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P, 재해복구 계획
· 6 min read
DRP 개념
- 재해나 재난 발생 시 정보 시스템과 중요 업무 기능의 신속한 복구를 목표로 하는 계획으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시스템 다운타임을 최소화
- 비지니스 연속성 유지, 데이터 보호, 법적 요구사항 준수, 재정 손실 최소화
DRP 개념도, 핵심요소, 재해복구센터 구성방안
DRP 개념도
DRP 핵심요소
구분 | 내용 | 비고 |
---|---|---|
업무영향 분석 | 재해가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프로세스 | 복구 우선순위 및 목표 설정 포함 |
운영 방안 | 조직체계, 평상시 운영 절차, 재해 시 운영 절차, 모의 훈련 절차 포함 | 자원 관리 표준 및 절차 포함 |
백업 방안 | 데이터 및 시스템 백업 방안 수립 | Hot Standby, DB Shadowing, 원격 백업 등 |
재해복구 센터 | 백업센터 운영 형태 및 기술 형태 결정 | 백업센터 위치 및 운영 방식 고려 |
재해복구센터 구성방안
구분 | 내용 | 비고 |
---|---|---|
백업센터 유형 결정 | 자체센터, 외부위탁, 공동이용, 상호이용 등 백업센터 유형 결정 | 구축 비용, 운영 효율성, 복구 목표 시간 고려 |
데이터 백업 방식 | 데이터 백업 방식 및 범위 결정 | HW 솔루션 또는 SW 백업 방식 선택 |
통신 회선 및 시설 | 통신 회선 사용료, 시설 유지비 등 고려 | HW 도입 및 유지 비용 포함 |
비용 산정 | 구축 시 소요 비용 비교 | 유형별 비용 산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