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javascript" 태그로 연결된 112개 게시물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모든 태그 보기

qs 모듈과 querystring 모듈 비교

· 약 2분

qs 모듈과 querystring 모듈 비교

대부분의 포스트에서는 qs.stringifyqs.parse 는 확장된 쿼리스트링 변환이 가능하다고 나온다. 기본 모듈인 querystring.stringify, querystring.parse 대비 쿼리스트링의 중첩을 가능하게한 모듈인데, 다른 변경점이 하나 더 있다.

rfc3986

rfc3986!, ', (, ), * 문자에 대해 추가적으로 엔티티화 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이 스펙을 준수하려면 다음과 같이 encodeURIComponent 함수를 합성해야한다. 노드에서도 이는 마찬가지이며 querystring 모듈은 이 스펙을 준수하지 않았다.

function fixedEncodeURIComponent(str) {
return encodeURIComponent(str).replace(/[!'()*]/g, function (c) {
return "%" + c.charCodeAt(0).toString(16);
});
}

하지만 qs 모듈은 이 스펙을 기본으로 준수한다.

RFC3986 used as default option and encodes ' ' to %20 which is backward compatible. In the same time, output can be stringified as per RFC1738 with ' ' equal to '+'.

따라서 언어 간 호환성 및 표준을 맞추기 위해는 qs 모듈을 사용하는 것이 마음이 편하다.

참조

NodeJS에서 커맨드 파싱하기

· 약 1분

arg

zeit/arg 패키지를 이용하면 된다.

사용법

arg 함수 하나로 파싱이 가능하다.

const arg = require("arg");

// `options` is an optional parameter
const args = arg(
spec,
(options = { permissive: false, argv: process.argv.slice(2) }),
);

세부적인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타입을 정하고
  2. 옵션과 축약 옵션을 정하고
  3. 검증을 넣는다.

소스

// 계정정보를 받는 스크립트라면
const help = () => {
console.log(`usage => ...`);
};

let args = {};
try {
args = arg({
"--help": Boolean,
"--user": String,
"--password": String,
"--verbose": arg.COUNT,
"--test": Boolean,

"-h": "--help",
"-u": "--user",
"-p": "--password",
"-v": "--verbose",
});
} catch (err) {
if (err.code === "ARG_UNKNOWN_OPTION") {
help();
process.exit(1);
}
}

if (!(args["--user"] && args["--password"])) {
help();
process.exit(1);
}

if (args["--test"] === true) {
process.env.TEST = 1;
}

Workbox5 버전의 주요 변경사항

· 약 2분

Workbox5 버전

잘 돌던 workbox-cli 가 5버전 릴리즈 후부터 돌지 않아서 확인해보았다. 전체 문서는 여기서 확인 가능하다.

injectManifest

self.__WB_MANIFEST 를 주입받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v4:
precacheAndRoute([]);

// v5:
precacheAndRoute(self.__WB_MANIFEST);

blacklist, whitelist 에서 denylist, allowlist 로 키 명이 변경되었다.

BroadcastChannel

broadcast-update 가 자체 API 에서 postMessage()로 변경되었다. 이벤트 리스너가 많아져 복잡해지고, 기존 API에서는 메세징의 버퍼 기능이 없었기 때문이다.

// v4:
const updatesChannel = new BroadcastChannel("api-updates");
updatesChannel.addEventListener("message", (event) => {
const { cacheName, updatedUrl } = event.data.payload;
// ... your code here ...
});

// v5:
// This listener should be added as early as possible in your page's lifespan
// to ensure that messages are properly buffered.
navigator.serviceWorker.addEventListener("message", (event) => {
// Optional: ensure the message came from workbox-broadcast-update
if (event.meta === "workbox-broadcast-update") {
const { cacheName, updatedUrl } = event.data.payload;
// ... your code here ...
}
});

서비스워커로 POST Request 캐싱하기

· 약 4분

앞서

서비스워커로 Navigation Request 나 Static Assets 에 대한 리소스 캐시는 쉽다. (이전 포스팅 참조)

하지만 POST Request 에 대한 레퍼런스는 찾기 힘들어 결국 만들어버렸다. 복잡한 로직이지만 Request Body 를 SHA1로 해싱해 키로 IndexedDB 에 저장하고 그 키가 맞으면 꺼내주는 방식이다.

소스

// IndexedDB 는 Promisify 되어있지 않아서 라이브러리가 필요하다.
importScripts(
"https://cdn.jsdelivr.net/npm/[email protected]/dist/localforage.min.js",
);

// 캐시하고 싶은 POST 엔드포인트
const ENDPOINT = "https://your-domain/post-request";

const bin2Hex = (buffer) => {
let digest = "";
const dataView = new DataView(buffer);
for (let i = 0, len = dataView.byteLength; i < len; i += 4) {
const value = dataView.getUint32(i);
// hex 로 바꾸면 패딩비트 0 이 제거된다.
const hex = value.toString(16);
// uint32 는 4bytes 로 나온다.
const padding = "00000000";
// 패딩을 더해서 뒤에서 잘라준다.
const paddedValue = (padding + hex).slice(-padding.length);
digest += paddedValue;
}

return digest;
};

const postRequestFetchListener = (fetchEvent) => {
const requestUrl = fetchEvent.request.url;
const method = fetchEvent.request.method.toUpperCase();
// 맞는 엔드포인트인지 확인
if (!(method === "POST" && requestUrl === ENDPOINT)) {
return;
}

fetchEvent.respondWith(
fetchEvent.request
.clone()
.arrayBuffer()
.then((buffer) => {
const requestBody = String.fromCharCode.apply(
null,
new Uint8Array(buffer),
);
// request body 에 원하는 조건만 캐시처리할 수 있게 한다.
if (requestBody.includes("cache=1")) {
// 속도면에서 다른 해싱 알고리즘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return crypto.subtle.digest("SHA-1", buffer);
}

return Promise.reject();
})
.then((sha1Buffer) => {
const sha1Hash = bin2Hex(sha1Buffer);
console.log("SHA1 Hash => ", sha1Hash);

// IndexedDB 에서 캐시된 키를 찾는다.
return localforage.getItem(sha1Hash).then((cachedResponse) => {
if (cachedResponse) {
console.log("Cached repsonse => ", cachedResponse);
return new Response(cachedResponse, {
// 여기서 statusCode 를 304 로 내보내고 싶었으나, Body 를 반환할 수 없었다.
status: 200,
statusText: "OK",
headers: {
"Content-Length": cachedResponse.lengt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그래서 커스텀 헤더를 추가했다.
"X-SW-Cache-Hit": 1,
"X-SW-Cache-Type": "POST",
},
});
}

// 캐시된 데이터가 없을 경우 새로 요청한다.
return fetch(fetchEvent.request).then((response) => {
console.log("Fetching response => ", response.clone());

// 정상적일 경우만 IndexedDB 에 저장한다.
if (200 <= response.status && response.status < 400) {
// 이 작업은 비동기지만 굳이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response
.clone()
.text()
.then((textResponse) => {
console.log("Caching response => ", textResponse);
return localforage.setItem(sha1Hash, textResponse);
});
}

return response;
});
});
})
.catch(() => fetch(fetchEvent.request)),
);
};

// 리스너를 등록해준다.
self.addEventListener("fetch", postRequestFetchListener);

여담

  • WorkBox 를 사용할 수 있다면 CacheableResponse와 CacheFirst 정책으로 단번에 처리 가능할 것이다.
  • 굳이 해시를 키로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RequestBody 의 Serialize 를 키로 써도 된다. (만들면서 crypto 라이브러리를 사용해보고 싶었을 뿐)

타입스크립트에서 json import 방법

· 약 1분

TS5071

node 에서 즐겨쓰는 package.json import 방법은 아래와 같다.

import packageJson from "../package.json";
console.log(packageJson.version);

편안하게 잘 사용되는 로직인데 타입스크립트로 변경시에는 몇 가지 설정을 해줘야한다. 설명에 필요없는 설정은 생략했다.

tsconfig.json
{
"compilerOptions": {
"moduleResolution": "node",
"resolveJsonModule": true,
"esModuleInterop": true
}
}

또는 tsc 실행시에 --esModuleInterop, --resolveJsonModule 옵션을 추가해 빌드해줘야한다.

참조

vee-validate3 모든 규칙 추가시 TS7053 오류

· 약 2분

TS7053

3.0 버전이 되면서 HOC 기반으로 변경되며 rules를 상위 컴포넌트에서 확장하게 되었다. 문제는 typescript 기반에서 룰 전체 등록이 TS(7053) 에러를 발생시킨다.

import { ValidationProvider, ValidationObserver, extend } from "vee-validate";
import * as rules from "vee-validate/dist/rules";

Object.keys(rules).forEach((rule) => {
extend(rule, rules[rule]); // rules[rule] 에서 타입오류 발생
});
Element implicitly has an 'any' type because expression of type 'string' can't be used to index type 'typeof import(".../node_modules/vee-validate/dist/rules")'.
No index signature with a parameter of type 'string' was found on type 'typeof import(".../node_modules/vee-validate/dist/rules")'.ts(7053)

원인

import, export 의 모듈명은 string index 로 쳐지지 않아 발생한다.

해결방법

Object.entriesfor of를 사용해 타입에 안전하게 돌려주면 된다.

import { extend } from "vee-validate";
import * as rules from "vee-validate/dist/rules";

for (const [rule, validation] of Object.entries(rules)) {
extend(rule, {
...validation,
});
}

여담

  • 새로운 구문 (async/await, import/export)를 사용해 돌릴 땐 먼저 for of를 사용하는 습관을 들여야겠다.
  • 머지되어서 다음 사람의 삽질은 없을 듯 하다.

참조

Github Actions로 Hexo 배포 자동화하기

· 약 2분

개념

Docker 이미지로 생성된 후에 그 위에서 돌아간다. 자세한 개념은 시간날 때 추가 예정

레파지토리 토큰 발급

여기를 참조해 레파지토리의 secret 으로 등록한다.

서브모듈

themes directory 하위의 테마들은 각각의 repo를 가지고 있다. 이 테마들을 CI 중에 가져오기 위해선 서브모듈로 등록해주고 초기화시켜줘야한다.

## 서브모듈 테마 추가
git submodule add 테마깃경로 themes/테마명

## 싱크
git submodule update --init --remote

여기서 remote 옵션을 쓰지 않을 경우 최신 마스터를 pull 하지 않는다. 서브모듈을 쓰는 이유는 내가 관리하지 않기 위함이니 꼭 추가해주자.

소스

주석 없어도 하나하나가 무슨 느낌인지는 받아들여질 것 같다.

name: Node CI

on:
push:
branches:
- master

jobs:
build:
runs-on: ubuntu-latest

strategy:
matrix:
node: [20.x]

steps:
- uses: actions/checkout@master

- name: SETUP_NODE_${{ matrix.node }}
uses: actions/setup-node@master
with:
node-version: ${{ matrix.node }}

- name: BEFORE_INSTALL
run: npm i -g hexo workbox-cli

- name: BEFORE_SCRIPT
run: |
git config --global user.name 'gracefullight'
git config --global user.email '[email protected]'
sed -i "s/__GITHUB_TOKEN__/${{ secrets.HEXO_DEPLOY_TOKEN }}/" _config.yml

- name: THEME_INSTALL
run: |
git submodule update --init --remote --recursive

- name: NPM_INSTALL
run: npm install

- name: HEXO_CLEAN
run: hexo clean

- name: HEXO_GENERATE
run: hexo generate

- name: WORKBOX_BUILD
run: workbox injectManifest

- name: HEXO_DEPLOY
run: hexo deploy

GITHUB_TOKEN

secrets.GITHUB_TOKEN 은 예약된 토큰이다. 빌드 이미지에서 현재 repo를 접근하기 위한 토큰임을 알아두자.

결론

travis-ci 안녕

참조

puppeteer 크롤링 속도 증가시키기

· 약 1분

페이지를 가져온 뒤 css, image, font를 차단하면 더 빠른 DOM 액세스가 가능하다.

리소스 차단

// @types/puppeteer
import { launch, Browser, Request, Page } from "puppeteer";

const browser: Browser = await launch({
headless: true,
});

const page: Page = await browser.newPage();
await page.setRequestInterception(true);

page.on("request", (req: Request) => {
switch (req.resourceType()) {
case "stylesheet":
case "font":
case "image":
req.abort();
break;
default:
req.continue();
break;
}
});

await page.goto("URL");

nodejs triple des 암호화

· 약 2분

triple des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는 일은 요새는 드문데, 드물어서 그런지 구글링해도 아무 것도 나오지 않았다.

레거시 언어들에는 3des 암호화된 로직이 많은데, 포팅하면서 개발해야될 필요성이 생겼다.

암호화

  • nodejs 의 암호화 패키지는 crypto 안에 들어있다.
  • crypto.getCiphers(); 메소드로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확인할 수 있다.
    • ciphers.filter(cipher => cipher.includes('des'));
  • 3des 알고리즘은 des-ede3 로 시작한다.
  • 키는 24bytes 이며, iv 는 8bytes 다.

소스

import crypto from "node:crypto";

class TripleDes {
// #iv;
// #key;

constructor(key, iv) {
this.key = key;
this.iv = iv;
}

getKey() {
return this.key.padEnd(24, String.fromCharCode(0));
}

getIv() {
return this.iv;
}

encrypt(plain, iv) {
if (!iv) {
iv = this.iv ? Buffer.from(this.iv, "hex") : crypto.randomBytes(8);
}

const cipher3des = crypto.createCipheriv(
"des-ede3-cfb8",
this.getKey(),
iv,
);
let encrypted = cipher3des.update(plain, "utf8", "hex");
encrypted += cipher3des.final("hex");

this.iv = iv.toString("hex");
return encrypted;
}

decrypt(encrypted, iv) {
if (!iv) {
iv = this.iv;
}

const decipher3des = crypto.createDecipheriv(
"des-ede3-cfb8",
this.getKey(),
Buffer.from(iv, "hex"),
);
let decrypted = decipher3des.update(encrypted, "hex", "utf8");
decrypted += decipher3des.final("utf8");

return decrypted;
}
}

module.exports = TripleDes;

위의 encrypt 메소드는 아래처럼 버퍼를 합친 후에 헥스로 바꾸는 것과 동일하다.

let encrypted = Buffer.concat([
cipher3des.update(plain, "utf8"),
cipher3des.final("utf8"),
]);

encrypted = encrypted.toString("hex");

사용법

const TripleDes = require("./TripleDes");

const tripleDes = new TripleDes("encryptionKey");
// 암호화
const encrypted = tripleDes.encrypt("yummy");
// 복호화
const decrypted = tripleDes.decrypt(encrypted);

참조

RxJS의 모든 것

· 약 14분

RxJS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은 개인적으로 비동기 프로그래밍과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종착지라고 생각한다. Stage1 Draft로 제안되어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Observable 을 알아보자.

정의

위키피디아에선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있다.

reactive programming is a declarative programming paradigm concerned with data streams and the propagation of change. 데이터 스트림과 변화의 전파에 중점을 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2011년 태초에 RX 의 개념을 만든 MS 문서에서는 Reactive eXtensions 다음과 같다.

Reactive Extensions (Rx) is a library for composing asynchronous and event-based programs using observable sequences and LINQ-style query operators. 옵져버블 시퀀스와 링큐 쿼리 연산자를 사용하는 비동기, 이벤트 기반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

조금 더 디테일하게 말하면 데이터스트림을 Pulling 방식의 이터레이터 패턴인 IEnumerable<T>/IEnumerator<T> 로 만들어 Pushing 방식의 옵저버 패턴인 IObservable<T>/IObserver<T>로 전파/구독하는 것이다.

Rx를 모두 이해한 뒤 이 정의를 보면 어쩜 이렇게 깔끔하게 한 줄로 이 내용을 다 담았을까? 란 생각이 드는데, 처음보는 입장에선 비동기인 건 알겠네 정도로만 이해가 되는 듯하다. 어려운 게 당연하다. 멀티쓰레드 프로그래밍을 처음 배울 때의 감정을 생각해보자.

용어

  • 비동기 프로그래밍: 이 문서를 볼 정도면 설명이 필요 없을 것 같다.
  • 함수형 프로그래밍: 함수를 FirstClass 로 취급해 파라미터, 리턴, 변수에 할당 가능하며 함수 합성이 가능하고 원하는 시점에 호출이 쉽다.
  • 데이터스트림: file stream, event stream, http stream 의 친구로 data 식 표현
  • 이터레이터: 설명 필요 없을 듯.
  • 옵져버: 디자인패턴 책의 옵져버패턴 단원 참조, 자바스크립트에선 이미 이벤트리스너가 옵져버 패턴이다.
  • 옵져버블: 특정 객체를 관찰하는 옵저버에게 여러 이벤트나 값을 전파하는 역할
  • 풀: 데이터를 받을지 결정
  • 푸쉬: 데이터를 보낼지 결정
  • 싱글: 하나의 값이나 이벤트를 다룸
  • 멀티플: 여러 개의 값이나 이벤트를 다룸

이 모든 용어를 하나의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싱글멀티플
함수이터레이터
푸쉬프로미스옵져버블

패턴

  • 옵져버블의 변수 스타일은 이름 뒤에 const click$ 처럼 $을 뒤에 붙혀주는게 정형화되어있다.
  • subscribenext, error, complete를 파라미터로 받는다.

마블 다이어그램

마블 다이어그램은 연산자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옵져버블을 테스트하기위해 도식화된 다이어그램이다. 타이밍과 값의 변화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

map

  • 위에 줄은 input 이고 연산자를 만나고나면 아래 줄에서 output 이 어떻게 바뀌는지 보여진다.
  • 가로 줄은 하나의 옵져버블이다.
  • 줄의 | 파이프는 구독 완료를 나타낸다.

소스

생성

가장 간단한 옵져버블을 만들고 확인해보자.

const { Observable } = require("rxjs");

const test$ = Observable.create((observer) => {
console.log("create");
observer.next(1);
observer.next(2);
observer.complete();
console.log("done");
});

test$.subscribe(
(item) => {
console.log(item);
},
(error) => {},
() => {
console.log("complete");
},
);

/*
create
1
2
complete
done
*/

간단하지만 이터레이터이면서 구독가능하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구독해제

옵져버블의 리턴함수로 구독해제 콜백을 지원한다, 콜백이 필요하지 않다면 unsubscribe() 를 호출해주기만 하면 된다.

const test$ = Observable.create((observer) => {
const interval = setInterval(() => {
console.log("test");
}, 1000);

return () => {
clearInterval(interval);
};
});

const subscription = test$.subscribe();
subscription.unsubscribe();

파이퍼블 연산자

Pipeable 연산자는 옵져버블 인스턴스를 pipe 함수 안에서 다룰 수 있는 연산자이다. 기본적으로 rxjs/operators 라이브러리 안에 들어있다.

const { map } = require("rxjs/operators");

const test$ = Observable.create((observer) => {
observer.next(1);
observer.next(2);
observer.complete();
});

test$.pipe(map((value) => value * 2)).subscribe((item) => console.log(item));

/*
2
4
*/

소스 옵져버블에서 발행된 값을 원하는대로 바꿀 수 있다.

연산자

of

args 순서대로 값을 반환한다.

from

  • Observable
  • Array
  • Promise
  • Iterable
  • String
  • ArrayLike

위 타입을 옵져버블로 변환해준다.

fromEvent

EventEmitter 클래스의 객체와 조합하거나 브라우저의 이벤트를 옵져버블로 바꿀 때 사용한다.

defer

팩토리 함수로 옵져버블을 생성한 후 구독한느 시점에 팩토리 함수를 호출해 이미 생성한 옵져버블을 리턴받아 구독한다.

from 과의 차이는 다름과 같다.

  • from
    • 프로미스 내부 구현부가 언제 실행되던지 상관 없을 때
    • 이미 실행 중이거나 완료한 프로미스를 옵져버블로 만들 때
  • defer
    • 옵져버블을 구독하는 시점에 프로미스를 생성해 구현부가 실행되어야할 때
    • 프로미스 객체 생성 시점이 구독하는 시점이여야할 때

range

범위 지정 후 그 값을 순서대로 발행한다. 반복문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interval

ms 단위로 값을 발행한다.

timer

파라미터가 하나일 경우 ms 이후에 한 번 값을 발행하고, 두 개일 경우 ms 이후에 두번 째 파라미터만큼 주기적으로 값을 발행한다.

empty

값 발행 후 중간에 멈춰야하는 상황에 사용한다. 이 함수만 사용하지는 않고 다른 함수나 연산자와 조합해서 complete 함수를 호출해야 할 때 사용된다. 즉, 바로 구독을 완료해야될때 사용된다.

// 상수로 사용된다.
const { EMPTY } = require("rxjs");

never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옵져버블 생성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 상수로 사용된다.
const { NEVER } = require("rxjs");

throwError

옵져버블로 값을 발행하다가 에러를 발생시키고 종료해야하는 상황에 사용한다.

filter

주로 파이퍼블 연산자와 연결해서 사용된다.

const { filter } = require("rxjs/operators");
// 1~10 중 짝수 필터
range(1, 10)
.pipe(filter((x) => x % 2 === 0))
.subscribe((x) => console.log(x));

first

처음으로 일치하는 값을 발행한다. 두 번째 인자로 기본 값을 줄 수 있다.

last

마지막으로 일치하는 값을 발행한다. 두 번째 인자로 기본 값을 줄 수 있다.

take

정해진 갯수만큼 구독하고 구독을 해제한다. interval 과 같이 무한 반복이 실행되는 연산자와 같이 쓰면 된다.

const { take } = require("rxjs/operators");

interval(1000)
.pipe(take(3))
.subscribe((x) => console.log(x));

/*
0
1
2
*/

takeUntil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까지 옵져버블을 구독해야할 때 사용한다. 예시로 보는 게 빠르다.

interval(1000)
.pipe(
take(100),
takeUntil(fromEvent(document.querySelector("#btn"), "click")),
)
.subscribe((x) => console.log(x));

takeWhile

take 와 filter 가 합쳐진 연산자이다.

interval(1000)
.pipe(takeWhile((x) => x <= 10))
.subscribe((x) => console.log(x));

takeLast

Last 의 파라미터 수 만큼 저장해뒀다가 구독 완료시에 일괄적으로 발행한다. 발행하는 값이 [0, 2, 4, 6, 8, 10] 일 때 takeLast(3) 일 경우 내부에 저장된 값은 다음과 같다.

발행값내부배열
0[0]
2[0, 2]
4[0, 2, 4]
6[6, 2, 4]
8[6, 8, 4]
10[6, 8, 10]

skip

이름 그대로 n 개만큼의 발행을 건너 뛴다.

skipUntil

takeUntil 과의 반대로 옵져버블이 실행될 때까지 건너 뛴다.

const time = 1000;
interval(time)
.pipe(skipUntil(interval(time * 5)), take(2))
.subscribe((x) => console.log(x));

/*
4
5
*/

skipWhile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순간부터 값을 발행한다.

debounce

많이 사용하진 않지만, 디바운스할 옵져버블을 계산값을 리턴해주는 함수를 파라미터로 주면 된다.

debounceTime

로대쉬나 다른 라이브러리의 debounce 와 같다.

distinct

중복은 제거하고 발행한다. 값 비교에는 === 연산자가 사용된다.

of({ id: 1 }, { id: 1 }, { id: 2 }, { id: 3 })
.pipe(
distinct((data) => data.id),
map((data) => data.id),
)
.subscribe((x) => console.log(x));

/**
1
2
3
*/

두번째 파라미터로 flush 조건을 옵져버블로 넘겨 중복 조건을 초기화시킬 수 있다.

distinctUntilChanged

중복값이 연속으로 발행된 경우만 제거한다.

of(1, 2, 3, 3, 4, 1)
.pipe(distinctUntilChanged())
.subcribe((x) => console.log(x));

/**
1
2
3
4
1
*/

첫번째 파라미터로는 비교함수 (prev, next 를 파라미터로 받는)를 넣어 연속 비교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두번째 파라미터로는 비교할 값 셀렉터를 변경해줄 수 있다.

of(
{ a: 1, b: 10 },
{ a: 1, b: 10 },
{ a: 2, b: 20 },
{ a: 3, b: 30 },
{ a: 3, b: 30 },
{ a: 2, b: 20 },
)
.pipe(distinctUntilChanged(null, (data) => data.a))
.subscribe((x) => console.log(x));

sample

이건 마블 다이어그램으로 이해하는 게 빠르다.

sample

notifier 옵져버블(x 옵져버블)이 발행되면 이전 최근 값을 발행한다. 값 c 처럼 소스 옵져버블에 새로운 값이 없을 경우 값을 중복으로 발행하지 않는다.

sampleTime

일정 간격 사이에 있는 최근 값을 발행한다.

pluck

기본 map 연산자는 뻔하기에 적지 않았다. map 처럼 동작하지만 소스 옵져버블에서 객체를 리턴할 때 객체의 property 를 뽑아낸다.

mergeMap

switchMap

concatMap

scan

partition

groupBy

buffer

bufferCount

window

windowCount

여담

  • RxJS 의 장점은 이벤트 구독을 취소하고, 모든 이벤트를 하나의 스트림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 이해하는데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었지만, 웹에선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될 것 같다.
    • SPA
    • 에디터와 같이 많은 컴포넌트끼리 통신이 필요할 때
  • 이 상황에서도 앵귤러가 아닌 스토어 기반의 리액트, 뷰를 사용한다면 RxJS를 쓸거야 라고 보여주기 위해 사용하는 느낌이 든다.
  • 모두가 같이 가기엔 꽤 어려운 개념이다.
  • 싱글 스레드 기반의 백엔드에서 더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듯
  • learn-rxjs의 예제를 분석하는 게 더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