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네트워크
· 51 min read
컴퓨터 통신망
단말기와 단말기 사이를 전송매체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행위
컴퓨터 통신망의 역사
- 1958 - SAGE: 최초의 컴퓨터 통신 시스템, 대공방어장치
- 1961 - TSS: 최초의 시분할 통신시스템, Time Sharing System
- 1968 - ARPA: 최초의 패킷 교환방식
- 1968 - ALOHA: 하와이 대학 최초의 무선 패킷 교환 통신망
- 1974 - SNA: 체계화된 컴퓨터 통신망, System Network Architecture
컴퓨터 통신망의 목적
- 자원의 공유와 신뢰도 향상
- 처리 기능의 부산과 프로세스 간 통신제공
- 시스템 간 호환성 확대
-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성능 제공
통신망의 목적 자원의 공유와 신뢰도 향상 및 처리기능의 분산과 프로세스 간의 통신 제공
컴퓨터 통신망의 서비스
- 데이터
- 음성
- 이미지
- 영상
-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 시스템
- 데이터 처리계: 컴퓨터
- 데이터 전송계: 단말, 데이터 전송장치, 통신제어장치 등
데이터 단말장치
- DTE: Data Terminal Equipment
- 전송할 데이터를 부호로 변환하거나 처리하는 장치
- 컴퓨터, 프린터, 터미널
데이터 단말장치 기능
- 입출력 기능
- 데이터 수집과 저장
- 데이터 처리
- 통신, 통신제어
데이터 회선종단장치
- DCE: Data Circuit terminating Equipment
- 신호변환장치
- DTE에서 처리된 신호를 변환하거나 통신회선상에 놓여 있는 신호를 변환하는 장치
- 모뎀, 랜 어댑터, DSU 등이 해당
데이터 회선종단장치 기능
- 신호변환
- 전송신호의 동기제어
- 송수신 확인 기능
- 전송오류검출 및 정정 기능
통신 소프트웨어
- 컴퓨터 상호 간에 접속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
- 특정 분야에 대해 망의 접근을 가능케 하는 소프트웨어
- 메세지 핸들링 시스템
상호접속 소프트웨어
- 망내의 각 지점을 서로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기능하는 소프트웨어
- 프로토콜
- X.25, TCP/IP
컴퓨터 통신망 프로토콜
- 특정 단말기 사이의 상호통신을 위한 규약
프로토콜 3요소
- 문법: syntax
- 타이밍
- 의미: semantic
프로토콜 주요 기능
- 흐름제어
- 오류제어
- 순서화 전달
- 주소지정
- 다중화
- 전송
- 분할과 병합
- 캡슐화
- 연결
계층
물리 계층
- 회선구성, 데이터 전송방식, 접속형태, 물리적인 링크 설정 유지 해제 의 기능
- V.24, V.28(RS-232C)
- X.21, X.21bis
- I.430, I.431 ISDN
데이터링크 계층
- 노드 대 노드 전달, 주소 지정, 전송되는 데이터 동기 확인, 흐름제어, 오류 제어
- HDLC
- LAN의 LCC, MAC
- LAPB
네트워크 계층
- 발신지 대 목적지 전달, 논리주소 지정, 주소 변환, 논리적 링크 구성, 라우팅, 다중화
- IP
- ICMP, ARP, RARP
전송 계층
- 데이터 전송 종단 간의 신뢰성 제어, 포트 주소 지정, 분할과 병합, 연결제어
- TCP, UD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