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의 알고리즘 개념
- 네트워크 내 노드들이 신뢰 기반으로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합의에 도달하는 방식
- PoW(Proof of Work), PoS(Proof of Stake) 방식의 높은 에너지 소비, 확장성 문제, 속도 저하 / 확장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도 탈중앙성을 유지 / 대중화와 다양한 산업 응용
합의 알고리즘 개념도, 차세대 합의 알고리즘 특징, 주요사례
합의 알고리즘 개념도
차세대 합의 알고리즘 특징
구분 | 내용 | 비고 |
---|
에너지 효율성 | PoS, DPoS 등을 활용하여 기존 PoW 대비 전력 소비 절감 | 저전력 합의 방식, 이더리움 |
확장성 강화 | 네트워크 처리량 증가를 목표로 설계되어 대규모 트랜잭션을 지원 | 샤딩, DAG, 질리카 |
탈중앙성 유지 | 중앙 집중화 문제를 해결하고, 네트워크 내에서 신뢰를 유지 | Pure PoS, 알고랜드 |
하이브리드 설계 | 여러 합의 알고리즘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 | PoS, PBFT, 텐더민트 |
차세대 합의 알고리즘 주요사례
알고리즘 | 특징 | 사례 |
---|
Proof of History (PoH) | 시간 기반 트랜잭션 순서 기록 | 솔라나, 65,000 TPS 지원 |
Directed Acyclic Graph (DAG) | 블록 대신 그래프 구조 활용 | 아이오타, IoT 최적화 |
Proof of Authority (PoA) | 신뢰할 수 있는 검증자 선정 | 비체인, 비즈니스 친화적 블록체인 |
Hybrid PoW/PoS | PoW + PoS 결합으로 보안과 효율성 동시 제공 | 디크레드, 보안성과 탈중앙성 유지 |
차세대 합의 알고리즘 발전방향
도전 과제 | 문제점 | 해결 방안 |
---|
복잡성 증가 | 새로운 합의 알고리즘 설계와 구현이 복잡 |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및 개발자 도구 제공 |
보안 강화 필요 | 새로운 알고리즘에서 보안 취약점 발생 가능 | 지속적인 보안 테스트 및 업그레이드 |
산업 표준화 부족 | 알고리즘 간 표준화 부족으로 상호 운용성 저하 | 국제 표준화 기구(ISO)의 블록체인 표준 참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