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전환사업의 단계별 감리
· 5 min read
클라우드 전환사업 단계별 감리 개념
- 기관이 구축/운영 중인 정보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변경 없이 인프라 자원을 대상으로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사업에 대한 감리를 수행하여 적정성을 평가
클라우드 전환사업 단계별 감리 개념도, 단계별 감리 방법, 클라우드 전환사업 검토항목
클라우드 전환사업 단계별 감리 개념도
클라우드 전환사업 단계별 감리 방법
클라우드 전환 사업 계획 수립/신청
단계 | 활동 | 세부 내용 |
---|---|---|
전환 계획 수립 및 준비 | 전환 타당성 검토 | 클라우드 기반 전환 가능성에 대한 검토 적절성 확인 |
요구사항 및 영향도 분석 | 전환 따른 이해관계자 요구사항, OS 지원 영향도 확인 | |
자원 구성, 사용량 확정 | 성능 안정성 확보 위한 자원 점검 및 사용권 확인 | |
구축 및 테스트 계획 수립 | 전환에 따른 업무 중단 최소화, 안정성 유지 방안 구축 및 테스트 계획 | |
전환 실행 | nTOPS 계정 산정 | nTOPS 통합 계정 및 전환 산정 적절성 확인 |
원격접근, 방화벽 방안 산정 | 환경 특성 따른 경로 확인, 방화벽 신청 적절성 검토 |
클라우드 전환 사업 실행/서비스 안정화
단계 | 활동 | 세부 내용 |
---|---|---|
클라우드 전환 | APP 수정 개발 | IP 변경, 트래픽 분배 등으로 인한 APP 수정 요구 적정성 확인, 테스트 수행 |
APP 원상 복구 설계 | WAS, DB 서버 SW 이관과정의 정상 작동 확인, 연계 SW 영향도 분석 | |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환경 구축 | 클라우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 설정 확인 | |
보안 취약점 점검 | HW, APP 등 지원 위험요인 파악, 취약점 분석 및 대응방안 마련 | |
데이터 이관 | 데이터 이관 계획 수립 및 데이터 무결성 검증 확인 | |
통합 테스트 수행 | 사용자 환경에서 시나리오 기반 통합 테스트 수행 및 작업 결과 확인 | |
서비스 안정화 | 서비스 전환 및 안정화 | 안정적 전환을 위한 APP 및 사용 SW 내 예외 기술 지원 여부, 적정 운영 검토 |
클라우드 전환사업 검토항목
부문 | 점검항목 | 세부 내용 |
---|---|---|
전환 적정성 평가 | 클라우드 전환 가능성 | 정보시스템 특성과 클라우드 환경 간 적합성 검토 |
상용 SW를 공개 SW로 전환 가능 여부 | 현재 상용 SW의 오픈소스 전환 가능성 평가 | |
업무단위 이관 가능 여부 | 업무시스템별 클라우드 전환 가능성 검토 | |
인프라/시스템 분석 | 장비 사용연한 만료 여부 | 장비교체주기 고려한 전환 필요성 검토 |
SW 기술지원 만료여부 | SW기술지원 만료상태 확인 | |
시스템용랴안정 | CPU, 메모리, 디스크용량 등 시스템자원 산정 | |
시스템 구성 | 클라우드 전환을 위한 시스템 구성요소 결정 | |
NW 및 보안 영향성 | 고립망, DR 활용 여부 | 재해복구(DR) 또는 고립망 구성 필요성 검토 |
인터넷과 행정서비스 간 데이터 연동 필요여부 | 내외부간 데이터 동기화 등 데이터 연동 필요성 검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