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pe/project-management" 태그로 연결된 15개 게시물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기술사 프로젝트관리 토픽

모든 태그 보기

위험분석

· 약 3분

위험분석 개념

  • 정성적 위험 분석
    • 전문가 판단
    • 위험 영향 분석
    • 위험 범주 분류
  • 정량적 위험 분석
    • 의사결정나무 분석
    • 금전적 기대값 분석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위험분석 유형

의사결정나무 분석

구분내용
개념도의사결정나무분석
개념의사결정규칙을 도표화하여 관심 대상 집단을 소집단 분류 후 분석하는 기법
특징수입규모와 신용기록의 좋고 나쁨에 따른 위험도 분석

금전적 기대값 분석

구분내용
개념도금전적기대값분석
개념발생가능 시나리오 따른 미래가치를 통계적 계산하여 기대가치가 더 높은 시나리오를 선택하는 기법
특징의사결정나무 기반 발생확률과 영향력을 모두 고려하여 분석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분석

구분내용
개념도몬테카를로시뮬레이션분석
개념해를 구하기 어려운 문제를 확률모형과 난수를 이용하여 해를 얻는 시뮬레이션 방법
특징난수생성 후 패턴을 도출하여 목표함수의 확률변수들의 확률분포를 추정

지능정보기술감리 실무가이드

· 약 3분

지능정보기술감리 실무가이드 개념

  •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분석하는 정보화 사업에 대한 감리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산 사업의 단계별 감리 점검항목을 제시하기 위한 실무지침
  • 데이터 품질, 서비스연계점, 운영안정성 확보, 리스크 최소화, 정보시스템 신뢰성 증대

지능정보기술감리 실무가이드 개념도

지능정보기술감리

빅데이터 정보화사업 점검항목

분석 및 설계 단계 점검항목

구분점검항목내용
분석빅데이터 서비스 요구사항 정의여부상버목표 및 추진전략 검토
분석목표 달성을 위한 데이터 항목 정의상관관계 정의, 품질수준 설정
요구사항 정의 과정에서 데이터 품질요소 검토데이터 활용 적합성
설계데이터 수집/정제 체계의 적정 설계여부데이터 오류처리, 정제 기준
데이터 저장체계 및 보유기관 간 연계 설계데이터 이관절차, 주기적 수집 확인
데이터 표준화 및 관리체계 설계여부데이터 속성정의, 표준항목 관리

구축 및 운영 단계 점검항목

구분점검항목내용
구축데이터 생애주기 관리체계 확인생성-소멸 전 과정 감리
데이터가 설계된 대로 수집/변환되는지 점검데이터 품질/변환 절차 확인
시스템 구성요소 검증HW, SW 구성요소 설계 및 복구 계획
운영데이터 품질, 보안, 서비스 운영 관리체게 검토데이터 거버넌스 수립 여부
로그저장 및 분석 체계 확인데이터 활용패턴, 사용자 만족도 분석

운영단계 대가산정

· 약 5분

운영단계 대가산정 개념

  • SW진흥법 제 10조 의거, SW수명주기 중 운영단계 사업 및 서비스의 적정대가를 산정하기 위한 지침

운영단계 대가산정 방식

응용SW요율제 유지관리비 산정방식

구분내용산출물
1 사전준비유지관리 대상 SW 식별유지관리 대상 SW
2 유지관리대상 SW 개발비 재산정유지관리 대상 SW 개발비를 유지관리 계약적정 FP와 단가로 재산정SW개발비 (현재가치)
3 유지관리 총량 계산유지관리횟수, 시스템사용자수, 시스템중요도, 연계, 오류복구신속성 따른 난이도 계산 후 반영총 유지관리점수 (TMP)
4 유지관리 운용예산총 건수, 미충 요율 계산유지관리 요율
요율 = 10 + 5TMP/100
5 직접경비 계산유지관리실제소요 경비산정직접 경비
6 SW 유지관리비 산정SW유지관리비 산정SW 유지관리비
SW개발비 * 유지관리요율 + 직접경비

SW운영 투입공수 산정방식

구분내용산출물
1 사전준비운영 대상 SW 식별, 세부 운영 서비스 항목 정의운영 대상 SW 및 서비스 항목
2 운영 공수 계산SW 운영 업무 특성 고려, 필요 직무, 직무별 투입인력, 기간 결정IT 직무별 투입공수
3 직접 인건비 계산운영 업무 수행 인력의 직접 인건비 계산직접인건비
직접 인건비 = 투입인력 기술자 직무공수 * SW기술자 평균임금
4 제경비 및 기술료 계산운영업무 수행 인력의 제경비와 기술료 계산제경비, 기술료
제경비 = 작업 인건비 × 144154% / 기술료 = (직접 인건비 + 제경비) × 2040%
5 직접 경비 계산당해 업무 내 현재 요소로 직접 경비 산정직접 경비
6 SW 운영비 산정SW 운영비 산정SW운영비
직접인건비 + 제경비 + 기술료 + 직접 경비

고정비, 변동비 산정방식

구분내용산출물
1 사전준비유지관리 및 운영대상 SW 식별유지관리 및 운영대상 SW
대상 SW별 유지관리/운영업무 식별
2 고정비/변동비 업무 구분대상 업무 중 완전유지관리 기능개선 해당업무(변동비) 구분고정비/변동비 업무분류표
대상 업무 중 비기능 개선업무(고정비) 구분
3 고정비/변동비 산정SW재개발비 산정방식으로 변동비 산정고정비 산정표
투입공수 방식 운영비 산정방식 적용 고정비 산정변동비 산정표
4 직접경비계산당해업무 실제소요경비 산정직접경비
5 SW유지관리/운영비 산정SW유지관리/운영비 산정SW 유지관리 및 운영비
고정비 + 변동비 + 직접경비

클라우드 전환사업의 단계별 감리

· 약 5분

클라우드 전환사업 단계별 감리 개념

  • 기관이 구축/운영 중인 정보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변경 없이 인프라 자원을 대상으로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사업에 대한 감리를 수행하여 적정성을 평가

클라우드 전환사업 단계별 감리 개념도, 단계별 감리 방법, 클라우드 전환사업 검토항목

클라우드 전환사업 단계별 감리 개념도

클라우드 감리

클라우드 전환사업 단계별 감리 방법

클라우드 전환 사업 계획 수립/신청

단계활동세부 내용
전환 계획 수립 및 준비전환 타당성 검토클라우드 기반 전환 가능성에 대한 검토 적절성 확인
요구사항 및 영향도 분석전환 따른 이해관계자 요구사항, OS 지원 영향도 확인
자원 구성, 사용량 확정성능 안정성 확보 위한 자원 점검 및 사용권 확인
구축 및 테스트 계획 수립전환에 따른 업무 중단 최소화, 안정성 유지 방안 구축 및 테스트 계획
전환 실행nTOPS 계정 산정nTOPS 통합 계정 및 전환 산정 적절성 확인
원격접근, 방화벽 방안 산정환경 특성 따른 경로 확인, 방화벽 신청 적절성 검토

클라우드 전환 사업 실행/서비스 안정화

단계활동세부 내용
클라우드 전환APP 수정 개발IP 변경, 트래픽 분배 등으로 인한 APP 수정 요구 적정성 확인, 테스트 수행
APP 원상 복구 설계WAS, DB 서버 SW 이관과정의 정상 작동 확인, 연계 SW 영향도 분석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환경 구축클라우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 설정 확인
보안 취약점 점검HW, APP 등 지원 위험요인 파악, 취약점 분석 및 대응방안 마련
데이터 이관데이터 이관 계획 수립 및 데이터 무결성 검증 확인
통합 테스트 수행사용자 환경에서 시나리오 기반 통합 테스트 수행 및 작업 결과 확인
서비스 안정화서비스 전환 및 안정화안정적 전환을 위한 APP 및 사용 SW 내 예외 기술 지원 여부, 적정 운영 검토

클라우드 전환사업 검토항목

부문점검항목세부 내용
전환 적정성 평가클라우드 전환 가능성정보시스템 특성과 클라우드 환경 간 적합성 검토
상용 SW를 공개 SW로 전환 가능 여부현재 상용 SW의 오픈소스 전환 가능성 평가
업무단위 이관 가능 여부업무시스템별 클라우드 전환 가능성 검토
인프라/시스템 분석장비 사용연한 만료 여부장비교체주기 고려한 전환 필요성 검토
SW 기술지원 만료여부SW기술지원 만료상태 확인
시스템용랴안정CPU, 메모리, 디스크용량 등 시스템자원 산정
시스템 구성클라우드 전환을 위한 시스템 구성요소 결정
NW 및 보안 영향성고립망, DR 활용 여부재해복구(DR) 또는 고립망 구성 필요성 검토
인터넷과 행정서비스 간 데이터 연동 필요여부내외부간 데이터 동기화 등 데이터 연동 필요성 검토

터크만 사다리 모델

· 약 3분

터크만 사다리 모델의 개념

  • 프로젝트 수행 시 팀 개발 과정을 Forming, Storming, Norming, Performing, Adjourning의 5단계로 표현한 모델
  • 조직이 성장하고 도전에 대응하고 문제의식을 갖고 해결책을 찾으며 작업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만들기 위하여 필요한 팀 개발 방법론

터크만 사다리 모델의 구성도, 특징, 적용방안

터크만 사다리 모델의 구성도

tuckman

  • 세부 단계별 프로젝트 팀의 관심과 리더십, 필요 활동 상이

터크만 사다리 모델의 단계별 특징

형혼규성해

단계주요 관심리더십필요 활동
형성기상호 인식지시형팀 방향 설정
혼돈기갈등 처리지도형계획, 역할 명료화
규범기협력 관계 구축참여형업무, 역할 몰입
성취기생산성 증대위임형수행 관리, 평가
해산기과업종료지시형Lesson Learned

Performing 단계 진입 촉진을 위한 적용방안

기법설명비고
Ground Rule팀 내 규범을 설정하여 성과를 저해하는 요소를 사전에 제거팀워크, 협업촉진
RACI각 구성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정의업무 소통 효율화, 책임 소재 명확화
1-on-1리더와 팀원이 정기적으로 1:1 미팅을 통해 개인 성과 및 문제를 논의개인성장촉진,의사소통강화
OKR목표와 주요 결과를 설정하여 팀과 개인의 방향성을 명확화성과측정, 조직비전일치

감리원 직접 테스트, 현장감리

· 약 4분

현장감리의 개념

  • 정보시스템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업의 수행과정과 결과물을 검토하는 활동
  • 시스템 초기 요구사항을 정확히 반영했는지 품질보증하기 위해 필요

현장감리 절차, 감리원 직접 테스트, 문제점

현장감리 절차

감리원 직접 테스트 방법

구분내용비고
기능테스트시스템과 각 기능이 요구사항에 맞게 동작하는지 확인테스트 시나리오 사용
비기능테스트시스템 성능, 보안 등 비기능적 요구사항 충족 확인성능시험결과서, 보안점검보고서 확인
문서 검토개발 산출물이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검토설계산출물, 표준 준수여부 검토
인터뷰개발자, 사용자 인터뷰 통한 요구사항 반영 확인인터뷰 결과서, 회의록 확인

감리원 직접 테스트의 문제점

문제점내용대응방안
SW 높은 복잡도소스코드 복잡성순환복잡도 분석
도메인 및 기술 특화 기능코드 리뷰 및 문서화 강화
잦은 요구 변경조기과업 대비 변경점 발생요구사항 관리 프로세스 개선
테스트 중 기능 변경세트기반 설계(Set-based Design) 도입
납기일정 부족감리원 대비 부족한 테스트 일정납기 연장 시 현실적인 일정 확보
개발 지연 시 테스트 일정 축소생산성 향상을 위한 자동화 도구 도입

검토 및 확인 방법, 제 3자 검증 점검 방법

구분검토 및 확인제 3자 검증
개념사업자가 제출한 근거와 대비표에 대한 문서적 검토와 질문을 통한 확인대표 과업항목 선정 후 직접 테스트하거나 사업자가 테스트한 수행 방식 및 결과물 관찰
세부방안문서검토, 질문재수행, 관찰

현장감리 성공 포인트

  • 과업대비표 주기적 업데이트
  • 전문 감리원 보충
  • 감리수행가이드 변경 추진

감리시점과 감리영역

· 약 3분

감리점검 프레임워크의 개념

  • 감리점검체계를 논리적이고 구조적인 형태로 개선하기 위해 감리시행에 대한 논리적인 흐름을 나타낸 점검모델
  • 감리 수행에 기준을 제공하여 성공적인 감리 수행과 이행 지원

감리점검 프레임워크 개념도, 감리시점, 감리영역

감리점검 프레임워크 개념도

        사업유형 / 감리시점
+--------------------------------+
/ /|
/ 감리점검 프레임워크 / |
+--------------------------------+ |
감리 | | |
영역 | | +
| | / 감리관점 / 점검기준
| |/
+--------------------------------+

감리시점, 감리영역

구분감리시점감리영역
EA 구축기반 정립, 현행아키텍처 수립, 목표아키텍처 구축, 이행계획 수립기반 정립, 현행아키텍처, 목표아키텍처 구축, 관리체계
ISP 수립현황 분석, 전략 수집, 개선 모델 및 실행 계획 수립업무, 기술, 정보화계획, 품질 보증 활등
시스템 개발요구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전개시스템아키텍처, 응용시스템, DB, 테스트활동, 운영준비
DB 구축준비, 구축데이터 수집 및 시범 구축, 데이터 구축, 품질 검사
시스템 운영운영서비스 제공, 지원
유지보수유지보수유지보수 이행
  • 감리시점 전반에서 사업관리 수행

감리 점검시 고려사항

  • 감리 과정에서 시스템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등 정보보안요소 점검 후 취약점 개선방안 제시 필요

EVM, 획득 가치 관리

· 약 3분

EVM 개념

  • 프로젝트의 범위, 일정, 자원 측정치를 모두 결합하여 프로젝트 성과 및 진척률을 평가하는 방법론
  • 객관적인 성과 측정, 조기 문제 발견, 예측 비용, 일정 관리

EVM 구성도, 구성요소, 예시

EVM 구성도

EVM 구성요소

구분요소설명
측정요소PV 계획가치현재시점까지 계획된 예상 비용
EV 획득가치현재까지 완료된 성과에 대한 비용
AC 실제 원가현재 완료된 작업의 지출 원가
BAC 완료시점예산전체 프로젝트 할당 예산
분석요소SV 일정차이EV-PV 계획대비 일정 편차
CV 원가차이EV-AC 예산 초과 분석
SPI 일정성과지수EV/PV 일정 대비 진척도 분석
CPI 원가성과지수EV/AC 투입 원가 지출 효율 분석
예측요소ETC 잔여분 산정치BAC-EV 완료하기 위한 예상 비용
EAC 완료 예측 비용AC+ETC 완료 예측 비용 추정치
VAC 완료 추가 원가BAC-EAC 완료시 추가 발생 비용

EVM 예시

PV 600만, EV 500만, AC 450만

구분요소예시
측정요소PV600만
EV500만
AC450만
분석요소SV-100만 EV-PV
CV50만 EV-AC
SPI0.83 EV/PV
CPI1.11 EV/AC
  • 일정 0.83으로 지연, 비용 1.11로 절감

EVM 위험 대응방안

구분방안
회피계획 변경, 연장
전가위험과 책임을 제 3자로 전가
감수위험을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낮춤
수용위험을 허용 범위 내에서 수용

FP, 기능 점수

· 약 4분

기능점수 개념

  • 논리적 설계를 기초로 SW기능을 정량화하고 계수적 측정을 통한 실험적 관계를 통해 개발 규모를 산정하는 방법
  • 사용자의 요구사항으로부터 SW비용 산정 가능, ISO 14143 활용

기능점수 측정 절차, 계산 요소, 기법

기능점수 측정 절차

기능점수 계산 요소

구분내용예시
EI등록, 수정, 삭제되는 기능 입력사용자 정보 CUD
EO통계, 출력되는 기능 입력방문자 통계, 합계
EQ조회 기능 입력사용자 조회
ILF테이블 정보 입력회원 정보
EIF타 시스템 연계 테이블 정보 입력지하철 노선 정보

기능점수 간이법, 정통법 비교

구분간이법정통법
측정항목데이터 기능, 트랜잭션 수데이터 필드 수, 연계 테이블, 트랜잭션 수
복잡도평균 복잡도기능별 복잡도
장점SW규모 측정 간소화, 신속한 규모 측정정확한 규모 측정, 경험DB 축적, 재사용
단점제한적 데이터 재활용, 상대적 낮은 정확도사업 초기 적용 어려움, 러닝 커브
적용시기개발 요건 정의시 모든 단계에서 적용 가능개발 요건 및 요건별 상세설계 제공 이후
  • 개발 초기 제안, 개발 단계에서 간이법을 개발 완료 후 비용 정산시 정통법 주로 사용

기능점수 고려사항

  • 기능점수 산출이 어려운 자율 주행 등 융합IT 영역에서의 대책 또는 가이드 수립 필요

WBS, 작업 분류 체계

· 약 3분

WBS 개념

  • 프로젝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작업을 관리 가능한 단위로 세분화한 분류 체계
  • 프로젝트 범위 명확화, 체계적인 작업관리, 진행 상황 및 성과 측정, 책임 소재 명확화

WBS 개념도, 작성 원칙, 작성 이점

WBS 개념도

wbs

WBS 작성 원칙

원칙내용비고
100% 원칙모든 세부작업의 합이 전체 범위를 100% 포함누락, 중복 방지
상호배타성각 작업은 명확히 구분되어야하고 고유해야함중복으로 인한 혼란 방지
결과지향성작업 수행 방법이 아닌 결과에 초점 필요객관적 완료 판단 기준

WBS 작성 이점

구분이점설명
프로젝트 관리일원화비용, 일정, 품질 등의 관리를 위한 공통 기반을 제공
진척도 관리전체 프로젝트 진행에 대한 진척률 관리 용이
우선순위 관리계층 구조화 된 세부 단위 업무에 대한 우선순위 설정
일정수립근거세부 업무의 선후 관계 파악 등 일정 수립 용이
예산 관리각 작업 별 예산 설정 및 전체 예산 관리 용이
의사소통이해관계자 소통이해관계자들 간에 프로젝트 진도 및 성과에 관련된 정보 교환
현황 공유팀 구성원 간의 지속적인 업무 현황 및 일정 공유
프로세스생산성조직 생산성 향상
R&R모든 팀원에게 명확하게 작업을 설명하고 할당
위험 관리위험 관리를 통한 문제 예방

일정지연 관리 대책

구분개념도내용
공정 압축공정압축범위 변경없이 자원을 Critical Path상 활동에 추가하여 단축
공정 중첩공정중첩작업 간 관계를 조정하여 병행추진함으로써 단축

WBS 작성시 고려사항

  • 프로젝트 범위 명확화
  • 유연성 확보
  • 표준 용어의 정의
  •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