robin
  •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고안
  • FCFS를 선점형태로 변경
  • 시간할당량 동안만 실행 후 실행이 완료되지 않으면 다음 프로세스에게 CPU를 넘겨주고 준비상태 큐의 가장 뒤로 배치
  • 할당시간이 큰 경우 FCFS와 같음
  • 할당시간이 작을 경우 문맥교환 및 오버헤드가 자주 발생되 요청 작업을 신속히 처리 불가
  • 할당되는 시간의 크기가 작으면 작은 프로세스에 유리
  • 대기시간 : 구하고자하는 프로세스의 가장 마지막 실행이 시작되기 전까지의 진행시간을 구하고 해당 프로세스가 앞에서 실행되었을 경우 그 시간을 뺀다.

다단계 큐

  • MQ = Multi-level Queue
  • 프로세스를 특정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을경우 그룹에 따라 각기 다른 준비상태 큐를 사용하는 기법
  • 우선순위에 따라 시스템 프로세스, 대화형 프로세스, 편집 프로세스, 일괄 처리 프로세스 등으로 나누어 큐를 배치
  • 각 큐는 독자적인 스케쥴링을 가지고 있어 그룹의 특성에 따라 다른 스케쥴링 기법 사용 가능
  • 각 큐가 준비상태로 들어간 경우 달느 준비상태 큐로 이동할 수 없음
  • 하위 단계 큐를 실행 중이라도 상위 단계 큐에 프로세스가 들어오면 상위단계에게 CPU를 할당

다단계 피드백 큐

  • MFQ = Multi-level Feedback Queue
  • 다단계 큐 기법에서 준비상태 큐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개선
  • 적응 기법(Adaptive Mechanism)의 개념을 적용
  • 각 준비상태 큐마다 시간할당량을 부여해서 완료하지 못한 프로세스는 다음 단계의 준비상태 큐로 이동
  • 상위 단계 큐일수록 우선순위가 높고 시간할당량이 적다.
  • 요구 시간이 적은 프로세스, I/O 프로세스, 오래 기다린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할당
  • 하위 단계 큐를 실행 중이라도 상위 단계 큐에 프로세스가 들어오면 상위단계에게 CPU를 할당, 마지막 단계 큐에선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RR 사용

병행 프로세스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들이 동시에 존재하며 실행상태에 있는 것

임계구역

  • 다중 프로그래밍 운영체제에서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공유한 데이터 및 자원에 대해 어느 한 시점에는 하나의 프로세스만 데이터 또는 자원을 사용하도록 지정된 공유 자원영역
  • 하나의 프로세스만 접근할 수 있고 해당 프로세스가 자원을 반납한 후 에만 다른 프로세스가 자원이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 특정 프로세스가 독점할 수 없다.
  • 수행 중인 프로세스는 인터럽트가 불가능하다.
  • 임계 구역 내의 작업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 프로세스가 임계 구역에 대한 진입을 요청하면 일정 시간 내에 진입을 허락해야한다.
  • Critical Section
  • 임계구역은 화장실에 비유해 기억하자

상호 배제 기법

  • 특정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 다른 프로세스가 해당 공유 자원을 사용하지 못하게 제어하는 기법

  • 임계 구역을 유지하는 기법

  • 소프트웨어적 구현

    • 두 개 프로세스 기준 : Dekker, Peterson 알고리즘
    • 여러 개의 프로세스 기준 : Lamport의 빵집 알고리즘
  • 하드웨어적 구현 : Test & Set 기법, Swap 명령어 기법

동기화 기법

두 개 이상의 프로세스를 한 시점에서는 동시에 처리할 수 없으므로 각 프로세스에 대한 처리 순서를 결정하는 것으로 상호 배제의 한 형태

세마포어

  • Semaphore = 신호기 = 깃발
  • 각 프로세스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순서대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법
  • E.J.Dijkstra가 제안
  • P와 V라는 두 개의 연산에 의해서 동기화를 유지시키고 상호 배제의 원리를 보장
  • S는 P와 V 연산으로만 접근 가능한 세마포어 변수로 공유 자원의 개수를 나타내며 0과 1혹은 0과 양의 값을 가질 수 있다.
  • 다른 프로세스가 이미 자원을 점유한 상태라면 자원을 사용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
  • 순서
    • P : While S <= 0 Do skip;
    • S = S - 1;
    • V : S = S + 1;

모니터

  • Monitor
  • 동기화를 구현하기 위한 특수 프로그램 기법
  • 특정 공유 자원을 프로세스에게 할당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시저로 구성
  • 자료 추상화와 정보 은폐 개념을 기초
  • 공유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병행성 구조
  • 모니터 내의 공유자원을 사용하려면 프로세스는 반드시 모니터 진입부를 호출해야함
  • 외부 프로시저는 직접 액세스할 수 없음
  • 모니터 경계에서 상호배제가 시행
  • 한 순간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진입하여 자원을 사용
  • Wait와 Signal 연산 사용

교착상태

  • Dead Lock
  • 상호 배제에 의해 나타나는 문제점
  • 둘 이상의 프로세스들이 자원을 점유한 상태에서 서로 다른 프로세스가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요구하며 무한정 기다리는 현상

필요 충분 조건

교착상태가 되려면 이 조건들이 모두 충족되어야함

  • 상호 배제 : Mutual Exclusion 한 번에 한 개의 프로세스만이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점유와 대기 : Hold & Wait 최소한 하나의 자원을 점유하고 있으면서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되어 있는 자원을 추가로 점유하기 위해 대기하는 프로세스가 있어야 한다.
  • 비선점 : Non-preemption 다른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은 사용이 끝날 때까지 강제로 빼앗을 수 없어야 한다.
  • 환형 대기 : Circular Wait 공유 자원과 공유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대기하는 프로세스들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자신에게 할당된 자원을 점유하면서 앞이나 뒤에 있는 프로세스의 자원을 요구해야 한다.

예방기법

  •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 교착상태 발생의 네 가지 조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제거함으로 수행
  • 자원의 낭비가 가장 심한 기법
  • 상호 배제 부정 : 한 번에 여러 개의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로는 구현하지 않음
  • 점유 대기 부정 : 프로세스가 실행되기 전 필요한 모든 자원을 할당하여 프로세스 대기를 없애거나 자원이 점유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자원을 요구하도록 한다.
  • 비선점 부정 : 다른 자원을 요구할 때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반납하고 요구한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기다리게 한다.
  • 환형 대기 부정 : 자원을 선형 순서로 분류하여 고유 번호를 할당하고 각 프로세스는 현재 점유한 자원의 고유 번호보다 앞이나 뒤 어느 한 방향으로만 자원을 요구하도록 한다.

회피기법

교착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교착상태가 발생하면 적절히 피해나가는 방법

은행원 알고리즘

  • E.J.Dijkstra가 제안한 것
  • 은행에서 모든 고객의 요구가 충족되도록 현금을 할당하는 데서 유래
  • 각 프로세스에게 자원을 할당하여 교착상태가 발생하지 않음
  • 모든 프로세스가 완료될 수 있는 상태를 안전 상태
  • 교착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태를 불안전 상태 (불안전 상태라고해서 모두 교착상태는 아님)
  • 적용하기 위해선 자원의 양과 프로세스 수가 일정해야 한다.
  • 프로세스의 모든 요구를 유한한 시간 안에 할당하는 것을 보장

발견기법

  • 시스템에 교착상태가 발생했는지 점검하여 교착상태에 있는 프로세스와 자원을 발견하는 것
  • 교착상태 발견 알고리즘과 자원할당 그래프 등을 사용

회복기법

  • 교착상태를 일으킨 프로세스를 종료하거나 교착상태의 프로세스에 할당된 자원을 선점하여 프로세스나 자원을 회복하는 것
  • 프로세스 종료 : 교착상태에 있는 프로세스 종료
  • 자원 선점 : 프로세스가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선점하여 다른 프로세스에게 할당하며 해당 프로세스를 일시 정지시키는 방법

기억장치 관리

상위 계층구조일 수록 접근 속도와 접근 시간이 빠르지만 기억용량이 적고 비싸다.

반입 전략

  • Fetch
  • 보조기억장치에 보관중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언제 주기억장치로 적재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략
  • 요구 반입 : Demand Fetch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특정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의 참조를 요구할 때 적재
  • 예상 반입 : Anticipatory Fetch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 의해 참조될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미리 예상하여 적재

배치 전략

  • Placement
  • 새로 반입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의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략
  • 최초 적합 : First Fit 프로그램에 데이터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빈 영역 중에 첫 번째 분할 영역에 배치
  • 최적 적합 : Best Fit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빈 영역 중에서 단편화를 가장 작게 남기는 분할 영역에 배치
  • 최악 적합 : Worst Fit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빈 영역 중에서 단편화를 가장 많이 남기는 분할 영역에 배치

교체 전략

  • 주기억장치의 모든 영역이 이미 사용중인 상태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배치하려고 할 때, 이미 사용되고 있는 영역 중에서 어느 영역을 교체하여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략
  • FIFO, OPT, LRU, LFU, NUR, SCR

주기억장치 할당 기법

  • 연속 할당 기법 :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연속으로 할당하는 기법 (로딩)
    • 단일 분할 할당 기법 : 오버레이, 스와핑
    • 다중 분할 할당 기법 : 고정 분할 할당 기법, 동적 분할 할당 기법
  • 분산 할당 기법 : 프로그램을 특정 단위의 조각으로 나누어 주기억장치 내에 분산하여 할당하는 기법
    • 페이징 기법
    • 세그먼테이션 기법

단일 분할 할당 기법

  • 주기억장치를 운영체제 영역과 사용자 영역으로 나누어 오직 한 명의 사용자만 주기억장치의 사용자 영역을 사용하는 기법
  • 경계 레지스터가 사용된다.
  • 오버레이 기법을 사용하면서 주기억장치보다 큰 사용자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 되었다.

오버레이 기법

  • 주기억장치보다 큰 사용자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기법
  •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된 하나의 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할한 후 필요한 조각을 차례로 주기억장치에 적재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 불필요한 조각이 위치한 장소에 새로운 프로그램 조각을 중첩하여 적재
  • 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할하는 작업은 프로그래머가 수행하므로 시스템 구조나 프로그램 구조를 알아야함

스와핑 기법

  • 하나의 프로그램 전체를 주기억장치에 할당하여 사용하다 필요에 따라 다른 프로그램과 교체하는 기법
  • 하나의 사용자 프로그램이 완료될 때까지 교체 과정을 여러 번 수행할 수 있다.
  •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이동을 Swap Out
  • 보조기억장치 => 주기억장치 이동을 Swap In

다중 분할 할당 기법

고정 분할 할당

  • Multiple contiguous Fixed partTition allocation = MFT = 정적 할당 = Static Allocation
  • 프로그램을 할당하기 전에 운영체제가 주기억장치 사용자 영역을 여러 개의 고정된 크기로 분할하고 준비상태 큐에서 준비중인 프로그램을 각 영역에 할당하여 수행하는 기법
  •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프로그램 전체가 주기억장치에 위치해야 한다.
  • 프로그램이 분할된 영역보다 커서 영역 안에 못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 내부 단편화 및 외부 단편화 발생
  • 다중 프로그래밍을 위해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음

가변 분할 할당

  • Multiple contiguous Variable parTition allocation = MVT = 동적 할당 = Dynamic Allocation
  • 고정 분할 할당 기법의 단편화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프로그램을 주기억 장치에 적재하면서 필요한 만큼의 크기로 영역을 분할하는 기법
  • 주기억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
  •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를 높일 수 있음
  • 실행될 프로세스 크기에 대한 제약이 적음
  • 단편화를 해결할 수 있으나 영역과 영역사이에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음

단편화

  • 분할된 주기억 장치에 프로그램을 할당하고 반납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사용되지 않고 남는 기억장치의 빈 공간 조각
  • 내부 단편화 : Internal Fragmentation 분할된 영역이 할당될 프로그램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남는 공간
  • 외부 단편화 : External Fragmentation 분할된 영역이 할당될 프로그램 크기보다 작아 들어갈 수 없어 남는 공간

해결방법

통합 기법

  • Coalescing
  • 빈 공간이 다른 빈 공간과 인접되어 있는지 점검한 후 결합하여 사용

압축 기법

  • Compaction
  • 분산되어 있는 단편화된 빈 공간을 결합하여 하나의 큰 공간을 만드는 작업
  • 집약 = 가비지 컬렉션
  • 분산된 단편화된 공간을 주기억 장치의 한 쪽 끝으로 옮긴 후 합침
  • 압축이 실행되는 동안 시스템은 모든 일을 일시 중지
  • 기억장소의 재배치
    • 압축기법을 수행시에 각 프로그램에 주어진 분할영역의 주소를 새롭게 지정해줘야한다.
    • Base Register와 Boundary Register를 사용한다.

가상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의 일부를 주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것
  • 프로그램을 여러 개의 작은 블록으로 나눠서 가상기억장치에 보관하고 프로그램 실행시 요구되는 블록만 주기억장치에 불연속적으로 할당
  • 주기억장치의 용량보다 큰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
  • 주기억장치의 이용률과 다중 프로그래밍 효율 증대
  • 단편화 해결
  • 가상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실행시 주소변환 작업 필요
  • 주소변환
    • 가상기억장이체 있는 프로그램이 주기억장치에 적재되어 실행될 때 논리적인 가상주소를 실기억주소로 변환하는 것
    • 주소 사상 = 주소 매핑
    • 인위적 연속성 : Artificial Contiguity 연속적인 가상주소가 반드시 연속적인 실기억주소로 변환되지 않아도 된다.
    • 가상주소는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 상의 주소 = 논리 주소
    • 실기억주소는 주기억장치에 있는 기억공간의 주소 = 실주소

페이징 기법

  • 가상 기억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프로그램과 주기억장치의 영역을 동일한 크기로 나눈 후 나눠진 프로그램(페이지)을 동일하게 나눠진 주기억장치의 영역(페이지 프레임)에 적재시켜 실행하는 기법
  • 페이지 : 프로그램을 일정한 크기로 나눈 단위
  • 페이지 프레임 : 페이지 크기로 일정하게 나눠진 주기억장치의 단위
  • 외부 단편화는 발생하지 않으나 내부 단편화는 발생
  • 주소 변환을 위해 페이지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는 페이지 맵 테이블 필요
  • 페이지 맵 테이블 사용으로 비용 증가, 처리속도 감소
  • 일반적인 페이지 크기는 1~4KB
  • 가상 주소는 페이지 번호와 실제 내용이 위치하고 있는 곳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변위값으로 구성
  • 실기억주소는 페이지 프레임 번호와 프레임 내에서 실제 참조하는 위치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변위값으로 구성
  • 페이지 맵 테이블은 주기억장치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상태 비트와 보조기억장치 주소를 나타내는 디스크주소, 페이지가 주기억장치에 있을 때의 페이지 프레임 번호로 구성

Page Fault

  • 프로그램 실행시 참조한 페이지가 주기억장치에 없는 현상
  • 처리 순서
    • 운영체제에서 트랩요청
    • 사용자 레지스트리와 프로그램 상태 저장
    • 현재 교체 가능한 페이지를 페이지 맵 테이블에서 검색
    • 가상기억장치에 있는 페이지를 주기억장치로 전달
    • 페이지 맵 테이블 갱신
    • 프로그램 상태를 불러와 이전 작업 진행

세그먼테이션 기법

  • Segmentation
  • 가상기억장치에 보관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다양한 크기의 논리적인 단위로 나눈 후 주기억장치에 적재시켜 실행시키는 기법
  • 각 세그먼트는 고유한 이름과 크기를 갖는다.
  • 기억장치의 사용자 관점을 보존하는 기억장치 관리 기법이다.
  • 기억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사용한다.
  • 주소변환을 위해서 세그먼트 맵 테이블이 필요
  • 세그먼트가 주기억장치에 적재될 때 다른 세그먼트에게 할당된 영역을 침범할 수 없으며 이를 위해 기억장치 보호키가 필요
  • 내부 단편화는 발생하지 않으나 외부 단편화는 발생
  • 가상 주소는 세그먼트 번호와 세그먼트 내에 실제 내용이 위치하고 있는 곳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변위값으로 구성
  • 실기억주소는 완전주소 형태이면 세그먼트 기분번지와 변위값을 더해서 구함
  • 세그먼트 맵 테이블은 세그먼트 번호와 세그먼트 크기, 주기억장치 상의 기준번지로 구성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 페이지 부재가 발생했을 때 가상기억장치의 필요한 페이지를 주기억장치에 적재해야 하는데 주기억장치의 모든 페이지 프레임이 사용중이면 어떤 페이지 프레임을 선택하여 교체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기법
  • OPT ,FIFO, LRU, LFU, NUR, SCR

OPT

  • OPTimal replacement = 최적 교체
  •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 Belady가 제안
  • 페이지 부재가 가장 적게 발생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
  • 각 페이지의 호출 순서와 참조 상황을 예측해야하므로 실현 가능성이 없음

FIFO

  • 가장 오래 있었던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 이해하기 쉽고 프로그램이 및 설계가 간단
  • 벨레이디의 모순 현상 발생 : 페이지 프레임 수를 증가시켰는데도 페이지 부재가 더 많이 일어나는 현상

LRU

  • Least Recently Used
  •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 각 페이지마다 Counter나 Stack을 두어 체크한다.
  •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하며 시간적인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 실제로 구현하기가 매우 어렵다.

LFU

  • Least Frequently Used
  • 사용 빈도가 가장 적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 프로그램 실행 초기에 많이 사용된 페이지가 후에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도 프레임을 계속 차지할 수 있다.

NUR

  • Not Used Recently
  • LRU와 비슷한 알고리즘으로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
  • 최근에 사용하지 않은 페이지는 나중에도 사용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전제로, LRU에서 나타나는 시간적인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 각 페이지마다 참조 비트와 변형비트가 사용된다.
    • 참조비트 : 페이지가 호출되지 않았을 때는 0, 호출되었을 때는 1
    • 변형비트 : 페이지 내용이 변경되지 않았을 때는 0, 변경되었을 때는 1
  • 참조비트와 변형비트 값에 따라 교체될 페이지의 순서가 결정된다.
순서참조비트변형비트
100
201
310
411

SCR

  • Second Chance Replacement = 2차 기회 교체
  • 가장 오랫동안 주기억장치에 있던 페이지 중 자주 사용되는 페이지의 교체를 방지하기 위한 것
  • FIFO의 단점을 보완한다.
  • 각 페이지마다 참조 비트를 두고 0일경우 교체하고 1일 경우 참조 비트를 0으로 변경 후 FIFO 큐의 맨 마지막으로 이동시킨다.
  • LRU처럼 참조 비트를 둔다.

가상기억장치 관리

페이지 크기

페이지 크기가 작을 경우

  • 페이지 단편화 감소
  • 효율적인 워킹 셋 유지
  • Locality에 더 일치하기 때문에 기억장치 효율이 높아짐
  • 맵 테이블의 크기가 커지고 매핑 속도가 늦어짐
  • 디스크 접근 횟수가 많아져서 전체적인 I/O 효율성 감소

페이지 크기가 클 경우

  • 맵 테이블 크기가 작아지고 매핑 속도가 빨라짐
  • 디스크 접근 횟수가 줄어들어 I/O 효율성이 증가
  • 페이지 단편화가 증가
  • 불필요한 내용까지 주기억장치에 적재될 수 있음

Locality

  • 국부성 = 지역성 = 구역성 = 국소성
  •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 주기억장치를 참조할 때 일부 페이지만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성질이 있다는 이론
  • 스레싱 방지를 위한 워킹 셋 이론의 기반
  • 가상기억장치 관리의 이론적인 근거
  • Denning 교수에 의해 구역성의 개념이 증명
  • 캐시 메모리 시스템의 이론적 근거

시간 구역성

  • Temporal Locality
  • 프로세스가 실행되면서 하나의 페이지를 일정 시간동안 집중적으로 액세스
  • 한 번 참조한 페이지는 가까운 시간 내에 계속 참조할 가능성이 높음
  • Loop, Stack, Sub Routine, Counting, 집계(Totaling)

공간 구역성

  • Spatial Locality
  • 프로세스 실행 시 일정 위치의 페이지를 집중적으로 액세스하는 현상
  •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참조하면 그 근처의 페이지를 계속 참조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
  • 배열 순회, 순차적 코드 실행, 프로그래머가 변수를 서로 근처에 선언하여 할당되는 기억장소, 같은 영역에 있는 변수 참조할 때 사용

워킹 셋

  •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
  • Denning이 제안한 프로그램의 움직임에 대한 모델로 프로그램의 Locality 특징을 이용
  • 워킹 셋을 주기억장치에 상주시킴으로 페이지 부재 및 페이지 교체 현상이 줄어들어 프로세스의 기억장치 사용이 안정
  •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이 변화하기 때문에 워킹셋은 시간에 따라 변경

페이지 부재 빈도 방식

  • 페이지 부재율에 따라 주기억장치에 있는 페이지 프레임의 수를 늘리거나 줄여 페이지 부재율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방식

프리페이징

  • 필요할 것 같은 모든 페이지를 한꺼번에 페이지 프레임에 적재하는 방식

스래싱

  • Thrashing
  • 프로세스의 처리 시간보다 페이지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
  •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이나 가상기억장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하나의 프로세스 수행 과정 중 자주 페이지 부재가 발생함으로써 나타나는 현상
  •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CPU의 이용률은 어느 시점까지는 높아지지만, 더 높아질 경우 스래싱이 나타나고 CPU 이용률은 급격히 감소한다.

스래싱 방지

  •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
  • 페이지 부재 빈도를 조절하여 사용
  • 워킹 셋을 유지
  • 부족한 자원을 증설하고 일부 프로세스를 중단
  • CPU 성능에 대한 자료의 지속적 관리 및 분석해 임계치를 예상하고 운영

디스크 스케쥴링

  • 사용할 데이터가 디스크 상에 여러 곳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데이터를 액세스하기 위해 디스크 헤드가 움직이는 경로를 결정하는 기법
  • 탐색시간을 최적화하기 위해 수행된다.
  • 처리량 최대화
  • 응답 시간 최소화
  • 응답 시간 편차의 최소화

FCFS

  • FIFO
  • 가장 간단한 스케쥴링으로 디스크 대기 큐에 먼저 들어온 순서로 실행
  • 디스크 오버헤드가 적을 때 효율적
  • 프로그래밍이 쉬움
  • 헤드 이동거리가 상당히 길어질 수 있다.
  • 디스크 오버헤드가 커지면 응답시간이 길어진다.
  • 탐색 시간을 최적화하려는 시도가 없는 기법

SSTF

  • Short Seek Time First
  • 탐색거리가 가장 짧은 트랙에 대한 요청을 먼저 서비스
  • 현재 헤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트랙으로 헤드를 이동
  • FCFS보다 처리량이 많고 평균 탐색 시간이 짧다.
  • 일괄 처리 시스템에 유용
  • 먼 거리의 트랙은 무한정 기다릴 수도 있음
  • 응답 시간 편차가 크기 때문에 대화형 시스템에 부적합

SCAN

  • SSTF가 갖는 탐색 시간의 편차를 해소하기 위한 기법
  • Denning이 개발, 대부분의 디스크 스케쥴링에서 기본 전략으로 이용
  • 현재 헤드의 위치에서 진행방향이 결정되면 탐색 거리가 짧은 순서에 따라 그 방향의 모든 요청을 서비스하고, 끝까지 이동하면 역방향으로 요청 사항을 서비스
  • 헤드가 이동하면서 새로운 요청이 서비스됨
  • 현재 진행방향에 더 이상의 요청이 없을 때만 방향을 바꿈
  • SSTF에서 발생하는 응답 시간의 편차 감소
  • 오버헤드가 적을 경우 가장 효율적인 기법

C-SCAN

  • Cicular SCAN
  • 항상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움직이면서 가장 짧은 탐색 거리를 갖는 요청을 서비스
  • 헤드는 트랙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한 방향만 움직이며 서비스하여 끝까지 이동한 후 안쪽에 더 이상의 요청이 없으면 헤드는 가장 바깥쪽의 끝으로 이동한 후 다시 안쪽으로 이동하면서 요청을 서비스
  • 처음과 마지막 트랙을 인접시킨 것과 같은 원형 형태로 디스크를 처리
  • 새로운 요청이 도착하면 다음 헤드가 진행할 때 서비스
  • 트랙 안쪽과 바깥쪽 요청에 대한 서비스가 공평

LOCK

  • SCAN 기법을 기초로 사용하되 마지막 요청을 서비스한 후 그 방향의 끝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기법

C-LOCK

  • C-SCAN 기법을 기초로 사용하되 바깥쪽에서 안쪽 방향의 모든 요청을 처리한 후 가장 바깥쪽 요청 트랙으로 이동한 후 안쪽 방향으로 요청을 서비스

N-SCAN

  • N-step SCAN
  • SCAN 기법의 무한 대기 발생 가능성을 제거한 것
  • 어떤 방향의 진행이 시작될 시에 대기 중이던 요청들만 서비스하고 진행 도중 들어온 요청은 한데 모아서 다음 반대 방향 진행 때 서비스하는 기법
  • SSTF나 SCAN보다 응답시간의 편차가 적다.
  • 특정 방향에 많은 수의 요청이 도착할 경우 반대 방향에서의 무한 지연 발생을 방지
  • 진행도중 도착한 요청은 반대 방향 진행시 서비스하기 위해 디스크 대기 큐에 저장

Eschenbach

  • 에션바흐는 부하가 매우 큰 항공 예약 시스템을 위해 개발
  • 탐색 시간과 회전 지연 시간을 최적화하기 위한 최초의 기법
  • 헤드는 C-SCAN처럼 움직이며 모든 실린더는 그 실린더에 요청이 있던 없던 전체 트랙이 한 바퀴를 회전할 동안에 서비스를 받음

SLTF

  • Shortest Latency Time First = Sector Queuing
  • 회전 지연 시간의 최적화를 위해 구현된 기법
  • 드럼에서 사용

파일

  • 사용자가 작성한 서로 관련 잇는 레코드의 집합체
  • 프로그램 구성의 기본 단위며 보조기억장치에 저장
  • 소멸성 : 파일을 추가하거나 제거하는 작업의 빈도수
  • 활성률 : 프로그램이 한번 수행되는 동안 처리되는 레코드 수의 백분율
  • 크기 :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량

파일 시스템

  • 파일의 저장, 액세스, 공유, 보호 등 보조기억장치에서의 파일을 총괄하는 파일 관리 기술
  • 사용자와 보조기억장치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
  • 사용자가 파일을 생성, 수정,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 파일을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여러 종류의 액세스 제어방법 제공
  • 사용자가 적합한 구조로 파일을 구성
  • 파일의 예비와 복구 등의 기능 제공
  • 사용자가 물리적 장치 이름 대신에 기호화된 이름을 사용할 수 있게 함
  • 사용자가 파일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파일의 논리적 상태를 보여줘야함
  • 파일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하고 파일이 보호되어야함
  • 파일 정보가 손실되지 않도록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
  • 파일 단위 작업 : Open Close Create Copy Destory Rename List
  • 파일 내 레코드 단위 작업 : Read Write Update Insert Delete Search

파일 디스크립터

  • File Descriptor = 파일 서술자 = FCB = File Control Block = 파일 제어 블록
  • 시스템이 필요로하는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제어블록
  • 파일마다 독립적으로 존재
  • 시스템에 따라 다른 구조를 가짐
  • 보조기억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다가 해당 파일이 열릴 때 주기억장치로 옮겨짐
  • 파일 시스템이 관리하므로 사용자가 참조 불가
  • 파일 디스크립터의 정보
    • 파일 이름 및 파일 크기
    • 보조기억장치에서의 파일 위치
    • 파일 구조 : 순차, 색인 순차, 색인 파일..
    • 보조기억장치의 유형
    • 액세스 제어 정보
    • 파일 유형 : 텍스트, 목적 프로그램...
    • 생성 날짜와 시간
    • 제거 날짜와 시간
    • 최종 수정 날짜와 시간
    • 액세스한 횟수

파일 구조

파일 접근 방법이라고도 한다.

순차 파일

  • Sequential File = 순서 파일 = 순차 접근 방식 = SAM = Sequential Access Method
  • 레코드를 논리적인 처리 순서에 따라 연속된 물리적 저장공간에 기록하는 것
  • 레코드들이 순차적으로 기록되어 판독할 때도 순차적으로 접근
  • 자기 테이프를 모형화한 구조
  • 일괄 처리에 적합한 구조
  • 레코드를 삽입하거나 삭제하는 경우 파일 전체를 복사한 후 수행하므로 시간이 오래 걸림
    • 파일 전체를 복사
    • 복사된 파일을 대상으로 레코드를 특정 위치에 삽입하거나 삭제
    • 모든 레코드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재배치
    • 재비치된 복사파일을 원래 파일로 저장

직접 파일

  • Direct File = 직접 접근 방식 = DAM = Direct Access Method
  • 파일을 구성하는 레코드를 임의의 물리적 저장공간에 기록하는 것
  • 레코드에 특정 기준으로 키가 할당
  • **해싱 함수(사상함수)**를 이용하여 이 키에 대한 보조기억장치의 물리적 상대 레코드 주소를 계산한 후 해당하는 주소에 레코드를 저장
  • 레코드는 해싱 함수에 의해 계산된 물리적 주소를 통해 접근
  • 임의 접근이 가능한 자기 디스크나 드럼을 사용
  • 접근 시간이 빠르고 레코드의 삽입, 삭제, 갱신이 용이
  • 레코드의 주소 변환 과정이 필요해 시간 소요
  • 기억공간의 효율 저하
  • 기억장치의 물리적 구조에 대한 지식 필요
  • 프로그래밍이 복잡

색인 순차 파일

  • Indexed Sequential File = 색인 순차 접근 방식 = ISAM = Index Sequential Access Method
  • 순차 파일과 직접 파일에서 지원하는 편성 방법이 결합된 형태
  • 각 레코드를 키 값 순으로 논리적으로 저장하고 시스템은 각 레코드의 실제 주소가 저장된 색인을 관리
  • 레코드 참조시 색인을 탐색한 후 색인이 가리키는 포인터를 사용하여 참조
  • 자기디스크에서 많이 사용
  • 자기테이프에서 사용 불가
  • 순차처리나 임의처리가 모두 가능
  • 효율적인 검색 가능하고 삽입 삭제 갱신이 용이
  • 색인영역이나 오버플로 영역을 설정해야하므로 기억공간이 필요
  • 색인을 이용하여 참조하기 때문에 접근 시간이 직접파일보다 느리다.

구성

  • 기본 영역 : Prime Area 실제 레코드가 기록되는 데이터 영역
  • 색인 영역 : Index Area 레코드들의 위치를 찾아가는 색인이 기록되는 영역
  • 오버플로 영역 : Overflow Area 예비로 확보해 둔 영역

분할파일

  • 하나의 파일을 여러 개로 분할하여 저장하는 형태
  • 여러 개의 순차 서브파일로 구성된 파일
  • 백업과 같이 하드디스크에 있는 내용을 테이프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할 때 사용
  • 파일의 크기가 클 경우 사용

디렉터리 구조

1단계 디렉터리 구조

  • 단일 디렉터리 구조
  • 모든 파일이 하나의 디렉터리 내에 위치하여 관리되는 구조
  • 모든 파일들이 유일한 이름을 갖고 있어야함
  • 모든 파일이 같은 디렉터리 내에 유지되므로 이해가 쉬움
  • 파일이나 사용자의 수가 증가하면 파일 관리가 복잡
  • 파일명은 일반적으로 내용과 관련된 이름을 사용
  • 파일명의 길이는 시스템에 따라 제한을 받음

2단계 디렉터리 구조

  • 중앙에 마스터 파일 디렉터리(MFD)가 있고, 그 아래 사용자별 파일 디렉터리(UFD)가 있는 2계층 구조
  • 마스터 파일 디렉터리는 각 사용자의 정보와 사용자 파일 디렉터리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갖고 있으며 사용자 파일 디렉터리를 관리
  • 사용자 파일 디렉터리는 오직 한 사용자가 갖고 있는 파일들에 대한 정보를 가짐
  • 각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파일 디렉터리를 검색할 수 없음
  • 한 사용자 파일 디렉터리에서는 유일한 파일이름을 사용해야되나 서로 다른 사용자라면 동일한 파일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

트리 디렉터리 구조

  • 하나의 루트 디렉터리와 여러 개의 서브 디렉터리로 구성된 구조
  • DOS, UNIX, Windows의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디렉터리 구조
  • 디렉터리 탐색은 포인터를 사용

비순환 그래프 디렉터리 구조

  • 비주기 그래프 디렉터리 = Acyclic Graph Directory
  • 하위 파일이나 하위 디렉터리를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
  • 사이클이 허용되지 않는 구조 = 하위 디렉터리가 상위 디렉터리나 상위 파일을 공유할 수 없다.
  • 하나의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여러 개의 경로로 접근이 가능
  • 디렉터리 구조가 복잡하고 시스템 성능이 저하됨
  • 공유된 파일을 삭제할 경우 고아포인터(Dangling Pointer)가 발생

일반적인 그래프 디렉터리 구조

  • 트리 구조에 링크를 첨가시켜 사이클을 허용하는 그래프 구조
  • 디렉터리와 파일 공유에 완전한 융통성
  • 탐색 알고리즘이 간단하여 파일과 디렉터리를 액세스하기 쉬움
  • 사용되지 않은 디스크 공간을 되찾기 위해 가비지 컬렉션이 필요
  • 가비지 컬렉팅을 해야되기에 참조 계수기가 필요

디스크 공간 할당 방법

연속 할당

  • Contiguous Allocation
  • 연속된 공간에 할당하는 방법으로 생성되는 파일의 크기만큼 공간이 있어야함
  • 논리적으로 연속된 레코드가 물리적인 저장공간에도 연속적으로 저장됨
  • 파일의 생성과 삭제가 반복되면 단편화 발생
  • 단편화를 줄이기 위해 재배치에 의한 주기적인 압축이 필요
  • 파일의 크기가 시간에 따라 변경될 경우 구현하기 어려움

불연속 할당

  • Non-Contiguous Allocation
  • 디스크 공간을 일정 단위로 나누어 할당하는 기법

섹터 단위 할당

  • 하나의 파일이 디스크 섹터 단위로 분산되어 할당되는 방법
  • 하나의 파일에 속하는 섹터들이 연결 리스트로 구성
  • 디렉터리는 파일의 시작과 마지막 주소에 대한 정보만 가지고 있음
  • 섹터 단위로 저장되므로 디스크 단편화가 발생되지 않음
  • 파일의 크기만큼 연속된 공간이 없어도 저장 가능
  • 레코드 검색시 파일이 속한 레코드를 순차적으로 검색해야 하므로 탐색시간이 오래 걸린다.
  • 직접 접근이 불가능

블록 단위 할당

  • 하나의 파일이 연속된 여러 개의 섹터를 묶은 블록 단위로 할당되는 방법

블록 체인 기법

  • 할당 단위를 블록으로 구성하는 방법
  • 하나의 블록은 러 개의 섹터로 구성
  • 디렉터리는 파일의 첫 번째 블록을 가리키는 포인터를 가지고 있음
  • 하나의 블록은 데이터와 다음 블록을 가리키는 포인터로 구성
  • 삽입 삭제시 포인터만 수정하면 되므로 간단
  • 순차적으로 탐색해야 되므로 속도가 느림

색인 블록 체인 기법

  • 인덱스 블록 체인 기법
  • 파일이 할당된 블록의 모든 포인터를 색인 블록에 모아 직접 접근이 가능
  • 디렉터리는 파일의 색인 블록에 대한 포인터를 갖고 있음
  • 색인 블록의 포인터를 사용하여 직접 접근이 가능해 탐색 시간이 빠름
  • 삽입시 색인 블록을 재구성

블록 지향 파일 사상 기법

  • 포인터 대신 파일 할당 테이블(File Allocation Table)에 있는 블록번호를 사용하는 기법
  • 파일 할당 테이블에는 각 블록에 해당하는 항목이 있고 각 항목은 블록번호에 의해 색인된다.
  • 블록 번호에 의해 색인된 테이블의 각 항목은 다음 블록의 블록번호를 가짐
  • 디스크 구조의 특성상 블록번호는 실제 기억공간의 주소로 쉽게 변환 가능
  • 데이터의 삽입 삭제가 용이
  • 디렉터리는 파일 할당 테이블의 시작위치를 가지고 있음

자원 보호

  • 불법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제어
  • 자원의 물리적인 손상을 예방하는 기법
  • 접근 제어 행렬, 전역 테이블, 접근 제어 리스트, 권한(자격) 리스트

접근 제어 행렬 기법

  • Access Control Matrix
  • 자원보호의 일반적인 모델
  • 객체에 대한 접근 권한을 행렬로써 표시한 기법

전역 테이블 기법

  • Global Table
  • 가장 단순한 구현 방법
  • 세 개의 순서쌍인 영역, 개체, 접근 권한의 집합을 목록 형태로 구성
  • 테이블이 매우 커서 주기억장치에 저장할 수 없으므로 가상기억장치 기법을 사용해야한다.
  • 주기억장치에 저장될 경우 공간 낭비

접근 제어 리스트

  • Access Control List
  • 접근 제어 행렬에 있는 각 열, 즉 객체를 중심으로 접근 리스트를 구성
  • 각 객체에 대한 리스트는 영역, 접근권한의 순서쌍으로 구성되며 객체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갖는 모든 영역을 정의

권한 리스트 기법

  • Capability List = 자격 리스트
  • 접근 제어 행렬에 있는 각 행, 즉 영역을 중심으로 권한 리스트를 구성
  • 권한 리스트는 영역과 결합되어 있지만 그 영역에서 수행중인 프로세스가 직접 접근할 수는 없다.
  • 권한 리스트는 운영체제에 의해 유지되며 사용자에 의해 간접적으로만 접근이 되는 보호된 객체이기 때문

Lock-Key 기법

  • 접근 제어 리스트와 권한 리스트를 절충한 기법
  • 객체는 Lock 영역은 Key라 불리는 유일 값을 가지고 있어 영역과 객체가 일치하는 경우만 해당 객체를 접근 가능

파일 보호 기법

  • 자원 보호 기법과 마찬가지로 파일에 대한 일방적인 접근과 손상 및 파괴를 방지하기 위함
  • Naming, Password, Access Control
  • 파일의 명명 : 접근하고자 하는 파일 이름을 모르는 사용자를 접근 대상에서 제외
  • 비밀번호
  • 접근 제어 : 공유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제어, 각 파일마다 접근 목록을 둔다.

보안

  • 컴퓨터 시스템 내에 있는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대해 통제된 접근 방식을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를 다루는 것
  • 컴퓨터 시스템 내의 자원을 보호하고 대응하기 위한 일련의 정책과 행위
  • 프로그램, 프로세스 또는 사용자의 허용된 권한 외의 접근을 제한

보안 요건

  • 기밀성 : Confidentiality 자원은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접근이 허용, 노출되어도 데이터를 읽을 수 없음
  • 무결성 : Integrity 오직 인가된 사용자만 수정 가능
  • 가용성 : Availability 인가받은 사용자는 언제든 사용 가능
  • 인증 : Authentication
  • 부인 방지 : NonRepudiation 데이터를 송수신한 자가 송수신 사실을 부인할 수 없도록 송수신 증거 제공

보안 유지 기법

  • 외부 보안
    • 시설보안
    • 운용보안 : 사용자마다 인가된 등급 부여
  • 사용자 인터페이스 보안 : 사용자의 신원 확인
  • 내부 보안
    •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 내장된 보안 기능 사용
    • 하드웨어나 운영체제 내에 접근 제어 코드를 내장

보안 위험 감소 방법

  • 사용자 감시 : User Surveillance
  • 위험 탐지 : Threat Monitoring
  • 확충 : Amplification
  • 패스워드 보호

정보 보안 기법

비밀키 시스템

  • Private Key System
  •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대칭 암호화 기법
  • 암/복호화의 속도가 빠르며 알고리즘이 단순
  • 파일 크기가 작음
  • 사용자가 많아지면 관리할 키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지고 키의 분배가 어려워짐
  • DES (Data Encryption Standard)

공용키 시스템

  • Public Key System
  • 서로 다른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비대칭 암호화 기법
  • 키의 분배가 용이하고 관리해야할 키의 개수가 적음
  • 암/복호화 속도가 느리며 알고리즘이 복잡
  • 파일의 크기가 큼
  • RSA (Rivest Shamir Adleman)

디지털 서명 기법

  • Digital Signature Mechanism
  • 고유의 전자 서명으로 송신자가 전자 문서 송신 사실을 부인할 수 없도록 함
  • 작성 내용이 송수신 과정에서 변조된 사실이 없다는 것을 증명
  • 공개키 암호화 기법을 사용

여분 정보 삽입 기법

  • Traffic Padding Mechanism
  • 정상 데이터에 여분의 거짓 데이터를 삽입하여 불법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는 공격을 방어하는 기법
  • 삽입한 거짓 데이터가 정상 데이터와 구별이 되지 않아야함

인증 교환 기법

  • Authentication Exchange Mechanism
  • 수신자가 메세지 전송 도중 변경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 메세지가 정당한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접근 제어 기법

  • Access Control Mechanism
  • 데이터에 접근이 허가된 사용자에게만 데이터 사용을 허용하는 정책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

Fault Tolerant System

  • 고장 방지 시스템 = 결함 허용 시스템
  • 시스템 부품 고장이나 프로그램에 버그가 있더라도 시스템 전체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
  • Dual System : 같은 장치를 두 개로 구성하여 하나가 고장나면 다른 하나를 작동시켜 작업을 처리하는 시스템

다중 처리기

  • Multi Processor
  • 하나의 시스템에 여러 개의 처리기를 두어 하나의 작업을 각 처리기에게 할당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
  • 강결합 시스템
  • 실행시간이 감소되고 전체 효율을 향상
  • 하나의 운영체제에 의해 전체 시스템이 제어
  • 하나의 공통된 기억장소를 가짐
  • 프로세서 중 하나가 고장 나도 다른 프로세서들에 의해 작업이 처리되므로 장애극복 가능
  • 각 프로세서는 자체 계산능력을 가짐
  • 프로세서나 주변장치 등을 공동으로 사용
  • 주변장치가 기억장치에 연결되는 방식에 따라 시분할 및 공유버스, 크로스바 교환행렬, 하이퍼 큐브 방식으로 나뉨

시분할 및 공유 버스 연결 방식

  • 각종 장치들을 버스 하나로 연결한 방식
  • 장치 연결이 단순하고 경제적이며 융통성이 있음
  • 장치 추가 용이
  • 한 시점에 하나의 전송만 가능
  • 버스가 고장나면 시스템이 먹통
  • 시스템 전체 전송량이 버스의 전송률에 의해 제한
  • 장치들의 경쟁 상태가 발생하면 시스템 효율이 저하

크로스바 교환 행렬 연결 방식

  • 시분할 및 공유 버스 방식에서 버스의 수를 기억장치의 수만큼 증가시켜 연결한 방식
  • 각 기억장치마다 다른 경로를 사용 가능
  • 두 개의 서로 다른 기억장치를 동시에 참조
  • 장치의 연결이 복잡

하이퍼 큐브 연결 방식

  • 다수의 프로세서들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경제적
  • 네 개의 프로세서를 두 개 씩 서로 이웃하게 연결한 사각형 모양의 2차원 하이퍼 큐브를 만들고, 여기에 대응점을 각각 연결하여 3차원 하이퍼 큐브를 형성하고.. 계속 늘린다.
  • 다수의 프로세서를 연결할 수 있으며 확장성이 좋음
  • 많은 프로세서를 연결시에 비용이 급속도로 증가
  • 하나의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다른 프로세서의 수가 (연결점) n개일 경우 프로세서는 총 2^n개가 필요

다중 포트 기억장치 연결 방식

  • 시분할 및 공유 버스방식과 크로스바 교환 행렬 방식을 혼합한 형태의 방식
  • 많은 수의 프로세서를 쉽게 연결 가능
  • 다양한 연결이 가능하다.
  • 전송 시간이 비교적 느림

다중 처리기의 운영체제 구조

주종 처리기

  • Master / Slave 처리기
  • 하나의 프로세서를 Master로 지정하고 나머지는 Slave로 지정하는 구조
  • 주 프로세서가 고장나면 전체 시스템 먹통
  • 주 프로세서만 입출력을 수행하므로 비대칭 구조
  • 주 프로세서
    • 입출력과 연산 담당
    • 운영체제 수행
  • 종 프로세서
    • 연산만 담당
    • 입출력발생시 주프로세서에 요청
    • 사용자 프로그램만 담당

분리 실행 처리기

  • 주/종처리기의 비대칭성을 보완하여 각 프로세서가 독자적인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도록 구성
  • 각 프로세서에서 발생하는 인터럽트는 해당 프로세서에서 해결
  • 한 프로세서에 일이 밀려있어도 다른 프로세서는 유휴상태가 될 수 있다.

대칭적 처리기

  • 분리 실행 처리기를 보완하여 여러 프로세서들이 완전한 기능을 갖춘 하나의 운영체제를 공유하여 수행하는 구조
  • 가장 복잡하지만 가장 강력함
  • 여러 개의 프로세서가 동시에 수행 가능
  • 모든 프로세서가 동등한 권한을 가짐
  • 메모리와 입출력장치를 공유
  • 프로세서간의 통신은 공유 메모리를 통해 이루어짐
  • 공유된 장치를 사용할 때 대립문제가 발생하므로 대비책 필요
  • 프로세서의 수를 늘려도 시스템 효율은 향상되지 않음

약결합 시스템

  • Loosely Coupled System = 분산 처리 시스템
  • 프로세서마다 독립된 메모리를 가진 시스템
  • 둘 이상의 독립된 컴퓨터 시스템을 통신망을 통해 연결한 시스템
  • 시스템마다 독자적인 운영체제를 가짐
  • 각 시스템마다 독자적인 운영이 가능하므로 프로세서간 결합력이 약함
  • 프로세서 간 통신은 메세지 전달이나 원격 프로시져 호출을 통해 이뤄짐

강결합 시스템

  • Tightly Coupled System = 다중 처리 시스템 = 병렬 처리 시스템
  • 동일 운영체제 하에서 여러 개의 프로세서가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시스템
  • 하나의 운영체제가 모든 프로세서와 시스템 하드웨어를 제어
  • 프로세서 간의 통신은 공유 메모리를 통해 이뤄짐
  • 하나의 메모리를 사용하므로 프로세서 간의 결합력이 강함
  • 공유 메모리를 차지하는 프로세서 간의 경쟁을 최소화 해야함

분산 처리 시스템

  •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 약결합 시스템으로 독립적인 처리능력을 가진 컴퓨터 시스템을 통신망으로 연결한 시스템
  • 사용자는 각 컴퓨터 위치를 몰라도 자원을 사용 가능
  • 중앙 집중형 시스템에 비해 개발이 어려움
  • 보안 문제 발생
  • 시스템 유지상 통일성을 잃기 쉬움
  • 시스템 설계가 복잡하고 데이터 처리 서비스의 질이 떨어짐

설계 목적

  • 자원 공유
  • 연산 속도 향상
  • 신뢰도 향상 : 여러 시스템 중 하나의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해도 다른 시스템에서 처리 가능
  • 컴퓨터 통신 : 지리적으로 멀어도 정보 교환 가능

투명성

  • Transparence
  • 분산 처리 운영체제에서 구체적인 시스템 환경을 사용자가 알 수 없도록 함
  • 환경을 알지 못해도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 자원의 위치나 정보가 변경되더라도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게 함

종류

  • 위치 투명성 : 물리적 위치를 몰라도 자원에 접근 가능
  • 이주 투명성 :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의 동작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스템 내에 있는 자원을 이동 가능
  • 복제 투명성 : 자원의 복제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필요 없이 자유로이 복제
  • 병행 투명성 : 자원을 병행 처리하고 공유 가능
  • 접근 투명성
  • 성능 투명성 :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시스템 재구성 가능
  • 규모 투명성 : 시스템 구조나 알고리즘의 변경 없이 확장 가능
  • 고장 투명성 : 고장이 나도 작업 가능

계층구조

  • 하드웨어 계층
  • 기억장치 계층
  • 프로세스 계층
  • 파일시스템 계층
  • 사용자 프로그램 계층

분산 파일 시스템

  • 여러 사이트에 분산되어 있는 서버, 장치, 사용자들에 대한 파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분산 시스템이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파일 서비스는 여러 개의 기억장치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이뤄짐
  • 서로 다른 컴퓨터 사용자 간에 정보를 쉽게 공유 가능
  • NFS : 선 마이크로 시스템에서 개발
  • LoCUS : 캘리포니아 대에서 개발
  • Andrew : 카네기 멜론 대학에서 개발

분산 처리 시스템 분류

위상에 따른 분류

망형 - 완전 연결

  • Full Connection
  • 각 사이트들이 시스템 내의 다른 모든 사이트와 직접 연결된 구조
  • 사이트 수가 n개이면 링크 수는 n(n - 1) / 2
  • 모든 사이트를 연결해야 하므로 기본비용은 많이 들지만 통신비용은 적다.
  • 하나의 링크가 고장나도 다른 링크를 이요하므로 신뢰성이 높다.

망형 - 부분 연결

  • Partially Connection
  • 시스템 내의 일부 사이트들 간에만 직접 연결하는 구조
  • ㅈ기접 연결되지 않은 사이트는 연결된 타 사이트를 통해 통신

트리 또는 계층형

  • Tree, Hierarchy
  • 분산 처리 시스템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
  • 각 사이트들이 트리 형태로 연결된 구조
  • 부모 사이트의 자식 사이트는 그 부모 사이트를 통해 통신이 이뤄짐
  • 부모 사이트가 고장나면 자식 사이트는 통신이 불가능

성형

  • 스타형
  • 모든 사이트가 하나의 중앙 사이트에 직접 연결되어 있고 다른 사이트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은 구조
  • 기본 비용은 사이트 수에 비례하며 통신비용이 적다.
  • 구조가 간단하고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하다.
  • 중앙 사이트가 고장나면 다 먹통
  • 데이터 전송이 없는 사이트가 접속된 통신회선은 휴지 상태가 된다.

환형

  • 링형
  • 시스템 내의 각 사이트가 인접하는 달느 두 사이트와만 직접 연결된 구조
  • 정보는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전달 가능
  • 특정 사이트가 고장나면 통신이 불가능해짐

다중 접근 버스 연결

  • Multi Access Bus Connection
  • 시스템 내의 모든 사이트들이 공유 버스에 연결된 구조
  • 기본 비용은 사이트 수에 비례하고 통신 비용은 일반적으로 저렴

범위에 따른 분류

LAN

  • 근거리 통신망
  • 버스형이나 링형 사용

WAN

  • 광대역 통신망
  • 국가-국가간 대륙-대륙간
  • 일정 지역 사이트를 근거리 통신망으로 연결 후 각 근거리 통신망을 연결하는 방식

프로세서 모델에 따른 분류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하나의 작업을 분산 협동 처리 하는 방식
  • 프로그램의 모듈성과 융통성을 증대

프로세서 풀 모델

  •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풀과 여러 서버가 연결된 형태

혼합 모델

  • Hybrid Model
  • 클라이언트/서버 모델과 프로세서 풀 모델을 혼합한 형태의 방식
  • 사용자는 워크스테이션이나 단말기를 통해 시스템에 접근

운영체제에 따른 분류

네트워크 운영체제

  • 독자적인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는 시스템을 네트워크로 구성한 것
  • 사용자가 원격 시스템으로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으로부터 필요한 자원을 전달 받는 방식
  • 사용자는 시스템의 각 장치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함
  •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진 대규모 시스템에 사용
  • 설계와 구현이 쉽다.
  • 자원 공유가 번거로움

분산 운영체제

  • 하나의 운영체제가 모든 시스템 내의 자원을 관리하는 것
  • 원격에 있는 자원을 마치 지역 자원인 것과 같이 쉽게 접근하여 사용하는 방식
  • 사용이 편리하고 시스템 간 자원 공유가 용이
  • 하나의 운영체제가 시스템 전체를 관리해야 하므로 설계와 구현이 어려움
  • 요청한 컴퓨터에 요청된 컴퓨터의 자원이 이주됨으로 자원 사용 가능
  • 데이터 이주
    • 데이터를 요청한 사용자의 컴퓨터로 해당 데이터의 복사본을 전송 시키는 방식
    • 사용자가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 데이터의 복사본을 원래 컴퓨터로 돌려보냄
  • 연산 이주
    • 요청한 데이터가 있는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해당 결과를 요청한 컴퓨터에게 보내는 방식
    • 결과를 전송시키는 것
  • 프로세스 이주 : 프로세스의 전체 또는 일부를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방식

UNIX

  • 서버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운영체제
  •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 대화식 운영체제
  • 소스가 공개된 개방형 시스템
  • 크기가 작고 이해하기 쉬움
  • 이식성이 높고 프로세스 간 호환성이 높음
  • Multi User, Multi Tasking
  • 트리 구조의 파일 시스템
  • 하나 이상의 작업을 백그라운드에서 수행하므로 여러 작업을 동시 처리 가능

구성

  • 하드웨어
  • 커널
  • 유틸리티
  • 사용자

커널

  • UNIX의 핵심 부분
  • 컴퓨터가 부팅될 때 주기억장치에 적재된 후 상주하면서 실행
  • 하드웨어를 보호하고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
  • 프로세스 관리, 기억장치 관리, 파일 관리, 입출력 관리, 프로세스간 통신, 데이터 전송 및 변환

  • 사용자의 명령어를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
  • 시스템과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
  • DOS의 COMMAND.COM과 같은 기능
  • 보조기억장치에 명령어가 포함된 파일로 존재하며 교체처리가 가능
  • 주기억장치에 상주하지 않는다.

유틸리티

  • 일반 사용자가 작성한 응용 프로그램을 처리하는데 사용
  • 에디터, 컴파일러, 인터프리터, 디버거
  • DOS의 외부명령어

프로세스간 통신

  • 각 프로세스는 시스템 호출을 통해 커널의 기능을 사용
  • 프로세스 간 통신은 시그널, 파이프, 소켓 등을 사용
  • 시그널 : 간단한 메세지를 이용하여 통신, 초기 UNIX
  • 파이프 : 한 프로세스의 출력이 다른 프로세스의 입력으로 사용되는 단방향 통신
  • 소켓 : 프로세스 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쌍방향 통신

UNIX 파일 시스템

파일 시스템

  • 트리 구조
  • 디렉터리나 주변장치를 파일과 동일하게 취급
  • 파일 생성 및 삭제, 보호 기능을 가짐
  • 일반파일, 디렉터리파일, 특수파일 형식 제공

파일 시스템 구조

  • 디스크를 블록으로 분류하여 배치한 구조
  • 부트 블록, 슈퍼블록, 아이노드 블록, 데이터 블록으로 구성
  • 부트 블록 : 부팅 시 필요한 코드를 저장
  • 슈퍼 블록 : 전체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
  • Index-Node 블록 : 각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
    • 파일 소유자의 사용자 번호 및 그룹 번호
    • 파일 크기
    • 파일 타입
    • 생성 시기
    • 최종 변경 시기
    • 최근 사용 시기
    • 파일 보호 권한
    • 파일 링크 수
    • 데이터가 저장된 블록의 시작 주소
  • 데이터 블록 : 디렉터립려로 디렉터리 엔트리와 실제 파일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블록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

  • fork : 프로세스 생성, 하위 프로세서 호출, 프로세스 복제
  • exec : 프로세스 수행
  • exit : 프로세스 종료
  • wait : fort 후 exec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상위 프로세스가 하위 프로세스 종료 등의 event를 기다림
  • kill : 프로세스 제거
  • getpid : 자신의 프로세스 아이디
  • getppid : 부모 프로세스 아이디
  • & : 백그라운드 처리를 위해 명령의 끝에 입력
  • signal : 신호를 받았을 때 프로세스가 취할 동작 지정
  • pipe :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한 경로 설정

파일 및 디렉터리 명령어

  • creat : 파일 생성
  • open : 파일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
  • close : 파일 닫기
  • cp : 복사
  • mv : 파일 이동 또는 이름 변경
  • rm : 파일 삭제
  • cat : 파일 내용 표시
  • chmod : 파일 사용 허가 지정
  • chown : 소유자 변경
  • find : 파일 찾기
  • mknod : 특수 파일 생성
  • mount : 파일 시스템 마운팅
  • mkfs : 파일 시스템 생성
  • fsck : 파일 시스템 검사
  • mkdir : 디렉터리 생성
  • chdir : 디렉터리 위치 변경
  • rmdir : 디렉터리 삭제
  • ls : 디렉터리 파일 목록 확인
  • finger : 사용자 정보 표시

Windows

  • GUI
  • 선점형 멀티태스킹 : 동시에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멀티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운영체제가 각 작업의 CPU 이용시간을 제어하여 응용 프로그램 실행중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시키고 모든 시스템 자원을 반환하는 방식
  • FAT 32 파일 시스템 사용
  • Plug and Play
  • OLE 사용 : 다른 여러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자가 르미 등의 개체를 현재 작성 중인 문서에 자유롭게 연결하거나 삽입하여 편집할 수 있는 기능
  • 255자의 긴 파일명
  • Single User 시스템

MS-DOS

  • CUI
  • Single User
  • Single Tasking
  • 시스템 파일 : 도스의 핵심파일로 주변장치의 입출력과 시스템 전체를 통제, MSDOS.SYS와 IO.SYS가 있다.
  • 명령어 처리기 : COMMAND.COM
  • 자동 일괄 처리 파일 : AUTOEXEC.BAT
  • 환경 설정 파일 : CONFIG.SYS

명령어

내부 명령어

  • COMMAND.COM에 포함되어 있고 메모리에 항상 상주되어 있다.
  • DIR : 파일 목록 표시
  • COPY : 복사
  • TYPE : 파일 내용 표시 (like cat)
  • REN : 파일 이름 변경
  • DEL : 파일 삭제
  • MD : 디렉터리 생성
  • CD : 디렉터리 위치 변경
  • RD : 디렉터리 삭제
  • CLS : 화면 내용을 지움
  • VER : 버전 표시 (like uname)
  • PATH : 파일 탐색 경로 지정

외부 명령어

  • 실행과정이 복잡하거나 자주 사요하지 않는 것
  • 디스크에 파일로 저장
  • 처리속도가 느림
  • UNDELETE : 삭제한 파일 복원
  • SYS : 시스템 파일 복사
  • ATTRIB : 파일 속성 변경 (like chmod)
  • MOVE : 파일 이동
  • FIND : 파일 찾기
  • FORMAT : 포맷
  • UNFORMAT : 포맷한 디스크를 복원
  • CHKDSK : 디스크 상태 점검 (like df)
  • DISKCOPY : 디스크 단위 복사
  • DISKCOMP : 디스크 비교

전자계산기 구조 정리

· 91 min read
  • 영국 수학자 불에 의해 개발
  • AND : 입력 값이 모두 1일 때 1 출력
  • OR : 입력 값이 하나라도 1일 때 1 출력
  • NOT : 부정

기본 공식

  • 합의 곱을 곱의 합으로 변환
  • 분배법칙 예외 : A +(B×C) = (A + B)(B + C)
  • 드모르강
    • (A + B)` = A`×B`
    • (A×B)` = A`+ B`
  • 멱등
    • A + A = A
    • A×A = A
  • 보수
    • A + A` = 1
    • A×A` = 0
  • 항등
    • A + 0 = A
    • A + 1 = 1
    • A×0 = 0
    • A×1 = A
  • 콘센서스
    • AB + BC + CA` = AB + CA`
    • (A + B)(B + C)(C + A`) = (A + B)(C + A`)
  • 복원 : A`` = A
  • 기타
    • A + A`B = A + B
    • A + AB = A

카르노 맵

  • 설계된 논리식을 도표로 표현하여 최소화 하는 방법
  • Karnaugh map = K-map = 카노맵

카르노 맵 AB와 CD의 위치를 바꾸어 계산하는게 쉽다.

00011110
000132
014576
1112131514
10891110

논리 게이트

  • BUFFER : 입력된 정보를 그대로 출력
  • NAND : NOT + AND
  • NOR : NOT + OR
  • XOR : 입력이 같으면 0, 다르면 1
    • X = A⊕B
    • X = A`B + AB`
    • X = (A + B)(A` + B`)
  • XNOR : NOT + XOR
    • X = A⊙B
    • X = (A⊕B)`
    • X = AB + A`B`

조합논리회로

반가산기, 전가산기, 병렬가산기, 반감산기, 전감산기, 디코더, 인코더, 멀티플렉서, 디멀티플렉서, 다수결회로, 비교기 등

반가산기

2진수 두 개를 더한 합과 자리올림수를 구하는 조합논리회로

  • 합은 S, 자리올림(캐리)는 C
  • C = AB
  • S = A`B + AB` = A⊕B

전가산기

1bit 2진수 3자리를 더하여 합과 자리올림수를 구하는 조합논리회로

  • 두 개의 반가산기와 한 개의 OR GATE로 구성
  • 합은 S, 자리올림(캐리)는 C
  • C = (A⊕B)C + AB
  • S = (A⊕B)⊕C
  • 3 × 8 디코더 1개 + 4 입력 OR 게이트 2개로 구성가능

병렬가산기

n bit로 된 2진수 A, B에 대한 덧셈을 n개의 전가산기를 이용하여 구현한 실질적인 가산기

  • 전파지연을 줄이기 위해 Carry Look Ahead 사용
  • 전파지연 : ALU Path에서 가장 긴 Delay

반감산기

1bit 2진수 2자리에 대한 감산을 하는 조합논리회로

  • 차는 D, 빌려온 수는 B
  • B = A`B
  • D = A`B + A`B = A⊕B
  • 2 × 4 디코더 1개 + 3 입력 OR 게이트 1개로 구성가능

디코더

n bit의 코드화된 정보를 그 코드의 각 bit 조합에 따라 2^n개의 출력으로 번역하는 조합논리회로

  • n개의 입력을 2^n개의 출력으로
  • 명령어의 명령부나 번지를 해독할 때 사용
  • 주로 AND 게이트로 구성
  • 부호화된 데이터에서 정보를 찾아냄
  • n × 2^n 디코더의 AND 게이트 수 : 2^n 개
    • 5 × 8 디코더 : 8개

인코더

2^n개의 입력선으로 입력된 값을 n개의 출력선으로 코드화해서 출력하는 조합논리회로

  • 2^n개의 입력을 n개의 출력으로
    • 16개의 입력선일 경우 4개의 출력선 필요 (2^4)

멀티플렉서

2^n개의 입력선 중 1개를 선택하여 그 선에서 입력되는 값을 1개의 출력선으로 출력하는 조합논리회로

  • 2^n개의 입력선 중 1개의 선을 선택하기 위해 n개의 선택선 이용
    • 16개의 입력선일 경우 4개의 선택선 필요 (2^4)
    • 출력선은 하나

디멀티플렉서

1개의 입력선으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2^n개의 출력선 중 1개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회로

  • 2^n개의 출력선 중 1개의 선을 선택하기 위해 n개의 선택선 이용
  • 16개의 출력선일 경우 4개의 선택선 필요 (2^4)
  • 입력선은 하나

순서논리회로

  • 외부의 입력과 현재 상태에 따라 출력이 결정
  • 논리 게이트 외에 메모리 요소와 피드백 기능을 포함
  • 기억기능 존재
  • 출력이 일정한 값을 갖지 않음
  • 플리플롭과 논리 게이트로 구성
  • 동기식과 비동기식으로 나뉨
  • 플리플롭, 카운터, 레지스터, RAM, CPU

플리플롭

  • 전원이 공급되는한 상태의 변화를 위한 외부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현재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논리회로
  • 레지스터, 카운터, 반도체메모리(RAM)의 기본 구성요소
  • 2진수 1bit를 저장 가능
  • 두 개의 NAND 또는 두 개의 NOR 게이트를 이용하여 구성

특성표

순서논리회로의 기능을 나타내는 표로 입력선의 값에 따라 현재 상태가 다음 상태로 어떻게 변하여 저장되는지를 나타낸다.

여기표

특성표 대신 순서논리회로의 기능을 표로 나타낸 것, 현재 상태 값을 새로운 값으로 변경시키려면 입력선으로 어떤 값을 입력해야 하는가를 나타낸다. 출력을 이용하여 입력을 알아내는 것.

RS 플립플롭

  • Reset-Set FF
  • 특성표
SRQ
00
010
101
11不可
  • 여기표는 특성표를 떠올리면 구할 수 있다.

D 플립플롭

  • RS 플리플롭의 R선에 인버터(NOT 연산자)를 추가하여 S선과 하나로 묶어서 입력선을 하나만 구성한 플립플롭
  • 입력값을 그대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
  • 특성표
DQ
00
11

JK 플립플롭

  • RS에서 S=1, R=1일 때 동작하지 않는 점을 보완한 플립플롭
  • RS 플립플롭의 입력선 S와 R에 AND 게이트 2개를 추가하여 JK 플립플롭의 입력선 J와 K로 사용한다.
  • 모든 플립플롭의 기능을 포함한다.
  • 플립플롭의 네가지 기능을 모두 갖춘 것을 찾으라는 문제가 나오면 RS가 있으면 RS, JK가 있으면 JK
  • 특성표
SRQ
00
010
101
11보수
  • 여기표는 특성표를 떠올리면 구할 수 있다.

T 플립플롭

  • JK 플립플롭의 두 입력선을 묶어서 한 개의 입력선으로 구성한 플립플롭
  • T=1인 경우 현재 상태를 토글한다. 보수가 출력된다.
  • 카운터에 이용
TQ
0
1보수

M/S 플립플롭

  • 마스터-슬레이브 플립플롭
  • 출력 측의 일부가 입력 측에 피드백되어 유발되는 레이스 현상을 없애기 위해 고안된 플립플롭
  • 두 개의 플립플롭으로 구성
  • 레이스 현상 : 입력이 되는 조합회로의 출력을 플리플롭이 받는 동안 플리플롭의 내부 상태가 변하고 있으면 그 상태값이 피드백통로를 통해 조합회로로 전달되므로 회로가 불안정해지는 현상

자료 구성 단위

비트

  • 자료, 정보 표현의 최소 단위
  • 0과 1을 표시하는 2진수 1자리

니블

  • 4bit가 모여 구성
  • 16진수 1자리를 표현하기에 적합

바이트

  • 문자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
  • 8bit가 모여 1Byte
  • 1Byte는 256가지의 정보를 표현(2^8bit)
  • Alphanumeric은 1Byte, 한글한자는 2Byte
  • KB = 2의 10승, MB = 2의 20승...

워드

  • 컴퓨터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명령 단위
  • 전워드 : 4Byte (full word)
  • 하프워드 : 2Byte (반워드)
  • 더블워드 : 8Byte

필드

  • 파일 구성의 최소 단위
  • 의미 있는 정보를 표현하는 최소 단위

레코드

  • 하나 이상의 관련된 필드가 모여서 구성
  • 컴퓨터 내부 자료 처리 단위
  • 논리 레코드를 의미

블록

  • 물리 레코드
  • 하나 이상의 논리 레코드가 모여서 구성
  • 각종 저장 매체와의 입출력 단위를 의미

파일

  • 프로그램 구성의 기본 단위
  • 같은 종류의 여러 레코드가 모여서 구성

데이터베이스

  • 여러 개의 관련된 파일의 집합
  • 관계형, 계층형, 망형 DB

진법

2진수

정수는 나누고 소숫점은 곱하고

8진수

2진수를 구하고 3자리씩 묶고

16진수

2진수를 구하고 4자리씩 묶고

보수

  • 덧셈회로를 이용하여 뺄셈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
  • 1의 보수 : 그냥 반전
  • 2의 보수
    • 1의 보수를 구한 뒤 1을 더함
    • 뒤에서부터 1이 나올때까지는 그냥쓰고 나머지는 반전

뺄셈

  • 1의 보수 이용 : 자리올림이 발생하면 결과에 자리올림수를 더한다.
  • 2의 보수 이용 : 자리올림이 발생하면 버린다.

고정 소수점

정수 데이터 표현 및 연산에 사용하는 방법

2진연산

  • 정수값을 2진수로 변환하여 표현하는 방식
  • 표현할 수 있는 범위가 작음
  • 연산속도 빠름
  • 맨처음 1bit는 부호비트로 사용

음수연산

  • 부호화 절대치법 : 양수 표현에 대해 부호비트만 바꾼다.
  • 부호화 1의 보수법 : 양수 표현에 대해 1의 보수를 구한다.
  • 부호화 2의 보수법 : 양수 표현에 대해 2의 보수를 구한다.
    • 1의 보수 표현법에 비해 음수 1개를 더 표현할 수 있다.
    • 자리올림을 무시하므로 1의 보수 표현에 비해 연산이 간단하다.
    • 0이 하나만 존재한다.

부호화 2진 표현을 10진수로 변경시

  1. 부호 비트를 빼고 2의 보수 연산
  2. 부호를 대입

10진연산

언팩연산

  • 존형 10진연산 = Zone Decimal
  • 연산이 불가능하다.
  • 데이터 입출력에 사용
  • 1Byte로 10진수 1자리를 표현
  • 4개의 존 비트와 4개의 숫자 비트를 사용
  • 최하위 바이트의 존 부분을 부호로 사용
  • Zone = F, Digit = 4Bit 2진수
  • Sign = 양수 C, 음수 D, 부호 없는 양수 F

팩연산

  • 연산이 가능
  • 데이터 입출력 불가능
  • 1Byte로 10진수 2자리를 표현
  • 최하위 바이트의 마지막 4Bit를 부호로 사용
  • Digit = 4Bit 2진수
  • Sign = 양수 C, 음수 D, 부호 없는 양수 F

부동소수점

  • 매우 크거나 작은 수, 매우 정밀한 수를 적은 비트로 표현 가능
  • 연산시간이 느림
  • 부동 소수점의 연산 수행횟수를 FLOPS로 표시
    • FLOPS : FLoating point Operations Per Second, 컴퓨터 연산속도의 단위
  • 지수부와 가수부를 분리하는 정규화 과정 필요 정규화 : 0.1 <= 가수부분 < 1 을 만족시키게 변경
  • 4Byte를 사용하는 단정도와 8Byte를 사용하는 배정도 표현법
  • 지수부에는 정규화해서 분리한 지수값을 64Bias법으로 표현
    • 64Bias : 지수 7Bit에 100 0000이 입력되어 있고 2^n의 n만큼을 더하고 뺴서 지수를 표현하는 방식

IEEE 표준

  • IEEE 754 표준
  • 정규화시 가수부가 1이되게 정규화
  • 127Bais를 사용해 지수 8Bit에 0111 1111이 들어있음
구분크기부호지수가수
single321823
double6411152
extended8011168

연산

덧셈 및 뺄셈

  1. 0인지 확인
  2. 지수가 큰쪽에 수를 맞추어 정규화
  3. 연산
  4. 결과 정규화

곱셈

  1. 0인지 확인
  2. 지수 덧셈
  3. 가수 곱셈
  4. 결과 정규화

나눗셈

  1. 0인지 확인
  2. 레지스터 초기화
  3. 부호 결정
  4. 나눠지는 수가 나누는 수보다 작게 나눠지는 수를 정규화
  5. 지수 뺄셈
  6. 가수 나눗셈

자료 표현

BCD

  • 2진화 10진코드 = Binary Coded Decimal
  • 6Bit 코드로 IBM에서 개발
  • 1개의 문자를 2개의 Zone Bit와 4개의 Digit Bit로 표현
  • 6Bit이므로 64개 문자 표현 가능
  • 1Bit의 Parity Bit를 추가해 7Bit로 사용
  • 영소문자 표현 불가

ASCII

  •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 7Bit 코드로 미국 표준협회에서 개발
  • 7Bit이므로 128개의 문자 표현 가능
  • 1Bit의 Parity Bit를 추가해 8Bit로 사용
  • 영대소문자, 숫자, 제어문자, 특수문자 등 표현 가능
  • 통신 제어용 및 마이크로 컴퓨터의 기본코드로 사용

EBCDIC

  • 8Bit 코드로 IBM에서 개발
  • 1개의 문자를 4개의 Zone Bit와 4개의 Digit Bit로 표현
  • 8Bit이므로 256개의 문자 표현 가능
  • 1Bit의 Parity Bit를 추가해 9Bit로 사용
  • 특수문자, 영대소문자, 숫자 등 표현 가능

BCD 코드

  • 10진수 1자리를 2진수 4Bit로 표현
  • 8421 코드
  • 가중치 코드
    • 2진수 각 자리가 고유한 값을 가지는 코드
  • BCD에서 Zone을 생략한 형태
  • 10진수 입출력이 간편

Excess3 코드

  • BCD 코드에 3을 더하여 만든 코드
  • 모든 비트가 동시에 0이 되는 경우가 없다.
  • 3 초과 코드
  • 자기보수 코드
  • 비가중치 코드
  • 10진수를 표현하기 위함이다.
  • 보수를 구하기 편해 산술연산에 좋다.

Gray 코드

  • BCD 코드의 인접하는 Bit를 XOR 연산하여 만든 코드
  • 코드 변환이 용이
  • 입출력장치, A/D변환기, 주변장치 등에서 숫자를 표현할 때 사용
  • 1Bit만 변화시켜 다음 수치로 증가시키기 때문에 하드웨어 오류가 적다.
  • 2진수를 Gray로 변경시 : n자 모양으로 연산
    • 첫번째 그레이 비트는 2진수 첫번째 비트 그대로
    • 2진수 비트를 앞뒤로 XOR 연산
  • Gray를 2진수로 변경시 : h자 모양으로 연산
    • 첫번째 2진수는 그레이 비트 그대로
    • 두번째부턴 왼쪽 변경된 2진수와 변경할 우측 그레이 비트를 XOR 연산

패리티 코드

  • 전송된 코드의 오류를 검사하기 위해 데이터 비트 외에 1Bit의 패리티 체크 비트를 추가하는 것
  • 1Bit의 오류만 검출 가능

홀수 패리티

  • Odd Parity = 기수 패리티
  • 1의 갯수가 홀수가 되도록 0이나 1을 마지막에 추가

짝수 패리티

  • Even Parity = 우수 패리티
  • 1의 갯수가 짝수가 되도록 0이나 1을 마지막에 추가

해밍 코드

  • 오류를 검출하고 교정이 가능한 코드
  • 2Bit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고 1Bit를 교정 가능
  • 잉여비트가 많이 필요
  • 1, 2, 4, 8, ... 2^n번째 Bit는 오류 검출을 위한 패리티 비트
  • 패리티 비트 결정시
    • 1번 Bit는 1, 3, 5, 7...
    • 2번 Bit는 2, 3, 6, 7, 10, 11... 2Bit씩 건너 뛰면서
    • 4번 Bit는 4, 5, 6, 7, 12, 13, 14, 15... 4Bit씩 건너 뛰면서

코드 분류

가중치코드는 일반적으로 숫자로 이루어져 있다.

분류코드종류
가중치BCD(8421), 2421, 84-2-1, Biquinary, 51111, RingCounter
비가중치3초과(Excess3), Gray, Jonson, 2outof5, 3outof5
자기보수3초과(Excess3), 2421, 51111, 84-2-1
오류검출해밍, 패리티, Biquinary, RingCounter, 2outof5, 3outof5

중앙처리장치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버스로 구성

제어장치

  • 컴퓨터의 모든 장치에 대한 동작을 지시하고 제어
  • 명령 레지스터에서 읽어들인 명령어를 해독해 장치에 제어신호를 보내 명령을 수행하도록 지시
  • 제어장치에 입력되는 항목
    • 명령어 레지스터
    • 플래그
    • 클록

구성요소

  • 명령 레지스터 : 현재 실행중인 명령어 내용 기억
  • 명령 해독기(디코더) : 명령 레지스터에 있는 명령어를 해독
  • 제어 발생기(인코더) : 해독된 명령에 따라 각 장치로 본래 제어 신호 생성
  • 제어 주소 레지스터(CAR) : 다음에 실행할 마이크로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 매핑의 결과값, 주소필드, 서브루틴 레지스터의 내용이 기록
  • 제어 버퍼 레지스터(CBR) : 제어 기억장치로부터 읽혀진 마이크로명령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
  • 제어 기억장치 : 마이크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내부 기억장치
  • 순서 제어모듈 : 마이크로 명령어의 실행 순서를 결정하는 회로집합
  • 순차 카운터 : 디코더에 의해 선택된 번호에 해당하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

연산장치

  • 제어장치에 명령에 따라 실제로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
  • 산술연산, 논리연산, 관계연산, Shift 등
  • 가산기, 누산기(AC), 보수기(Complementor), 데이터레지스터, 오버플로 검출기, 시프트 레지스터 등

레지스터

  • CPU 내부에서 처리할 명령어나 연산의 중간 결과값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임시 기억장소
  • 플리플롭이나 래치들을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
  • 메모리 중에서 속도가 가장 빠르다.
  • 레지스터의 크기는 워드를 구성하는 비트 개수만큼의 플립플롭으로 구성
    • 워드의 크기가 16Bit => 레지스터는 16개의 플립플롭이나 래치로 구성
  • 저장값을 0으로 하는 것을 설정해제(CLR)

자료전송

  • 직렬 전송 : 직렬 시프트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느림
  • 병렬 전송 : 하나의 클록펄스 동안 워드가 동시에 전송
  • 버스 전송 : 모든 레지스터가 공통으로 이용하는 경로, 병렬에 비해 결선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주요 레지스터

  • PC : 프로그램 카운터, 다음번 실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로 분기 명령이 실행되는 경우 그 목적지 주소로 갱신
  • IR : 명령레지스터, 현재 실행중인 명령의 내용을 기억하는 레지스터
  • AC : 누산기, 연산된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
  • PSWR : Status Register, Program Status Word Register, Flag Regiester
    • 시스템 내부의 순간 상태가 기록된 정보를 PSW라 한다.
    • 오버플로, 언더플로, 자리올림, 계산상태, 인터럽트 등의 PSW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 프로그램 제어와 밀접한 관계
  • MAR :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데이터의 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MBR :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데이터가 잠시 기억되는 레지스터, CPU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반드시 거처야한다.
  • Base Register : 명령이 시작되는 시작 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Index Register : 주소의 변경, 서브루틴 연결 및 프로그램에서의 반복연산의 횟수를 세는 레지스터로 프로그래머가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 Data Register : 연산에 사용될 데이터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Shift Register : 저장된 값을 미는 연산을 하는 레지스터, 2배 길이 레지스터
  • Major Status Register : CPU의 현재상태(인출, 간접, 실행, 인터럽트)를 저장하고 있는 레지스터

버스

  • CPU, 메모리, I/O장치와 상호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연결하는 전송선
  • 내부회로에서 버스를 사용하는 목적은 결선의 수를 줄이기 위해서다.

종류

  • 제어 버스 : Control Bus, 양방향 전송선, 제어신호 전송
  • 주소 버스 : Address Bus, 번지 버스, 단방향 전송선, 번지 지정
  • 데이터 버스 : Data Bus, 자료 버스, 양방향 전송선, 데이터 전송
  • 내부버스 : CPU 및 메모리에 구성된 버스
  • 외부버스 : 주변 I/O장치에 구성된 버스

명령어

OP code부, Mode부, Operand부로 구성

연산자부

  • Operation Code부 = OP Code
  • 연산자부의 크기는 표현할 수 있는 명령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
  • nBit일 때 최대 2^n의 명령어 표현 가능

모드부

  • Mode부
  • 주소부의 유효 주소가 결정되는 방법을 지정
  • 0이면 직접, 1이면 간접

자료부

  • Operand부 = 오퍼랜드부 = 주소필드
  • 실제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
  • 주소, 레지스터 번호, 사용할 데이터 등을 표시
  • 자료부의 크기는 메모리 용량과 관계가 있다.

설계시 고려사항

  • 연산자의 종류
  • 명령어 형식
  • 주소지정방식
  • 데이터 구조
  • 효율성 제고방안 : 기억공간, 사용빈도, 주소지정방식, 주기억장치의 대역폭 이용

기능

함수 연산, 자료전달, 제어, 입출력 기능

함수 연산 기능

  • 산술연산 : ADD, SUB, MUL, DIV, 산술 Shift
  • 논리연산 : NOT, AND, OR, XOR, 논리 Shift, Rotate, Complement, Clear
  • 단항연산 : NOT, Complement, Shift, Rotate, Move
  • 이항연산 : 사칙, AND, OR, XOR, XNOR
  • 연산자 우선순위
    1. 산술연산자 : 거듭제곱 > 곱=나눔 > 덧,뺄
    2. 관계연산자
    3. 논리 연산자 : NOT > AND > OR

자료 전달 기능

  • Load : 기억장치 => CPU
  • Store : CPU => 기억장치 저장
  • Move : 레지스터간 자료 전송
  • Push : 스택에 자료 저장
  • Pop : 스택에서 자료 꺼냄

제어 기능

  • 무조건 분기 : GOTO, JMP (PC <- X)
  • 조건 분기 : IF, SPA, SNA, SZA
    • SPA : Skip if AC is Positive
    • SNA : Skip if AC is Negative
    • SZA : Skip if AC is Zero
  • Call : 부 프로그램 호출
  • Return : 부 프로그램에서 복귀

입출력 기능

  • Input
  • Output

연산

AND

  • 특정 비트를 삭제(Clear)하는 연산
  • Masking 연산

OR

  • 특정 비트를 1로 만드는 연산
  • Selective Set 연산

XOR

  • 두 개의 데이터를 비교하거나 특정 비트를 반전시킬 때 사용
  • 결과에 1Bit라도 1이 있으면 서로 다른 데이터
  • 반전시킬 Bit를 1과 XOR

NOT

  • 그냥 반전

논리 Shift

  • 0을 삽입해 비트를 좌우로 한칸씩 민다.

Rotate

  • Shift에서 밀려나간 비트를 반대편으로 가져와 입력하는 연산
  • 문자 위치를 변환할 때 사용

산술 Shift

  • 부호를 고려하여 자리를 이동시키는 연산
  • 2^n으로 곱하거나 나눌 때 사용
  • 왼쪽으로 Shift시 2^n을 곱한 값과 같음
  • 오른쪽으로 Shift시 2^n을 나눈 값과 같음
  • 홀수를 오른쪽으로 Shift시에 0.5의 오차 발생
  • 정수 표현 방식에서만 사용 가능
  • 정수 수치 표현 방법에 따라 Padding Bit 및 결과가 다름

Shift Left

  • 부호화 절대치, 2의 보수법은 무조건 0
  • 1의 보수법은 부호 비트와 같은 0, 1

Shift Right

  • 부호화 절대치는 0
  • 1의 보수법, 2의 보수법은 부호 비트와 같은 0, 1

명령어 형식

3주소 명령어

  • Operand부가 세 개로 구성되는 명령어 형식
  • **GPR(범용 레지스터)**를 가진 컴퓨터에서 사용
  • 연산의 결과는 Operand 1에 주로 기록 (컴퓨터에 따라 Operand 3에도 기록)

장점

  • 연산시 원래 자료를 파괴하지 않음
  • 다른 형식의 명령어를 이용하는 것보다 프로그램 전체의 길이가 짧음
  • 전체 프로그램 실행시 명령인출을 위해 주기억장치를 접근하는 횟수 감소

단점

  • 명령어 한 개의 길이가 너무 길어짐
  • 하나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최소한 4번 기억장소에 접근해야함
  • 수행시간이 길다.

2주소 명령어

  • Operand가 두 개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명령어 형식
  • 여러 개의 **GPR(범용 레지스터)**를 가진 컴퓨터에서 사용

장점

  • 실행 속도가 빠르고 기억장소를 많이 차지하지 않음
  • 3주소 명령에 비해 명령어의 길이가 짧음
  • 계산결과가 기억장치에 기억되고 CPU에도 남아 있어 계산 결과를 시험할 때 시간이 절약된다.

단점

  • 연산 결과가 주로 Operand1에 저장되므로 원래 Operand1에 있던 자료는 파괴된다.
  • 전체 프로그램의 길이가 길어진다.

1주소 명령어

  • Operand가 한 개로 구성된 명령어 형식
  • AC를 이용하여 명령어를 처리하므로 결과도 누산기에 저장된다.

0주소 명령어

  • Operand부 없이 OPCode만으로 구성
  • 모든 연산은 Stack 메모리의 Stack Pointer가 가리키는 Operand를 이용하여 수행
  • 스택 머신
  • 인스트럭션 수행시간이 짧다.
  • 기억공간 이용이 효율적
  • 수식을 계산하기 위해선 Postfix 형태로 변경해야한다.
  • 연산 결과를 다시 스택에 넣기 때문에 원래의 자료가 남지 않는다.

주소지정방식

고려사항

  • 표현의 효율성 : 빠르게 접근가능하고, 주소지정에 적은 비트를 사용해야하며 다양항 Address 모드를 사용할 수 있어야한다.
  • 사용의 편리성 : 프로그램 작업을 위해 포인터, 프로그램 리로케이션 등의 편의를 제공해야한다.
  • 주소공간과 기억공간의 독립성 :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주소를 변경 없이 실제 기억공간 내의 주소로 재배치할 수 있도록 서로 독립적이여야한다.
    • 주소공간 : 보조기억장치 내의 기억공간
    • 기억공간 : 주기억장치 내의 기억공간

암시적 주소지정방식

  • 명령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의 위치를 지정하지 않고 누산기나 스택의 데이터를 묵시적으로 지정하여 사용
  • 오퍼랜드가 없는 명령이나 오퍼랜드가 1개인 명령어 형식에 사용

즉시적 주소지정방식

  • 명령어 자체에 오퍼랜드를 가지고 있는 방식
  • 별도의 기억장소를 액세스하지 않기 때문에 실행 속도가 빠르다.
  • 데이터 값 범위가 제한적이다.

직접 주소지정방식

  • 오퍼렌드부에 표현된 주소를 이용해 실제 데이터가 기억된 기억장소에 직접 매핑
  • 실제 사용할 데이터의 유효주소를 적기 때문에 주소 길이에 제약을 받음
  • nBit 오퍼랜드부 => 2^n 개의 주소 표현 가능
  • 오퍼렌드부에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레지스터의 번호를 지정하면 레지스터 모드

간접 주소지정방식

  • 주기억장치를 두 번 이상 접근하여 데이터가 있는 기억장소에 도달
  • 오퍼랜드부에 할당된 비트 수로 주소를 나타낼 수 없을 때 사용하는 방식
  • 명령어의 길이가 짧고 제한되어도 긴 주소에 접근이 가능한 방식
  • 레지스터 간접모드

계산에 의한 주소지정방식

  • 오퍼랜드부와 CPU의 특정 레지스터 값이 더해져서 유효주소를 계산하는 방식
  • 약식 주소
  • 상대주소 : 명령어 주소 + PC
  • 베이스 레지스터 : 명령어 주소 + Base Register
    • 명령어의 시작주소를 가지고 있는 레지스터
    • 베이스 레지스터의 값과 명령어에 포함된 변위값을 더해 유효주소를 얻는 것을 재배치라고 한다.
  • 인덱스 레지스터 : 명령어 주소 + Index Register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 인스트럭션을 수행하기 위해 CPU 내의 레지스터와 플래그가 의미있는 상태변환을 하도록하는 동작
  •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 이루어진다.
  • 한 개의 클록펄스 동안 실행되는 기본 동작
  •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CPU의 클록펄스에 맞춰 실행된다.
  •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제어장치가 발생하는 신호를 제어신호
  • 제어워드 : 레지스어틔 선택과 산술논리연산장치의 역할을 결정하고 어떤 마이크로 연산을 할 지 결정하는 비트의 모임 = 마이크로 명령어
  • 마이크로 프로그램 : 제어워드가 저장되 있을 때 마이크로 프로그램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

  • 한 개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
  • CPU는 클록펄스에 의해 동기화되어 동작하는데 펄스를 CPU 클록이라하며 한 개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CPU 클록 발생 주기의 간격 내에 실행된다.
  • CPU Cycle Time = CPU Clock Time
  • CPU 속도를 나타내는 척도
  • 1us = 10^-6s, 1ns = 10^-9s

동기 고정식

  •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동작시간이 같다고 가정해 클록 주기를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과 같도록 정의하는 방식
  • 동작 시간이 가장 긴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동작시간을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으로 정한다.
  •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동작시간이 비슷할 때 유리하다.
  • CPU 낭비가 심하다.
  • 구현이 쉽다.

동기 가변식

  • 수행시간이 유사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끼리 그룹을 만들어 그룹별로 서로 다른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정의하는 방식
  • 수행시간이 현저한 차이를 나타낼 때 사용
  • CPU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다.
  • 구현이 복잡하다.
  • 각 그룹(집합) 간 서로 다른 사이클 타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그룹간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정수배가 되게 한다.

비동기식

  •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서로 다른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가진다.
  • 시간 낭비는 없다.
  • 구현이 매우 복잡하다.
  • 실제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메이저 스테이트

  • 현재 CPU가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상태
  • Fetch, Indirect, Execute, Interrupt
  • Major Cycle = Machine Cycle
  • 메이저 스테이트 레지스터를 통해 알 수 있다.
  • F와 R 플립플롭의 상태에 따라 메이저 스테이트 상태가 결정된다.

Fetch Cycle

  • 인출단계
  • 중앙처리장치의 명령 레지스터로 명령어를 가져와 해독하는 단계
  • 가장 먼저 수행되는 동작
  • 1Cycle 명령어면 수행 후 다시 Fetch Cycle로 변경됨
  • 1Cycle 명령어가 아니면 모드 비트에 따라 직 간접 주소를 판단
  • 모드가 0이면 직접주소 => Execute 단계로
  • 모드가 1이면 간접주소 => Indirect 단계로
Click PulseMicro OperationDescription
C0t0MAR ← PCPC의 번지를 MAR으로 전송
C0t1MBR ← M[MAR]
PC ← PC +1
MAR의 지정하는 위치의 값을 MBR에 전송
다음 시행할 명령 위치를 지정
C0t2IR ← MBR[OP]
I ← MBR[I]
명령어의 OPCode를 명령 레지스터에 전송
명령어의 모드 비트를 플립플롭 I에 전송
C0t3F ← 1 OR R ← 1I에 따라 F나 R에 1 전송
  • PC : 다음 실행할 명령의 주소가 들어있음
  • MAR : 저장하거나 읽어올 주기억장치의 주소가 들어있음
  • MBR : 주기억장치에서 읽어오거나 저장할 데이터가 들어있음
  • M[MAR] : 메모리에서 MAR에 해당하는 실제 데이터
  • IR : 현재 실행하는 명령어가 들어있음
  • OP : 명령 코드 부분
  • I : 모드 비트
  • AD : 명령 주소 부분
  • F, R : 다음 상태를 지정하는 플립플롭

Indirect Cycle

  • Fetch 단계에서 해석한 주소를 읽어온 후 간접주소이면 유효주소를 계산하기 위해 다시 Indirect 단계를 수행
  • 직접주소인 경우 Execute 단계 또는 Fetch 단계로 이동
    • 분기같은 1Cycle 명령이면 Fetch로
    • 실행이면 Execute로
Click PulseMicro OperationDescription
C1t0MAR ← MBR[AD]MBR에 있는 명령어의 주소를 MAR에 전송
C1t1MBR ← M[MAR]MAR이 지정하는 메모리의 실제 데이터를 MBR에 전송
C1t2-동작없음
C1t3F ← 1, R ← 0Execute 단계로 이동

Execute Cycle

  • 해석된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
  • 플래그 레지스터의 상태를 검사하여 Interrupt 단계로 갈지 결정
Click PulseMicro OperationDescription
C2t0MAR ← MBR[AD]MBR에 있는 명령어의 주소를 MAR에 전송
C2t1MBR ← M[MAR]MAR이 지정하는 메모리의 실제 데이터를 MBR에 전송
C2t2AC ← AC + MBR누산기에 값과 MBR의 값을 더해 ADD 연산 실행
C2t3F ← 0 OR R ← 1F = 0이면 Fetch로, R = 1이면 Interrupt로

Interrupt Cycle

  • 인터럽트 발생시 복귀주소를 저장시키고 인터럽트 처리 프로그램의 첫 번째 명령으로 제어순서를 옮긴다.
  • 인터럽트 단계는 항상 Fetch 단계로 이동된다.
  • 메모리의 인터럽트 주소는 0번지에 저장되고, 인터럽트 벡터는 인터럽트 처리 프로그램의 주소 번지를 말한다.
  • 현재 상태를 저장하고 인터럽트가 처리된다.
  • 인터럽트 처리시 다음 실행주소를 PC에 넣고 인터럽트 벡터로 이동한다.
Click PulseMicro OperationDescription
C3t0MBR[AD] ← PC
PC ← 0
다음 실행 명령 주소를 MBR의 주소로 전송
복귀주소를 저장할 0번지를 PC에 전송
C3t1MAR ← PC
PC ← PC + 1
PC가 가진 0값 번지를 MAR에 전송
인터럽트 벡터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PC 값을 1로 세팅
C3t2M[MAR] ← MBR
IEN ← 0
MBR에 있는 다음 실행 명령 주소를 0번지에 저장
다른 인터럽트가 발생하지 않게 IEN에 0 전송
C3t3F ← 0, R ← 0항상 Fetch로

주요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AND

  • AC와 메모리의 내용을 AND 연산해서 AC에 저장
  • 논리곱 연산
  • AC ← AC ∧ MBR

ADD

  • AC와 메모리의 내용을 더해서 AC에 저장
  • AC ← AC +MBR

LDA

  • 메모리의 내용을 AC로 Load하는 명령
  • AC에 0을 전송하여 AC를 초기화하는 부분이 있어야함
  • AC ← 0
  • AC ← AC + MBR

STA

  • AC의 내용을 메모리에 저장
  • M[MAR] ← MBR

BUN

  • 실행 명령의 위치를 변경하는 무조건 분기
  • Branch UNconditionally
  • PC ← MBR[AD]

BSA

  • 복귀주소를 저장하고 부 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명령
  • Branch and Save Return Address
Click PulseMicro OperationDescription
C2t0MAR ← MBR[AD]
MBR[AD] ← PC
PC ← MBR[AD]
복귀주소를 MAR에 전송
PC의 값을 MBR의 주소로 전송
부프로그램 호출직전 MBR의 주소를 PC로 전송
C2t1M[MAR] ← MBR[AD]부프로그램 호출직전 복귀주소 저장
C2t2PC ← PC + 1부 프로그램 시작
C2t3F ← 0 OR R ← 1Fetch 또는 Interrupt

ISZ

  • 메모리의 값을 읽고 값을 1 증가 시킨 후 그 값이 0이면 현재 명령을 건너 뛰고 다음으로 이동
  • IF(MBR=0) THEN ← PC + 1

제어기

제어데이터

  • 제어장치가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자료
  • CPU가 특정한 메이저 상태와 타이밍 상태에 있을 때 제어 자료에 따른 제어 규칙에 의해 발생한다.

종류

  • 메이저 스테이트 사이의 변천을 제어하는 데이터
  •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점을 제어하는 데이터
  • 인스트럭션의 수행 순서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제어데이터

단계

구분State간 변이제어점 제어수행 순서제어
Fetch명령어의 주소지정방식명령어PC
Indirect주소지정방식유효주소-
Execute인터럽트 요청명령어 연산자PC
Interrupt-Interrupt따라 다름Interrupt따라 다름

구현

  • 하드웨어적 고정배선제어장치
  • 소프트웨어적 마이크로 프로그래밍 기법

고정배선 제어장치

  • 독립 제어점에 제어신호를 가해야 할 조건들을 제어 데이터와 제어기의 상태로 표현한 후 이를 만족하는 조합논리회로를 설계하여 해당 제어점에 연결하는 방식
  • 하드웨어적 구성방법
  • 속도 빠름
  • 비싸다.
  • RISC구조를 기본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
  • 한 번 만들어진 명령어 세트를 변경할 수 없음
  • 회로 구성이 복잡

마이크로 프로그래밍

  • 내부 제어 신호를 지정하는 여러가지 마이크로 인스트럭션으로 작성하는 것
  • 소프트웨어적 구성방법
  • 펌웨어를 이용하는 방식
  • 마이크로 프로그램된 제어장치를 사용하는 컴퓨터는 주 메모리 외에 마이크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제어메모리(ROM)이 필요하다.
  • 명령어 세트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 다양한 어드레스 모드를 갖음
  • 속도 느림
  • 유지보수 및 수정 용이
  • 복잡한 명령 세트를 가진 시스템에 적합

제어 메모리 번지 결정

  • 제어 주소 레지스터(CAR) : 값을 1 증가
    • 매핑의 결과값
    • 주소 필드
    • 서브루틴 레지스터 데이터
  • 명령 레지스터(IR) : 지정하는 번지로 무조건 분기, 주소 필드로부터 제어 메모리의 주소로 매핑
  • 상태 레지스터(SR) : 조건에 따른 분기
  • 서브루틴의 호출(call)과 복귀(return)

형식

수평 마이크로 명령

  • Horizontal Micro Instruction
  • 한 비트가 한 개의 마이크로 동작을 관할하는 명령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부가 nBit일 때 n개의 마이크로 동작 표현 가능
  • 제어 비트를 디코딩 할 필요가 없다.
  • 마이크로 명령 한 개로 여러 개의 하드웨어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 제어 워드의 길이가 길어진다.
  • 비트가 충분히 활용되지 못함.
  • 비용이 많이 든다.

수직 마이크로 명령

  • Vertical Micro Instruction
  • 제어 메모리 외부에서 디코딩 회로를 필요로 하는 마이크로 명령
  • 디코더의 출력을 제어신호로 사용
  • 한 개의 마이크로 동작만 제어 가능

나노 명령

  • Nano Instruction
  • 나노메모리(낮은 레벨의 메모리)에 저장된 마이크로 명령
  • 수직 마이크로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기에서 디코더를 ROM(나노메모리)로 바꿔 두 메모리 레벨로 구성
  • 제어 메모리의 각 워드는 나노 메모리의 번지를 저장

제어장치 구현방식

  • 상태 플리플롭 제어
  • PLA (Programmable Logic Array)
  •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

입출력장치

입출력 제어장치

  • 입출력장치와 컴퓨터 사이의 자료 전송을 제어하는 장치
  • 데이터 버퍼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두 장치간의 속도 차를 조절 = 데이터 버퍼링
  • 제어 신호의 논리적, 물리적 변환 및 오류를 제어
  • DMA, 채널, 입출력 프로세서, 입출력 컴퓨터가 포함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 동작방식이나 데이터 형식이 다른 컴퓨터 내부의 장치끼리 2진 데이터를 원활하게 전송하기 위함
  • CPU와 주변장치의 전송속도, 동작방식, 워드형식의 차이 제어
  • 동작방식이 다른 주변장치끼리의 차이 제어

입출력 버스

  • 주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모든 주변장치의 인터페이스에 공통으로 연결된 버스
  • 구성
    • 데이터 버스
    • 주소 버스
    • 제어 버스

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의 차이

  • 기억장치 : 전자적, 빠르다, 타율, 오류 적음, Word단위
  • 입출력장치 : 기계적, 느리다, 자타율, 오류 많음, Byte(문자)단위

비동기 데이터 전송

  • 비동기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해선 데이터 전송시각을 알기 위한 제어신호를 서로 교환하여 송수신 상태를 서로 맞춰야한다.

스트로브 펄스

  • Strobe Pulse
  • 데이터 버스와 한 개의 제어선
  • 스트로브 신호 : 두 개의 독립적인 장치 사이의 비동기적인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해 전송 시각을 알리는 제어 신호
  • 메모리와 CPU 사이의 정보를 교환할 때 사용
  • 수신장치가 데이터를 받았는지는 모름

핸드쉐이킹

  • 데이터 전송시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입출력의 준비나 완료를 나타내는 신호를 사용하여 서로의 동작을 확인하면서 데이터를 전송
  • 전송을 시작한 장치에 응답하는 제 2의 제어신호를 전송
  • 높은 융통성과 신뢰성
  • 병렬 입출력 데이터 전송방식의 기본으로 많이 사용
  • 2~3개의 제어선 사용
  • RDY, STB 신호 사용

스풀링

  • 다중 프로그래밍 환경 아래에서 용량이 크고 신속한 액세스가 가능한 디스크를 이용해 각 사용자 프로그램이 입출력할 데이터를 직접 입출력장치로 보내지 않고 디스크에 모았다가 한꺼번에 입출력 시키는 방법
  • 입출력장치의 공유 및 느린 처리속도를 보완
  • 디스크의 일부를 매우 큰 버퍼로 사용한다.
  • 큐 방식의 입출력을 수행
  • Simultaneous Peripheral Operation OnLine
  • 보조기억장치에 저장
  • 다중 작업
  • 소프트웨어 구현

버퍼링

  • 입출력 장치와 CPU의 속도차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
  • 주기억 장치에 저장
  • 단일 작업
  • 하드웨어 구현

입출력 제어방식

  • 입출력 처리 능력 순서 : 프로그램 < 인터럽트 < DMA < 채널

Programmed I/O

  • 폴링
  • 원하는 I/O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CPU의 Status Flag를 계속 조사해 I/O가 완료되었으면 MDR(MBR)과 AC사이의 자료 전송도 CPU가 직접 처리하는 방식
  • 입출력의 대부분을 CPU가 해준다.
  • MDR(MBR), Flag(PSW), 장치번호 디코더로 구성
  • CPU가 계속 I/O에 관여해야되기 때문에 비효율적

Interrupt I/O

  • 데이터 전송 준비가 되면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컴퓨터에게 알려 I/O가 이루어지는 방식
  •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CPU에게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
  • 수행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트럭션을 끝내고 I/O 처리후 다시 복귀
  • 대량 자료 전송시 CPU에 부담

DMA I/O

  • Direct Memory Access
  • 입출력장치가 직접 주기억장치를 접근하여 데이터 블록을 입출력하는 방식
  • I/O가 CPU를 경유하지 않음
  • CPU는 I/O에 필요한 정보를 DMA 제어기에 전달해 I/O동작만을 개시하고 끝
    • I/O 장치의 주소
    • 데이터 있는 주기억장치의 시작 주소
    • DMA 시작 명령
    • I/O 데이터 양
    • 입력 또는 출력을 결정하는 명령
  • 빠른 데이터 전송 가능
  • DMA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해 CPU에게 I/O 종료를 알림
  • 블록으로 대용량 데이터 전송 가능
  • CPU의 Cycle Steal 해 메모리를 접근하여 I/O 데이터를 전송
    • 데이터 채널과 CPU가 주기억장치를 동시에 접근할 때 우선순위를 전자에게 줌
    • CPU는 그동안 메모리 참조가 필요없는 오퍼레이션을 계속 진행
    • CPU의 상태 보존이 필요 없음
  • CPU와 DMA 제어기는 메모리와 버스를 공유
  • 명령 받고 => 버스 사용 요구 => 버스 사용 허가 => 데이터 전송 => 인터럽트 전송
  • 한 개의 인스트럭션에 의해 한 개의 블록을 입출력

구성

  • 인터페이스 회로
  • 주소 레지스터 및 주소 라인
  • 워드 카운트 레지스터 = 단어 계수기
  • 제어 레지스터
  • 데이터 레지스터

Channel I/O

  • I/O 프로세서
  • I/O를 위한 특별한 명령어를 I/O 프로세서에게 수행토록 하여 CPU 관여 없이 주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 사이에서 I/O를 하는 전용 프로세서
  • DMA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
  • DMA의 방법으로 입출력을 수행하지만 확장된 개념
  • 채널 제어기는 채널 명령어로 작성된 채널 프로그램을 해독하고 실행하여 I/O 처리
  • CPU로 I/O 명령어를 받으면 CPU와는 독립적으로 동작
  • 주기억장치에 저장된 채널 프로그램의 수행과 데이터 전송을 위해 주기억장치에 직접 접근
  • I/O 장치는 제어장치를 통해 채널과 연결
  • I/O 채널은 CPU의 I/O 명령을 수행하지 않고 I/O 채널 내의 특별한 명령어를 수행
  • CPU와는 인터럽트로 통신
  • 한 개의 인스트럭션에 의해 여러 개의 블록을 입출력
  • 입출력장치와 주기억장치를 연결하는 중개자
  • 입출력 전담장치
  • 입출력 장치와 CPU사이의 존재하는 현저한 속도차를 극복하기 위한 장치
  • CPU의 명령을 받고 입출력을 시작하면 CPU와는 독립적으로 조작하는 장치

채널 명령어

  • 명령코드
  • 데이터 주소
  • 플래그
  • 워드 카운터

종류

  • Selector Channel
    • 선택 채널
    • 고속 입출력장치(자기로 시작하는 친구들)와 입출력하기 위해 사용
    • 특정 한 개의 장치를 독점해서 입출력
  • MultiPlexer Channel
    • 다중채널
    • 저속 입출력장치(카드리터, 프린터)를 제어하는 채널
    • 동시에 여러 개의 입출력장치 제어
  • Block Multiplexer Channel
    • 고속 입출력장치를 제어
    • 동시에 여러 개의 입출력장치 제어

인터럽트

  • 프로그램 실행 도중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현재 작업을 즉시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을 우선 처리 후 실행 중인 작업으로 복귀
  • 내부 인터럽트는 CPU의 하드웨어 신호에 의해 발생
  • 소프트웨어 인터럽트는 명령어의 수행에 의해 발생

외부 인터럽트

  • 입출력장치, 타이밍장치, 전원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
  • 전원 이상 인터럽트 : 정전이거나 정원이상
  • 기게 착오 인터럽트 : CPU의 기능적인 오류 동작 발생
  • 외부 신호 인터럽트
    • Time Slice 를 알림
    • 인터럽트 키를 누른 경우 (Ctrl + Alt + Del)
    • 외부 장치로부터 인터럽트 요청이 있는 경우
  • 입출력 인터럽트
    • 입출력 데이터의 오류나 이상현상 발생
    • 입출력장치가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거나 전송이 끝났을 때

내부 인터럽트

  • 잘못된 명령이나 데이터를 사용할 때 발생
  • 트랩
  •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
    • 0으로 나누기
    • 오버플로 또는 언더플로
    • 프로그램에서 명령어 잘못 사용
    • 부당한 기억장소의 참조
    • 프로그램상 오류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 프로그램 처리중 명령의 요청에 의해 발생
  • SVC 인터럽트
    • 제어 프로그램 호출 인터럽트 = SuperVisor Call
    • 사용자가 SVC 명령을 써서 의도적으로 호출한 경우
    • 복잡한 입출력 처리를 해야하는 경우
    • 기억장치 할당 및 오퍼레이터와 대화를 해야하는 경우

인터럽트시 CPU확인 요소

  • 프로그램 카운터 내용
  • 사용한 모든 레지스터의 내용
  • 상태 조건의 내용 = PSW = Status Register

동작 원리

  1. 인터럽트 요청 신호 발생
  2. 현재 인스트럭션까지 실행 후 프로그램 실행 중단
  3. 현재 프로그램 상태 보존
  4. 인터럽트 처리 루틴 실행
  5. 인터럽트 서비스(취급) 루틴 실행
  • 처리기 상태 복구
  • 인터럽트 원인 결정
  • 처리기 레지스터의 상태 보존
  •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의 마스크 레지스터 클리어
  1. 상태 복구
  2. 중단된 프로그램 실행 재개

인터럽트 우선순위

  1. 전원 이상 = Power Fail
  2. 기계 착오 = Machine Check
  3. 외부 신호 = External
  4. 입출력 = I/O
  5. 명령어 잘못
  6. 프로그램 = Program Check
  7. SVC = Supervisor Call
  • Non Maskable Interrupt : 마스크 불가능 인터럽트로 0순위

폴링

  • 소프트웨어적 인터럽트 우선순위 판별 방식
  • 우선순위가 높은 인터럽트 자원의 인터럽트 요청 플래그를 검사해 해당하는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수행
  • 우선순위 변경이 쉽다.
  • 자기디스크와 같이 속도가 빠른 장치에 높은 등급 부여
  • 회로가 간단하고 융통성이 있음
  • 별도의 하드웨어가 필요 없어 경제적
  • 많은 인터럽트가 있을 때 모두 조사해야하므로 반응시간이 느림

벡터 인터럽트

  • 하드웨어적인 인터럽트 판별 방식
  • CPU와 인터럽트를 요청할 수 있는 장치 사이에 장치 번호에 해당하는 버스를 연결하여 요청 장치의 번호를 CPU에게 알리는 방식
  • 인터럽트를 발생한 장치가 프로세서에게 분기할 곳에 대한 정보를 제공
  • 인터럽트 벡터 : 인터럽트 처리 루틴으로 분기하는 명령어만을 기억하는 기억장치의 특정 영역으로 분기번지가 저장됨
  • 별도의 프로그램 루틴이 없어 응답속도가 빠름
  • 회로가 복잡하고 융통성이 없음
  • 추가 하드웨어가 필요하므로 비경제적

직렬 우선순위

  • 데이지 체인 방식
  • 모든 장치를 한 개의 회선에 직렬로 연결

병렬 우선순위

  •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각 장치를 개별적인 회선으로 연결
  • 각 비트를 개별적으로 세트할 수 있는 Mask Register 사용
  • 마스크 레지스터는 인터럽트 요청의 허락이 가능하다.
  • 우선순위는 마스크 레지스터의 비트 위치에 의해서 결정
  • 우선순위가 높은 것이 서비스 받고 있을 때 우선순위가 낮은 것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 높은 우선순위의 인터럽트는 낮은 인터럽트가 처리되는 중에도 우선 처리된다.

기억장치

  • 주기억장치 : 시스템 프로그램영역과 사용자 프로그램영역으로 구성
    • 반도체 : RAM, ROM
    • 자기 : 자기 코어
  • 보조기억장치
    • DASD : 자기 디스크, 자기 드럼, 하드 디스크, 광디스크
    • SASD : 자기테이프
  • 특수기억장치 : 복수 모듈 기억장치, 연관기억장치, 캐시기억장치, 가상기억장치
  • 광디스크의 종류 : 블루레이, DVD, Compact

계층구조

  • 특수기억장치 : 레지스터, 캐시, 연관
  • 주기억장치 : RAM, ROM, 자기코어
  • 보조기억장치 : 자기디스크, 자기테이프

특성 결정 요소

기억 용량

Access Time

  • 기억장치에 읽기 요청이 발생한 시간부터 요구한 정보를 꺼내서 사용 가능할 때까지의 시간
  • 한 Word의 단위 정보를 읽거나 기록하는데 걸리는 시간
  • Access Time = Seek Time + Latency Time(Search Time) + Transmission Time

Cycle Time

  • 기억장치에 읽기 신호를 보낸 후 다시 읽기 신호를 보낼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 간격
  • Cycle Time ≥ Access Time
  • DRAM : Cycle Time = Access Time + Refresh Time
  • 자기코어 : Cycle Time = Access Time + Restoration Time
  • 기타 모든 장치 : Cycle Time = Access Time

Bandwitdh

  • 대역폭 = 전송률 = 밴드폭
  • 메모리에서 또는 메모리까지 1초동안 전송되는 최대한의 정보량
  • 기억장치의 자료 처리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 하드웨어 특성상 주기억장치가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전달능력의 한계를 의미
  • 메모리 워드의 길이가 작을수록 대역폭이 좋음
  • 전송단위 : bps = Baud = 보

구분

구분방식내용
내용보존여부파괴성 메모리 : 읽으면 내용이 파괴되므로 재저장시간이 필요
비파괴성 메모리
전원차단시
내용소멸여부
휘발성메모리 : RAM
비휘발성 메모리 : ROM, 자기코어, 보조기억장치
재충전 여부정적메모리(SRAM) : 전원이 공급되면 내용이 계속 유지
전원이 공급되도 일정시간 후 내용 지워져 재충전필요
접근 방식순차접근 : 자기테이프
직접접근 : 자기테이프 제외 모든장치

주기억장치

ROM

  • Read Only Memory
  • 읽기전용
  • 비휘발성 메모리
  • BIOS, 자가진단프로그램 등 변경 가능성이 거의 없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탑재

종류

  • Mask ROM : 제조 공장에서 프로그램되어 나옴, 내용 변경 불가
  • PROM : Programmable ROM, 한 번만 쓰기 가능
  • EPROM : Erasable PROM, 자외선을 사용해 내용을 지울 수 있음
  • EAROM : Erasable Alterable ROM,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기록된 정보 일부를 바꿀 수 있는 ROM
  • EEPROM : Electonic EPROM, 전기를 이용해 내용 수정 가능

RAM

  • Random Access Memory, Read Write Memory
  • 현재 사용중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
  • 휘발성 메모리 = Volatile Memory
  • 정보가 저장된 위치는 주소로 구분
구분동적 램정적 램
구성콘덴서플리플롭
특징방전되므로주기적인 재충전전원 공급시에 계속 유지
소모전력적음많음
속도느림빠름
집적도높음낮음
가격저가고가
용도일반적캐시메모리

자기 코어

  • 전류 일치 기술에 의하여 기억장소를 선별
  • 데이터를 읽으면 내용이 지워지는 파괴 메모리
  • Dectructive Read Out Memory
  • 내용을 읽은 후 지워진 내용을 기록하기 위한 재저장 시간 필요
  •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음

구성

  • 구동선 : X,Y축 번지 선택선 2개
  • 센스선 : 자기 코어의 상태를 검출하는 선 1개
  • 금지선 : 불필요하게 자화되었을 때 금지 전류를 흘려 자화를 소진시키는 선 1개

반도체 기억소자 구성

RAM

  • CS1, CS2 : 칩 선택선
  • RD : 입력 신호선
  • WR : 출력 신호선
  • AD : 주소선
    • MAR과 PC의 수와 같음
    • 주소선이 n개이면 2^n개의 워드 지정 가능
  • Data Bus : 워드의 크기
    • MBR = IR = 단어의 크기
    • 버스가 10Bit이면 워드의 크기가 10Bit

ROM

  • CS1, CS2 : 칩 선택선
  • AD : 주소선
  • Data Bus : 워드의 크기

보조기억장치

  • 주기억 장치의 단점 보완
  • 속도는 느리지만 전원이 차단되도 내용 유지
  • 저장용량이 큼
  • CPU와 직접 자료교환이 불가능
  • 주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DMA를 사용

자기 테이프

  • 순차처리 = SASD
  • 블록단위로 데이터를 전송
  • 블록 사이에는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는 공간인 이 있다.
  • BOT : Beginning Of Tape
  • EOT : End Of Tape
  • BPI : Byte Per Inch, 1인치에 기억할 수 있는 바이트 수
  • IRG : Inter Record Gap, 레코드와 레코드 사이의 갭
  • IBG : Inter Block Gap, 블록과 블록 사이의 갭
  • Block : 한 개 이상의 논리 레코드의 집합 = 물리 레코드
  • 블로킹 : 한 개 이상의 논리적 레코드를 묶어서 테이프에 기록하는 방식
    • IRG가 줄어든다.
    • 기억공간 낭비 감소
    • Access Time 감소
    • 입출력 횟수 감소
  • Blocking Factor : 하나의 블록을 구성하는 논리 레코드의 갯수

자기 디스크

  • DASD
  • 회전축에 여러장의 디스크를 연결하고, 디스크 상하면마다 R/W Head를 액세스암에 연결하여 구성
  • 가장 윗면과 가장 아랫면은 사용하지 않는다.
  • 트랙 : 디스크 표면에서 회전푹을 중심으로 데이터가 기록되는 동심원
  • 섹터 : 트랙들을 일정한 크기로 구분한 부분이며 정보 기록의 기본 단위
  • 실린더 : 서로 다른 면들에 있는 동일 위치의 트랙들의 모임
  • Random Access와 Sequential Access 방식을 모두 사용

디스크의 3요소

  • 디스크
  • 액세스암
  • 헤드

Access Time

  • Access Time = Seek Time + Latency Time + Transmission Time
  • Seek Time : 탐색시간으로 R/W Head가 특정 트랙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 Latency Time : R/W Head가 특정 트랙까지 이동한 후 디스크가 회전하여 트랙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섹터가 R/W Head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 Search Time = Rotational Delay Time
  • Transmission Time : 전송시간으로 R/W Head가 액세스한 섹터와 주기억장치 간의 자료전송에 걸리는 시간

자기 드럼

  • 각 트랙마다 고정된 R/W Head를 두고 있다.
  • DASD
  • Access Time = Latency Time + Transmission Time

연관기억장치

  • 기억장치에서 기억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액세스하는 자료를 찾는 기억장치
  • CAM = Content Addressable Memory = 연상기억장치
  • 정보 검색 빠름
  • 캐시 메모리나 가상 메모리 관리기법에서 사용하는 매핑 테이블에 사용
  • 외부 인자와 내용을 비교하기 위한 병렬 판독 논리회로를 가지고 있음
  • 하드웨어 비용 증가

구조

  • 데이터 레지스터 : 인수 레지스터, 찾고자 하는 내용의 일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키 레지스터 : 마스크 레지스터, 검색에 사용할 비트를 결정하는 레지스터
  • 매치 레지스터 : 일치 지시기, 데이터를 찾은 경우 찾았다고 표시하기 위해 사용

복수모듈기억장치

  • 독자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억장치 모듈을 여러 개 가진 기억장치
  • 주기억장치와 CPU의 속도 차이 문제점을 개선
  • 기억장치의 버스를 시분할하여 사용
  • 각각의 기억장치는 자체 어드레스 레지스터와 버퍼 레지스터를 가지고 독자적으로 데이터를 저장
  • 인터리빙 기법에 의해 기억장치를 구성하는 모듈 수만큼 단어(워드)들에 동시 접근 가능
  • 버스가 많으면 모든 모듈 동시 병렬 접근 가능

메모리 인터리빙

  • Memory Interleaving = 디스크 인터리빙
  • 여러 개의 독립 모듈로 이루어진 복수 모듈 메모리와 CPU 간의 주소 버스가 한 개로만 구성되어 있으면 같은 시각에 CPU로부터 여러 모듈로 동시에 주소를 전달할 수 없다.
  • CPU가 각 모듈로 전송할 주소를 교대로 배치한 후 차례대로 전송하여 여러 모듈을 병행 접근하는 기법
  • 중앙처리장치와 기억장치 사이의 실질적인 대역폭 효율을 높일 수 있다.
  • 캐시 기억장치, 고속 DMA에서 사용
  • CPU 유휴시간 감소

캐시 메모리

  • CPU와 주기억장치의 속도차를 줄이기 위해 사용
  • 고속 Buffer Memory
  •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억
  • 메모리 계층에서 가장 빠른 소자
  • 캐시 주소표는 검색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연관기억장치(CAM)을 사용

설계 고려사항

  • 캐시 크기
  • 전송 블록 크기
  • 교체 알고리즘

매핑 프로세스

주기억장치로부터 캐시 메모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직접 매핑

  • Direct Mapping
  • 주기억장치의 블록들이 지정된 한 개의 캐시 라인으로만 매핑되는 방법
  • 간단하고 구현 비용이 적다
  • 적중률이 낮다

어소시에이티브 매핑

  • Assciative Mapping = 연관 매핑
  • 직접 매핑의 단점 보완
  • 모든 태그를 병렬로 검사하기 때문에 복잡하고 비용이 높음
  • 거의 사용안함

세트-어소시에이티브 매핑

  • 직접 매핑과 연관 매핑의 장점만 취함

쓰기 정책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수정이 발생할 때 수정된 내용을 주기억장치에 갱신하기 위해 시기와 방법을 결정하는 것

  • Wirte-Through : 캐시에 쓰기 동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캐시 메모리와 주기억장치의 내용을 동시 갱신
  • Write-Back : 캐시에 쓰기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은 캐시의 내용만이 갱신, 캐시의 내용이 캐시로부터 제거될 때 주기억장치에 복사
  • Write-Once : 캐시에 쓰기 동작이 이루어질 때 한 번만 기록하고 이후의 기록은 모두 무시

적중률

  • 캐시메모리에 접근하는 경우 원하는 정보가 캐시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을 때 적중되었다고 함
  • 캐시 기억장치가 있는 컴퓨터의 성능을 나타네내는 척도
  • 적중률 = 적중횟수 / 총 접근 횟수
  • 미스율 = 1 - 적중률

가상기억장치

  • 기억 용량이 작은 주기억장치를 큰 용량을 가진 것처럼 사용할 수 있는 기법
  • 보조기억장치를 이용한 주기억장치의 용량 확보
  • 소프트웨어적 방법으로 구현
  • 프로그램을 여러 블록으로 나눠서 보조기억장치에 보관하고 프로그램 실행시 필요 부분만 주기억장치에 적재
  • 오버레이 문제가 자동적으로 해결
  • 보조기억장치 접근이 빈번하면 시스템 처리 효율이 저하
  • DASD에만 가능

주소

  • 가상주소 : 논리주소로 보조기억장치 상의 주소
  • 실기억주소 : 물리적주소로 주기억장치 상의 주소

관리

  • 페이징 기법 : OS가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을 동일한 크기의 블록으로 나눠서 관리
  • 세그먼트 기법 : 사용자가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을 가변적인 크기의 블록으로 나눠서 관리

관리전략

반입 전략

  • Fetch
  • 보조기억장치에 보관중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언제 주기억장치로 적재할 것인가?

배치 전략

  • Placement
  • 새로 반입되는 포르개림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가를 결정
  • 최초, 최적, 최악접합이 있음

교체 전략

  • Replacement
  • 주기억장치의 영역이 이미 사용중인 상태에서 새로운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배치할 때 어떤 방식을 사용할지 결정하는 전략
  • FIFO, OPT, LRU, NUR, LFU, MFU 등
  • Page Fault 발생시 교체할 페이지를 결정해서 보조기억장치의 이전 위치에 기억시키고 새 페이지를 교체한 페이지의 위치에 놓는 것을 스테이징이라 한다
  • 스테이징 : 느린 장치에서 바른 장치로 옮겨가는 것

주소 매핑

  • 가상주소를 실 기억주소로 변환하는 작업
  • 가상주소 형식 : 페이지 번호와 변위값
  • 실기억주소 형식 : 페이지 프레임과 변위값
  • 페이지 맵 테이블 : 디스크 페이지 번호와 페이지 프레임 번호, 상태 비트

변환 순서

  • 페이지 번호에 해당하는 페이지 프레임 번호와 가상주소의 변위 주소값을 이용해 실 기억주소를 만듦
  • 실기억주소를 이용하여 주기억장치를 액세스

병렬 컴퓨터

  • I/O 채널 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다수의 프로세서에서 동시에 여러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것
  • 일부 하드웨어 오류가 발생해도 전체 시스템은 동작
  • 처리 속도가 빠름
  • 프로그램 작성이 어려움
  • 기억장치 공유
  • 특수한 업무에 적용 : 예보, 인공지능, 역학계산, 모의실험, 유도탄 등

Flynn의 분류

플린의 분류, 명령 흐름과 자료 흐름을 고려하여 분류

SISD

  • Single Instruction stream Single Data stream
  • 현재 보통 컴퓨터 구조
  • 명령 하나가 자료 하나를 처리
  • 파이프라인에 의한 시간적 병렬 처리 가능

SIMD

  • Single Instruction stream Multi Data Stream
  • 한 개의 명령으로 여러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구조
  • 배열 처리기에 의한 동기적 병렬처리가 가능
  • 다수의 처리기가 한 개의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

MISD

  • Multi Instruction stream Single Data stream
  • 다수의 처리기에 의해 각각의 명령들이 하나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조
  • 실제로 사용되지 않음
  • 파이프라인에 의한 비동기적 병렬처리 가능

MIMD

  • Multi Instruction stream Multi Data stream
  • 다수의 처리기가 각각 다른 명령 흐름과 자료 흐름을 가지고 여러 개의 자료를 처리하는 구조
  • 각 처리기 사이에에서 상호작용(Interaction)이 일어남
  • 멀티 프로세서에 의한 비동기적 병렬처리 가능
  • Tightly Coupled System = 다중 처리기
  • Loosely Coupled System = 분산 처리 시스템

Feng의 분류

팽은 병렬 수행 정도에 따라 분류

WSBS

  • Word-Serial, Bit-Serial
  • 한 번에 한 비트씩 처리하는 방식 (초기 컴퓨터)

WPBS

  • Word-Parallel, Bit-Serial
  • 단어를 묶어서 그 중 한 개의 비트 슬라이스 단위를 순차적으로 처리

WSBP

  • Word-Sreial, Bit-Parallel
  • 한 번에 한 단어씩 병렬로 처리
  • 현재의 컴퓨터

WPBP

  • Word-Parallel, Bit-Parellel
  • 단어별 병렬, 비트별 병렬 처리

병렬 처리 기법

파이프라인 프로세서

  • CPU 처리속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개의 인스트럭션을 동시에 병렬처리하는 장치
  • 시간적 병렬처리
  • 명령인출 => 명령 해독 => 오퍼랜드 인출 => 명령 실행
  • 스칼라 프로세서를 이용하는 기법
  • 파이프라인이 차고 나면 연산속도가 빠르다.
  • 같은 연산이 반복되면 효율적이지만 아니면 구조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

벡터 프로세서

산술 및 논리연산, 비교, 내적연산, 최대, 최소값 구하기 등 벡터 연산 명령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된 처리기

시스톨릭 프로세서

  • 데이터 흐름과 제어 흐름이 규칙적인 특징을 갖는 시스톨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처리기
  • 파이프라인화 된 벡터 프로세서와 배열 프로세서의 특징을 결합한 것
  • 초고밀도 직접회로(VLSI) 기법을 이용하여 구현
  • 응용의 한계성과 프로그래밍의 어려움이 있음

배열 프로세서

  • 배열처리기는 PE(Processing Element)라 불리는 다수의 연산기를 갖는 동기적 병렬 처리기
  • 명령 해독 및 제어는 제어장치가 하고, PE들는 명령 해독 능력이 결여된 수동적 장치로 명령처리만 한다.
  • PE를 중복 이용해서 공간적 병렬성을 얻는다.
  • 벡터 계산이나 행렬 계산에 적합

데이터 플로우 컴퓨터

  • 데이터 흐름 컴퓨터는 PC(Program Counter)가 필요 없다.
  • 제어 흐름 컴퓨터와는 반대되는 개념
  • 인스트럭션의 필요한 피연산자가 모두 준비되었을 때 인스트럭션을 수행하고 결과를 필요로하는 인스트럭션에 보내주는 방식

Database 정리

· 50 min read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 필요시에 처리하는 수단

  • 자료 :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 가공되지 않은 상태
  • 정보 : 자료를 가공

자료처리시스템

정보시스템의 서브시스템

  • 일괄처리시스템 : 급여, 회계, 세무 등 모아서 처리

  • 온라인실시간처리시스템 : 예약, 은행처리

  • 분산처리시스템

  • 데이터웨어하우스 : 업무 시스템에서 추출 된 데이터 집합체

DB 시스템

개념

  • 통합된데이터 : 중복을 배제한 데이터의 모임 (Integrated)
  • 저장된데이터 : 저장매체에 저장된 자료 (Stored)
  • 운영데이터 : 업무를 수행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자료 (Operational), 임시불가
  • 공용데이터 : 공동으로 소유, 유지 하는 자료 (Shared)

특징

  • 실시간접근성 : (Real-Time Accessibility)
  • 계속적인변화 : (Continuous Evolution)
  • 동시공용 : (Concurrent Sharing)
  • 내용에 의한 참조 : 주소나 위치에 의해서가 아니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로 검색(Content Reference)

구성요소

  • 데이터베이스
  • 스키마
  • DBMS
  • DB언어
  • DB컴퓨터
  • DB사용자

DBMS

  • DB 관리 소프트웨어
  •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 DB 공용하도록 관리
  • DB 구성, 접근방법, 유지관리에 책임

DBMS의 기능

  • 정의(조직)기능 : 데이터 타입과 구조 정의, 이용방식, 제약조건 명시 (Definition)
  • 조작기능 : CRUD를 위해 사용자와 DB사이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제공 (Manipulation)
  • 제어기능 : 데이터 무결성, 보안, 권한, 병행제어 처리 (Control)

DBMS의 장단점

  • 단점 : 전문가부족, 비용증가, Overhead, Backup과 Recovery의 어려움, 복잡

파일시스템의 문제점

  • 종속성 : 데이터의 접근방법을 변경하면 응용프로그램도 변경
  • 중복성 : 일관성, 보안성, 경제성, 무결성 위반

데이터독립성

  • 논리적 독립성 : 응용프로그램과 DB를 독립, 논리적 구조를 변경해도 응용프로그램 변경하지 않음
  • 물리적 독립성 : 응용프로그램과 물리적장치 독립, DB에 디스크를 추가해도 응용프로그램 변경하지 않음

DB의 구성요소

  • 개체
  • 속성 : 개체의 성질
  • 관계

데이터사전

  • 모든 데이터 개체들에 대한 정보를 유지 관리
  • alias 시스템 카탈로그
  •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

스키마

  • 외부스키마
  • 개념스키마
  • 내부스키마

특징

  • 데이터 사전에 저장
  • alias 메타데이터
  •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을 의미
  • 인스턴스에 의해 규정

외부스키마

  • 개인이 필요로하는 DB의 논리적 구조
  • VIEW
  • alias 서브스키마
  • 여러 개 존재 가능
  • 사용자는 SQL을 사용해 접근
  • 응용 프로그래머는 COBOL, C를 사용해 접근

개념스키마

  • DB의 전체적인 논리적 구조
  • 하나만 존재
  • DB 파일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형태를 나타냄
  • alias 스키마
  • DBA에 의해 구성

내부스키마

  • 물리적 저장장치에서 본 DB 구조
  • DB에 저장될 레코드의 물리적인 구조 정의
  • 내부 레코드의 물리적 순서를 기술
  • alias 저장스키마
  • 시스템 프로그래머나 시스템 설계자가 봄

DB언어

DDL

  • DB를 구축하거나 수정

DML

  • 비절차적 데이터 언어
  • SQL, IMS, DBTG, TOTAL

DCL

  • 무경설, 보안, 권한, 회복

DB 사용자

DBA

  • DDL, DML, DCL 사용

응용 프로그래머

  • DML을 사용해 일반 사용자에게 응용프로그램 제공

일반사용자

  • SQL 사용

데이터 모델

정보를 단순화, 추상화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한 개념적 모형

개념적 데이터 모델

  • 추상적인 개념으로 표현
  • 개체와 관계를 통해 현실을 표현
  • ER모델
  • 현실 세계의 개체를 인간이 이해하는 구조로 기술

논리적 데이터 모델

  • 데이터 타입과 데이터 타입간의 관계를 통해 현실을 표현
  • DBMS는 논리적 데이터 모델을 하나만 사용
  • 관계모델, 계층모델, 네트워크모델
  • 현실 세계의 개체를 컴퓨터의 데이터구조로 기술

표시요소

표현요소, 구성요소

  • 구조 : 논리적으로 표현된 개체 타입들 간의 관계로 데이터 구조 및 정적 성질을 표현 (Structure)
  • 연산 : DB에 저장된 실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작업에 대한 명세로 DB를 조작하는 기본 도구 (Operation)
  • 제약조건 : 실제 데이터의 논리적인 제약조건 (Constraint)

구성요소

  • 개체 : DB에 표현하려는 것, 유무형의 정보, 서로 연관된 속성, fs의 레코드 (Entity)
  • 속성 : 데이터의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 fs의 데이터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 개체를 구성하는 항목 (Attribute)
  • 관계 : 개체 간 또는 속성 간의 관계 (Relationship)

ER모델

Perter Chen, 개념적 표현

ERD

  • 개체 : □
  • 관계 : ◇
  • 속성 : ○
  • 기본키속성 : 밑줄원 또는 ●
  • 연결 : 선, 링크로 개체와 속성을 연결
  • DB의 논리적 구조 표현

관계형 데이터모델

테이블 (Relation)으로 표현

계층형 데이터모델

트리, 노드 = 개체, 부모 자식 관계

특징

  • 연쇄삭제
  • 개체 간 사이클 허용 안됨
  • 개체 = 세그먼트
  • DBMS = IMS

장점

  • 구조 간단, 판독 용이
  • 구현, 수정, 검색 용이
  • 독립성 보장

단점

  • 데이터 상호 유연성 붖고
  • 검색경로 한정
  • 삽입 삭제 연산 매우 복잡
  • 다 대 다 관계 처리 어려움

망형 데이터모델

CODASTYL DBTG 모델, 그래프, Owner-Member, N:M 관계

DB설계

고려사항

  • 무결성
  • 일관성
  • 회복
  • 보안
  • 효율성
  • DB 확장가능

개념적 설계

  • 개념 스키마 모델링과 트랜젝션 모델링
  • ERD 작성
  • alias 정보 모델링
  • 독립적 개념스키마

논리적 설계

현실세계를 물리적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도록 논리적 자료구조로 변환

  •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
  • 테이블 설계
  • alias 데이터 모델링
  • 종속적 논리스키마

물리적 설계

  • DB file의 저장구조 및 액세스 경로 결정
  • 데이터가 컴퓨터에 저장되는 방법 묘사
  • 저장 레코드 양식 설계
  • 데이터타입
  • 데이터 값의 분포
  • 접근 빈도
  • 레코드 집중의 분석 설계
  • 접근 경로 설계
  • 기본 단위는 저장레코드

고려사항

  • 인덱스 구조
  • 반응시간 : (Response Time)
  • 공간활용도 : (Space Utilization)
  • 트랜잭션 처리량 : (Transaction Throughput)

DB 구현

  • DDL 이용해 스키마 기술
  •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트랜잭션 작성
  • DB 접근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작성

설계 순서

구 분석 > 념적 설계 > 리적 설계 > 리적 설계 >

관계형 DB 구조

테이블로 표현

  • 릴레이션 스키마 : 속성명
  • 릴레이션 인스턴스 : 데이터

튜플

  • row
  • 튜플은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각각의
  • 속성의 모임
  • fs의 레코드
  • 튜플의 수 = 카디널리티 (Cardinality) = 기수 = 대응수

속성

  • column
  • DB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
  • fs의 데이터 또는 데이터 필드
  • 개체의 특성
  • 속성의 수 = 디그리 (Degree) = 차수

도메인

  • 하나의 속성 값들의 집합

관계형 DB 제약조건

후보키

모든 튜플에 대해 유일성과 최소성 만족

  • 유일성 : 하나의 키값으로 하나의 튜플만 식별 가능
  • 최소성 : 모든 레코드를 유일하게 식별하는데 필요한 속성

기본키

특정 튜플을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속성으로 후보키 중 선택한 Main key

  • Null 값 불가

대체키

  • 후보키가 둘 이상일 때 기본키를 제외한 나머지 후보키
  • alias 보조키

슈퍼키

  • 속성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키
  • 유일성은 만족, 최소성은 불만족

외래키

  • 기본키를 포함하면 참조 릴레이션
  • 외래키를 포함하면 참조하는 릴레이션

무결성

  • 개체무결성 : 기본키를 구성하는 속성은 NULL이나 중복 불가
  • 참조무결성 : 외래키 값은 NULL이거나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키와 동일, 도메인과 속성 갯수가 같아야함

관계대수

관계형 DB에서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절차적인 언어로 연산자와 연산규칙을 제공한다.

  • 순수 관계 연산자 : Select, Project, Join, Division
  • 일반 집합 연산자 : Union, Intersection, Difference, Cartesian Product

순수 관계 연산자

Select

  • 수평연산
  • 시그마(σ)

Project

  • 속성만 추출하는 연산
  • 수직연산
  • 파이(π)

Join

  • 두 개의 릴레이션을 합쳐서 새로운 릴레이션으로 반환
  • 나비넥타이 (▷◁)
  • 자연조인 : 중복된 속성을 제거하여 같은 속성을 한 번만 표기하는 방법

Division

  • 속성을 제외한 속성만을 구하는 연산
  • 나누기 (÷)

일반 집합 연산자

  •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은 합병 조건이 가능해야함.
  • 합병조건 : 합병하려는 두 릴레이션 간에 속성 수가 같고 도메인의 범위가 같음

합집합

  • Union
  • A ∪ B ≤ A + B
  • 합집합의 카디널리티는 두 릴레이션의 카디널리티의 합보다 크지 않다.

교집합

  • Intersection
  • A ∩ B ≤ MIN(A, B)
  • 교집합의 카디널리티는 두 릴레이션 중 작은 릴레이션보다 크지 않다.

차집합

  • Difference
  • A-B ≤ A
  • 차집합의 카디널리티는 A의 카디널리티보다 크지 않다.

교차곱

  • Cartesian Product
  • (A×B) = (A)×(B)
  • 교차곱은 두 릴레이션의 카디널리티를 곱한 것과 같다.
  • 디그리(차수)는 더하고, 카디널리티(튜플 수)는 곱하면 된다.

관계해석

  • E.F.Codd가 Predicate Calculus에 기반
  • 연산을 표현하는 방법, 원하는 정보를 정의시 계산 수식 사용
  • 비절차적 특성
  • 튜플 관게해석과 도메인 관계해석
  • 질의어로 표현

정규화

잘못 설계된 관계형 스키마를 작은 스키마로 쪼개서 바람직하게 만드는 과정으로 DB의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

목적

  • 안정성 최대화
  • 어떠한 릴레이션이라도 DB에서 표현이 가능
  • 효과적인 검색 알고리즘
  • 중복 배제하여 CRUD 이상의 발생 방지
  • 데이터 삽입시 릴레이션 재구성 필요성 제거

Anomaly

속성 간 종속 또는 튜플의 중복으로 발생

  • 삽입이상 : 원하지 않는 값도 같이 삽입
  • 삭제이상 : 연쇄 삭제
  • 갱신이상 : 일부만 갱신

과정

단계
비정규릴레이션
도메인이 원자값
1NF
부분적 함수 종속 제거
2NF
이행적 함수 종속 제거
3NF
결정자이면서 후보키가 아닌 것 제거
BCNF
다치 종속 제거
4NF
조인 종속성 이용
5NF

1NF

원자값으로만 되어있는 릴레이션

2NF

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대해 완전 함수적 종속

  • 함수적 종속관계 : A에 따라 B가 항상 같은 값이 나올 때 (키->값)
  • 완전 함수적 종속관계 : A,B에 따라 C가 항상 같은 값이 나오지만 A-C, B-C에서는 종속이 사라질 때 (여러 키->값)

3NF

키가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대해 이행적 종속관계를 제거

  • 이행적 종속관계 : A->B, B->C일 때 A->C 인 관계

BCNF

릴레이션에서 결정자가 모두 후보키인 관계 (Boyce-Codd Normal Form)

  • 결정자 : A->B 일 때 A를 결정자, B를 종속자
  • 모든 BCNF가 종속성을 보존하는 것은 아니다.

4NF

릴레이션에서 A->->B가 성립할 때 모든 속성이 A에 함수적 종속인 관계

  • 다치종속 : A,C에 대응하는 B값들이 A에만 종속되고 C에는 무관할 때 A->->B

5NF

조인 종속성이 후보키를 통해서만 만족될 때

  • 조인종속 : 어떤 릴레이션이 자신의 pROJECTION에 대한 조인의 결과가 자신과 같을 때

SQL

  • IBM에서 개발한 SEQUEL에서 진화

  • 관계대수와 관계해석을 기초로한 혼합 데이터 언어

  • 정의, 조작, 제어 기능

  • DDL : Create, Alter, Drop

  • DML : Select, Insert, Delete, Update

  • DCL : Commit, Rollback, Grank, Revoke

DDL

  • CREATE SCHEMA|DOMAIN
  • CREATE TABLE 테이블명 PRIMARY UNIQUE FOREIGN KEY REFERENCES CONSTRAINT CHECK
  • CREATE INDEX ON [CLUSTER]
  • ALTER TABLE ADD|ALTER|DROP [CASCADE]
  • DROP SCHEMA|DOMAIN|TABLE|VIEW|INDEX [CASCADE|RESTRICTED]

DML

  • SELECT FROM [WHERE][group by] [HAVING][order by]

DML

  • INSERT INTO VALUES
  • DELETE FROM WHERE
  • UPDATE SET

내장 SQL

컴퓨터 프로그램에 SQL 명령을 삽입한 것

  • 일반 SQL은 여러 개의 튜플을 반환하지만, 내장 SQL은 단 하나의 튜플을 반환
  • 반환되는 튜플은 일반 변수를 사용하여 저장 가능
  • 호스트 변수와 DB 필드명은 같아도 된다.
  • 내장 SQL 앞에 EXEC SQL 사용
  • 호스트 변수는 변수앞에 콜론(:)을 붙임

커서

  • 내장 SQL문의 수행 결과로 복수의 튜플이 반환될 시 액세스 할 수 있게 해준다.
  • 질의 수행 결과로 반환되는 첫 튜플에 대한 포인터

커서 명령어

  • DECLARE : 선언
  • OPEN : 첫번째 튜플 포인트
  • FETCH : 다음 튜플로 포인터 이동
  • CLOSE : 종료

  • 본 테이블로 유도된 가상 테이블
  • 조인 사용 최소화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최대화
  • 외부 스키마
  • 물리적으로 구현되어 있지 않음
  • 뷰가 정의된 테이블이나 뷰를 삭제하면 그걸 참조한 다른 뷰도 삭제됨.

장점

  •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 제공
  • 보안

단점

  • 독립적인 인덱스 사용 불가
  • 정의 변경 불가
  • CRUD 제한

시스템 카탈로그

  • 시스템에 관련된 다양한 객체가 담긴 시스템 DB
  • alias 자료사전 = data dictionary = 카탈로그 = 데이터사전
  • 메타데이터 : 카탈로그에 저장된 정보
  • SQL을 이용해 내용 검색 가능
  • 수정 및 삽입 불가
  • DB에 따라 다른 구조
  • DBMS가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
  • 시스템, 사용자 접근가능

Data Directory

  • 데이터 사전에 있는 데이터를 실제로 접근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 시스템만 접근가능

트랜잭션

  • DB 상태를 변환시키는 하나의 논리적 기능의 단위
  • 한꺼번에 모두 수행되어야할 연산들
  • 병행 제어 및 회복 작업시 처리되는 작업의 논리적 단위
  • 시스템이 응답하기 위한 상태 변환 과정의 작업 단위

특성

무결성을 보장

원자성

  • Atomicity
  • 트랜잭션 내의 명령은 반드시 완벽히 수행
  • 모두가 수행되거나 오류시 전부가 취소되어야함

일관성

  • Consistency
  • DB의 전체 요소는 트랜잭션 수행 전과 트랜잭션 수행 완료 후의 상태가 같아야함 (질량 보존 법칙처럼)

독립성

  • Isolation = 격리성 = 순차성
  • 둘 이상의 트랜잭션이 병행 실행되는 경우 다른 트랜잭션 연산이 끼어들 수 없음
  • 수행 중인 트랜잭션은 완료될 때 까지 다른 트랜잭션에서 참조 불가.

영속성

  • Durability = 지속성
  • 시스템이 고장나도 영구적으로 반영

Commit

Rollback

  • Active : 트랜잭션 실행 중
  • Failed : 트랜잭션 오류 발생으로 중단
  • Aborted : 트랜잭션 비정상적 종료로 Rollback 연산 실행한 상태
  • Partially Committed : 트랜잭션 마지막 연산까지 실행됬으나 Commit은 안 한 상태
  • Committed :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종료되어 Commit 연산 실행한 상태

회복

장애 발생으로 DB가 손상되었을 때 복구하는 작업, Recovery

  • 트랜잭션 장애 : 실행 또는 로직 오류
  • 시스템 장애 : 하드웨어 오동작, 소프트웨어 손상, 교착상태
  • 미디어 장애 : 물리적 데미지

회복기법

연기 갱신 기법

  • Deferred Update
  • 트랜잭션동안 갱신된 내용이 Log에 보관됨
  • Partially Committed 상태에서 Log에 보관한 내용을 실제 DB에 기록
  • Redo 작업만 가능

즉시 갱신 기법

  • Immediate Update
  • 트랜잭션 중이라도 DB에 반영
  • 장애 대비로 갱신 내용을 Log에 보관
  • Redo, Undo 모두 사용 가능

그림자 페이지 대체 기법

  • Shadow Paging
  • 트랜잭션을 Rollback할 때, 갱신된 이후의 실제 페이지 부분에 그림자 페이지를 대체하여 회복
  • 로그, Undo, Redo 필요 없음

검사점 기법

  • Check Point
  • 복구 시점을 로그에 보관하고 그 시점부터 회복작업을 수행

병행제어

다중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이 DB의 일관성을 파괴하지 않도록 트랜잭션 상호작용을 제어하는 것

목적

  • DB 공유 최대화
  • 시스템 활용도 최대화
  • DB 일관성 유지
  • 응답시간 최소화

직렬화 가능성

병행수행된 각각의 트랜잭션 결과는 각 트랜잭션을 독자적으로 실행했을 때의 결과와 같아야한다.

문제점

  • 갱신 분실 : 갱신 결과의 일부가 없어짐 (Lost Update)
  • 비완료 의존성 : 하나의 트랜잭션이 실패 후 회복되기 전에 다른 트랜잭션이 실패한 갱신결과를 참조하는 현상 (Uncommitted Dependency)
  • 모순성 : 두 개의 트랜잭션이 병행될 때 원치 않는 자료를 이용 (Inconsistency)
  • 연쇄 복귀 : 하나를 Rollback시 다른 것도 Rollback 되는 경우 (Cascading Rollback)

병행제어 기법

로킹

  • Lock이 허락되어야만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
로킹단위Lock 수병행성공유도
작음낮음감소
작음높음증가

2단계 로킹 규약

  • Tow-Phase Locking
  • 직렬성을 보장하지만 교착상태 예방 불가

타임 스탬프 순서

  • 트랜잭션을 실행 하기 전에 Time Stamp를 부여하여 부여된 시간에 따라 처리
  • 교착상태 발생 안함

최적 병행수행

  • 검증 = 확인 = 낙관적 기법
  • Read Only 트랝개션일 경우 충돌률이 낮으므로 병행제어를 안하고 실행

다중 버전 기법

  • 갱신될 때마다 버전을 부여하여 관리

무결성

  • DB 데이터의 정확성,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부정확한 자료가 DB내에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약조건
  • 사용자로부터 DB를 보호
  • 사용자가 정확하게 DB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
  • 대표적인 방법은 중앙 통제에 의한 데이터 갱신
  • Null 무결성 : 특정 속성이 Null이 될 수 없음
  • 고유 무결성 : 각 튜플의 값이 서로 달라야함
  • 참조 무결성 : 외래키 값은 Null이거나 참조 릴레이션의 기본키 값과 같아야함.
  • 도메인 무결성 : 특정 속성이 그 도메인에 속해야함.
  • 키 무결성 : 하나의 테이블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가 존재해야함.
  • 관계 무결성 : 릴레이션에 한 튜플의 삽입 가능 여부 또는 다른 릴레이션 튜플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적절성 여부를 지정.
  • 개체 무결성 : 기본 키를 구성하는 어떤 속성도 Null이나 중복값을 가질 수 없음

DB 보안

  • 권한이 없는 사용자로부터 DB를 보호
  • 사용자들이 DB를 사용하고자 할 때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

암호화

개인키 암호방식

  • alias 비밀키 암호방식 = 대칭 암호방식 = 단일키 암호화 기법
  •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복호화
  • 전위, 대체, 대수, 합성기법
  • 암복호화 속도가 빠름
  • 알고리즘 단순
  • 파일 크기가 작음
  • 사용자가 증가하면 키 파일이 많아짐
  • DES : 64Bit의 평문 블록56Bit의 16개의 키를 이용해 암호 계산

공개키 암호방식

  • 서로 다른키로 데이터를 암복호화
  • 암호화키는 공개키로 복호화키는 관리자가 관리
  • alias 비대칭 암호 방식
  • 키 분배가 용이
  • 관리할 키 개수가 적음
  • 암복호화 속도가 느림
  • 알고리즘 복잡
  • 파일 크기가 큼
  • RSA

권한 부여

  • GRANT 사용자 등급 TO
  • REVOKE 사용자 등급 FROM
  • CASCADE 사용시 권한을 부여받았던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부여한 권한도 연쇄적으로 삭제됨

사용자 등급

  • DBA : DB 관리 책임자
  • RESOURCE : DB 및 테이블 생성 가능자
  • CONNECT : 단순 사용자

분산 DB

보안, 보호가 어렵다.

구성

  • 분산처리기
  • 분산db
  • 통신네트워크

목표

  • 위치 투명성 : DB의 논리적인 명칭으로 액세스 가능 (Location Transparency)
  • 중복 투명성 : 사용자는 하나의 데이터만 존재하는 것처럼 사용 (Replication Transparency)
  • 병행 투명성 : 다수의 트랜잭션이 실행 가능 (Concurrency Transparency)
  • 장애 투명성 : 장애가 나도 트랜잭션 처리 가능 (Failure Transparency)

미들웨어

  • 분산 환경에서 구성원을 연결하고 구성원 간의 차이를 극복하도록 범용으로 개발된 소프트웨어
  •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존재하면서 다중통신, 데이터 액세스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를 지원
  • 통신 미들웨어 : NOS
  • DB 미들웨어 : ODBC
  • 분산 객체 미들웨어 : CORBA, DCOM

자료구조

어떠한 자료구조에서도 필요한 모든 연산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류

{
"선형":{
"리스트":["선형", "연결"],
"스택",
"큐",
"덱"
},
"비선형":["트리","그래프"]
}

리스트

선형 리스트

  • 연접 리스트 = Dense List = 축차 구조 = Sequential Structure
  • 배 열
  • 간단한 자료 구조
  • 접근 속도 빠름
  • 중간 자료 삽입시 연속된 빈공간이 있어야함
  • 기억장소 효율 가장 좋음
  • 이동횟수 : 삽입시 n+12\frac{n+1}{2} 삭제시 n12\frac{n-1}{2}
  • 삽입 삭제 시 자료의 이동이 필요하기 때문에 번거로움

연결 리스트

  • 노드의 삽입 삭제 작업 용이
  • 기억공간이 연속적이지 않아도 저장 가능
  • 연결을 위한 포인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기억공간 효율이 좋지 않음
  • 트리를 표현할 때 가장 적합
  • 희소행렬을 표현하면 기억장소가 절약됨
  • 희소행렬 : 행렬의 요소 중 많은 항이 0으로 되어 있는 형태

종류

  • 단순 연결 리스트
  • 단순 환상 연결 리스트
  • 이중 연결 리스트
  • 이중 환상 연결 리스트

스택

  • 한 쪽에서만 삽입 삭제 가능

  • 후입선출 (LIFO)

  • Top : 마지막으로 삽입된 자료의 위치 = 스택 포인터

  • Bottom : 스택 바닥

  • Overflow

  • Underflow

  • 부 프로그램 호출시 복귀주소 저장

  • 함수 호출의 순서 제어

  • 인터럽트 복귀주소 저장

  • 후위 표기법 연산

  • 0 주소 지정방식 명령어의 자료 저장소

  • 재귀 프로그램

  • 컴파일러를 사용한 언어 번역

  • 선형 리스트의 한쪽에서는 삽입, 다른쪽에서는 삭제만 이루어짐

  • 선입선출 (FIFO)

  •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두개의 포인터 존재

  • 프런트 포인터

    • 가장 먼저 삽입된 자료의 포인터
    • 삭제 작업시 사용
  • 리어 포인터

    • 가장 마지막에 삽입된 자료의 포인터
    • 삽입 작업시 사용
  • 운영체제 작업 스케줄링

  • spool

  • 삽입과 삭제가 리스트 양쪽에서 일어남
  • Double Ended Queue
  • Stack과 Queue를 합쳐서 만듦
  • Scroll : 입력 제한 데크
  • Shelf : 출력 제한 데크

트리

  • 족보, 연산수식, 구조도, 힙(heap)에 사용
  • 근노드 : Root node
  • 단말노드 : Terminal Node = Leaf Node
  • 차수 : Degree = 가지 수
  • 레벨 : 노드의 레벨
  • 깊이 : 최대 레벨
  • 숲 : Forest 여러 트리의 집합
  • tree의 degree : MAX(degree)

이진트리

  • 차수가 2이하인 노드로 구성된 트리
  • 레벨 i에서의 최대 노드의 수는 $2^{n-1}$
  • 전체의 최대 노드의 수는 $2^n-1$
  • 단말 노드 수가 $N_0$, 차수(가지 수)가 2인 노드의 수가 $N_2$라고 할 때 $N_0=N_2+1$ 성립

정이진 트리

꽉찬 트리

전이진 트리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하나씩 빠짐없이 채워진 트리

사향트리

한 쪽 자식 노드가 없는 치우친 트리

  • 왼쪽 사향 이진 트리
  • 오른쪽 사향 이진 트리

이진트리 운행법

  • Preorder : Root > Left > Right
  • Inorder : Left > Root > Right
  • Postorder : Left > Right > Root

수식의 표기

  • Prefix : 연산자 > Left > Right

  • Infix : Left > 연산자 > Right

  • Postfix : Left > Right > 연산자

  • Infix to Prefix or Postfix : 연산에 따라 괄호로 묶고 연산자를 괄호 앞뒤로 옮김

  • Prefix or Postfix to Infix : 운행 순서에 따라 괄호로 묶어 연산자를 피연산자 사이로 이동

스레드 이진트리

  • 이진트리에서 발생하는 Null 링크를 트리 운행에 필요한 다른 노드의 포인터로 사용하도록 된 트리
  • Nil로 Null pointer 기록
  • 왼쪽이 Nil이면 운행상 전 노드를 가리킴
  • 오른쪽이 Nil이면 운행상 후 노드를 가리킴
  • Nil이 아닐경우 다음 노드를 가리킴

그래프

  • 정점 (Vertex)와 간선 (Edge)로 이루어짐
  • 차수
    • 무방향 그래프 : 한 정점에 연결된 간선 수
    • 방향 그래프 : 진입(Indegree), 진출(Outdegree)
  • 완전 그래프의 간선 수
    • 무방향 그래프 : $\frac{n(n-1)}{2}$
    • 방향 그래프 : n(n1)n(n-1)
  • 사이클 : 같은 정점으로 시작과 끝이 이루어짐
  • 최대 사이클 : 사이클을 이루는 경로 중 최대 경로의 길이

인접행렬

  • Adjacency Matrix
  • 선이 있으면 1, 없으면 0으로 표기

최소 비용 신장 트리

  • MST = Minimum-Cost Spanning Tree
  • 가중치가 작은 간선들을 사이클을 이루지 않게 연결한 그래프

정렬

{
"내부정렬": {
"선택": ["힙"],
"삽입": ["삽입", "쉘"],
"교환": ["버블", "선택", "퀵"],
"병합": ["2-Way Merge Sort"],
"분배": ["기수"]
},
"외부정렬": [
"밸런스 병합",
"케스케이드 병합",
"폴리파즈 병합",
"오실레이팅 병합"
]
}

고려사항

  • 데이터의 양
  • 초기 데이터의 배열 상태
  • 키 값들의 분포 상태
  • 소요공간 및 작업시간
  • 시스템의 특성

내부정렬

삽입정렬

  • 이미 순서화된 파일에 NN번째 키를 앞의 N1N-1개의 키와 비교
  • 뒤에서 앞으로 비교

쉘정렬

  • 매개변수
  • 입력파일이 부분적으로 정렬되어 있는 경우

선택정렬

  • NN개의 레코드에서 최소값을 찾아 첫 번째 레코드에 놓고 나머지 N1N-1개 중에서 다시 최소값을 찾아 두번째... 를 반복
  • 앞에서 뒤로 비교

버블정렬

  • 주어진 파일에서 인접한 두 개의 레코드를 비교하여 그 크기에 따라 레코드 위치를 서로 교환
  • 계속 정렬 여부를 플래그 비트로 결정

퀵정렬

  • 작은 값은 왼쪽에 큰 값은 오른 쪽에 모이도록해서 분할해서 정렬
  • 가장 바름
  • 스택 필요

힙 정렬

  • 전이진 트리를 이용한 정렬 방식

2-Way 합병 정렬

  • Merge Sort
  • 두 개의 키를 한 쌍으로 하여 각 쌍에 대해 순서를 정함
  • 이미 정렬되어 있는 두 개의 파일을 한 개의 파일로 병합

기수 정렬

  • 큐를 이용하여 자릿수 별로 정렬
  • 레코드의 키를 분석하여 같은 수 또는 문자끼리 그 순사에 맞는 버킷에 분배했다가 버킷 순으로 레코드를 꺼내어 정렬
  • 키워드를 나타내는 레이블 내의 주소로 키워드를 변경

검색

선형 검색

  • 첫 번쨰 레코드 키 값부터 차례로 비교하여 검색
  • 순차 검색

제어 검색

  • 반드시 순서화된 파일이여야 검색 가능
  • 한 번의 비교가 끝난 후 비교 대상이 된 레코드를 다음에 비교할 대상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사용
  • 이분 검색 : M = F+L2\frac{F+L}{2}
  • 피보나치 검색
  • 보간 검색 : 있음직한 부분의 키를 택하여 검색, 프로그래밍 불가
  • 블록 검색 : 블록으로 분할해 인덱싱 후 어느 인덱스에 있는지 검색 후 블록 내를 다시 선형 검색

이진 트리 검색

  • 파일을 이진 검색 트리로 구성하여 검색
  • 이진 검색 트리 : 왼쪽 자식노드는 부모보다 작고, 오른쪽 자식노드는 부모보다 크게 구성

해싱

  • 해싱은 DAM 파일을 구성할 때 사용, 접근 속도는 빠르나 기억공간 요구
  • 다른 방식에 비해 검색속도가 가장 빠름
  • 삽입 삭제 작업이 많을 때 유리
  • 키-주소 변환방법

해시테이블

  • 버킷 : 하나의 주소를 갖는 파일의 한 구역
  • 슬롯 : 한 개의 레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 N개의 슬롯이 모여 하나의 버킷
  • Collision :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레코드가 같은 주소를 갖는 현상
  • Synonym : 충돌로 인해 같은 주소를 같는 레코드들의 집합
  • Overflow : 버킷에 저장할 공간이 없는 상태, Collision은 발생해도 Overflow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음

해싱함수

  • 제산법 : 소수를 사용함 (Division)
  • 제곱법 : 키를 제곱해 중간부분을 추출 (Mid-Square)
  • 폴딩법 : 키를 여러부분으로 나눠 각 부분을 더하거나 XOR한 값을 추출 (Folding)
  • 기수 변환법 : 키 숫자의 진수를 다른 진수로 변환시켜 초과한 자릿수를 절삭
  • 대수적 코딩법 : 키 값의 비트 수를 다항식의 계수로 간주
  • 계수 분석법 : 숫자 분포를 분석하여 비교적 고른자리
  • 무작위법 : 랜덤

Overflow 해결

개방 주소법

  • 선형 방법
  • 순차적으로 그 다음 빈 버킷을 찾아 저장
  • Open Addressing

폐쇄 주소법

  • Overflow된 레코드를 별도의 Overflow영역에 저장하고 체인(Pointer)로 홈버킷과 연결
  • Direct Chaining : Cylinder Overflow Area에 보관 (해시테이블 내)
  • Indirect Chaining : Independent Overflow Area에 보관 (해시테이블 밖)

재해싱

새로운 해싱함수로 새로운 홈 주소

인덱스

  • 데이터 레코드를 빠르게 접근하기 위해 구성하는 것
  • 데이터가 저장된 물리적 구조와 밀접한 관계
  • 레코드가 저장된 물리적 구조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
  • 삽입과 삭제가 빈번하면 인덱스의 갯수를 최소화

m-원 검색 트리

  • m-Way Search Tree
  • 키 값의 일부분이 동일한 문자열이나 숫자로 구성된 자료를 표현하는데 효과적
  • 삽입, 삭제시 트리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복잡한 연산이 필요

B트리

  • 균형된 m원 검색트리
  • 모든 Leaf는 같은 레벨이 있다.
  • 한 노드 안에 있는 키 값들은 오름차순을 유지

B+트리

  • B트리의 변형, 인덱스 세트와 리프 노드로만 구성된 순차 데이터 세트로 구성
  • B트리의 연산과정을 줄일 수 있는 트리구조

트라이 색인

  • Trie
  • 탐색을 위한 키 값을 직접 표현하지 않고 키를 구성하는 문자나 숫자 자체의 순서로 키 값을 구성하는 구조
  • 키 값이 문자 또는 숫자일 경우, 키 값들에 대해 일부분이 같은 문자나 숫자로 구성되어있을 때 적합
  • 삽입, 삭제시 노드의 분열과 병합이 없음
  • 키 값의 분포를 예측할 수 있다면 기억장소를 절약 가능

파일 편성

순차 파일

  • Sequential File = 순서파일
  • 물리적 연속 공간에 순차적으로 기록
  • 급여관리 등 기간별로 일괄처리를 주로 하는 경우에 적합
  • 자기테이프

장점

  • 기록 밀도가 높아 기억공간 효율적 사용
  • 어떠한 매체에도 적용
  • 키 순서대로 편성되어 취급 용이
  • 키 순서대로 레코드 처리시 빠름

단점

  • 새로운 레코드 삽입, 삭제시 재구성을 위해 전체를 복사해야함
  • 검색시 처음부터 순차적으로 하기에 효율이 낮고 응답시간이 느림

색인 순차 파일

  • Indexed Sequential File
  • 순차 처리와 랜덤처리가 모두 가능하도록 레코드를 키 값순으로 정렬시켜 기록
  • 레코드의 키 항목만을 모은 색인 파일을 구성하여 편성
  • 색인을 이용한 순차적인 접근방법을 제공하여 ISAM
  • 레코드를 참조시 색인 탐색 후 색인이 가리키는 포인터를 사용해 직접 참조
  • 자기디스크
  • 자기테이프 불가능

구성

  • 기본 구역 : 실제 레코드를 기록하는 부분, 키 값 순으로 저장
  • 색인 구역
    • 마스터 색인 구역 : 실린더 색인 구역의 정보가 많을 경우, 해당 레코드가 어느 실린더 색인 구역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기록
    • 실린더 색인 구역 : 트랙 색인의 최대키 값과 해당 레코드가 기록된 실린더의 정보가 기록, 한 파일당 하나씩 만들어짐
    • 트랙 색인 구역 : 트랙상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레코드 중의 최대 키 값과 주소가 기록, 한 실린더당 하나씩, 처리할 레코드가 실제로 어느 트랙에 기록되어있는지를 판별
  • 오버플로 구역 : 기본구역에 빈공간이 없어서 예비적으로 확보해둔 구역
    • 실린더 오버플로 구역 : 해당 실린더의 기본구역에서 오버플로된 데이터 기록
    • 독립 오버플로 구역 : 실린더 오버플로에 더 이상 기록할 수 없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예비 공간

장점

  • 삽입, 삭제, 갱신 용이
  • 파일 전체를 복사할 필요 없음

단점

  • 색인 및 오버플로 구역을 구성하기 위한 추가 기억공간 필요
  • 오버플로 레코드가 많아지면 파일을 재편성
  • 파일이 정렬되어 있어야함
  • 삽입, 삭제가 많으면 효율이 떨어짐
  • 액세스 시간이 랜덤 편성파일보다 느림

정적 인덱스

  • 인덱스의 구조가 변경되지 않고 내용만 변하는 구조
  • ISAM

동적 인덱스

  • 추가로 삽입될 레코드를 감안하여 빈 공간을 미리 예비해 두는 인덱스
  • VSAM
  • 블록에 레코드가 가득차면 동적으로 분열
  • 일정 수의 레코드가 유지되지 않는 블록은 병합

VSAM

동적 인덱스 방법을 이용한 색인 순차 파일

  • 기본 구역과 오버플로 구역을 구분하지 않음
  • 레코드를 삭제하면 그 공간을 재사용
  • 제어 구간에 가변 길이 레코드를 쉽게 수용

직접 파일

  • Direct File = Random File = DAM (Direct Access Method)
  • 레코드에 특정 기준으로 키가 할당, 해시 함수를 이용해 이 키에 대한 물리적 상대 레코드 주소를 계산 후 레코드 저장
  • 자기 디스크, 자기 드럼

장점

  • 물리적 주소를 통해 각 레코드에 직접 접근
  • 접근시간이 빠름
  • 삽입, 삭제, 갱신 용이
  • 어떤 레코드라도 평균 접근 시간에 검색 가능

단점

  • 레코드 주소 변환 과정 필요
  • 기억 공간 효율 저하
  • 물리적 구조에 대한 지식 필요
  • 프로그래밍 복잡
  • 충돌 발생 염려로 기억공간 확보

역파일

  • Inverted File
  • 여러 개의 색인을 만들어 항목별 특성에 맞게 분배한 파일로 다중 키 파일에 속함
  • 다중 키 파일 : 하나의 데이터에 여러개의 접근 방법을 지원하는 구조
    • 순차 처리와 임의 처리가 모두 가능하도록 편성
    • 검색 속도가 빨라 빠른 시간 내에 정보를 얻고자하는 시스템에 적합
  • 색인 값을 결합하여 레코드 주소를 결정
  • 레코드를 파일 중간에 삽입하기 쉬움
  • 검색 속도 빠름
  • 데이터 파일에 접근하지 않아 응답시간이 줄어듦
  • 처리가 쉬움
  • 색인 항목이 가변적

다중 리스트 파일

  • Multi-List File
  • 다중 키파일의 한 종류
  • 각 키에 대해 색인을 만든 후 각 데이터 레코들 간에 다중 리스트를 구축하여 구성
  • 색인의 각 항목들의 길이가 고정적으로 관리가 용이
  • 수정, 삭제 검색이 효율적

다중 링 파일

  • Multi-Ring File
  • 같은 특성을 가진 레코드들을 포인터로 연결하여 구성
  • 같은 항목값을 가진 레코드를 한꺼번에 처리하는 효과적
  • 기억장소 절약
  • 자료 중복성 배제
  • 레코드 형식이 달라도 처리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