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professional-engineer" 태그로 연결된 295개 게시물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기술사 관련 포스트

모든 태그 보기

HDLC 프로토콜

· 약 3분

HDLC 프로토콜 개념

  • 일대일, 일대다 연결 환경에서 비트프레임 구조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링크 계층 ISO13239 표준 프로토콜
  • 비트지향 프로토콜, 동기식 전송, 다양한 토폴로지 지원, 오류제어, 흐름제어, 모드 지원

HDLC 프레임 구조, 동작 모드

HDLC 프레임 구조

필드길이설명
Flag8프레임 시작, 종료 표시, 011111102
Address8일대다 주국, 종국 주소, 일대일 명령, 응답 구분
Control8프레임 종류, 제어 정보, 송수신 순서번호
Data가변L3 계층이 송신한 패킷 데이터
FCS16오류제어, CRC-16 기반 오류 검출 코드

HDLC 프레임 동작 모드

NRM (Normal Response Mode)

정규응답모드

  • 주국/종국 구분 동작
  • 종국은 주국의 폴링 요청에만 응답
  • 종국은 프레임 전송 후 다시 허가 대기

ARM (Asynchronous Response Mode)

비동기응답모드

  • 종국은 주국 승인 없이 비동기적 응답 가능
  • 종국의 모든 전송은 주국으로 전송되어 최종 목적지로 중계
  • 실제로 거의 사용되지 않음

ABM (Asynchronous Balanced Mode)

비동기균형모드

  • 복합국은 동등한 권한을 가짐
  • 양쪽에서 명령/응답 전송 가능
  • 폴링 오버헤드가 없어 P2P 환경에서 가장 많이 사용

HDLC, 이더넷 비교

구분HDLC이더넷
네트워크 환경WAN 환경LAN 환경
데이터 구조비트 중심프레임 중심
송수신 형식동기식, 비동기 모드 지원비동기식
표준ISO 13239IEEE 802.3
주소체계Address 필드MAC 주소

네트워크 프로토콜

· 약 3분

네트워크 프로토콜 개념

  •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전송 규칙과 절차를 정의하여 효율적이고 신뢰서 있는 통신을 보장하는 규약

네트워크 프로토콜 구성도, 3가지 요소

프로토콜 구성도

  • 프로토콜을 정의한 RFC 문서에 따라 구문, 의미, 타이밍 등을 기반으로 송수신 장치간 네트워크 통신 수행

프로토콜 3가지 요소 상세

구분상세요소설명
구문포맷통신, 처리, 해석에 적합하도록 형식, 규격화된 표현
-부호화Row data와 부호 간의 대응 관계, 압축, 암호화 수행
-신호레벨물리적인 신호 크기, 감도, 주파수 크기
의미정보규격정의특정 패턴을 어떻게 해석하고 동작할지 결정
-오류제어의미 기반 통신 메세지 오류 제어
-동기제어송수신 장치 간 상태 일치 및 제어
타이밍속도통신 속도, 단위, Band Rate 등
-순서제어송수신 장치 간 메세지 순서 규정 및 제어

프로토콜 유형 및 기능

  • ISO7498 표준에 따른 응용계층, 전송계층, 네트워크계층, 물리계층 프로토콜로 구분

디지털 계위

· 약 5분

디지털 계위 개념 및 유형

디지털 계위 개념

  • 서로 다른 전송 속도의 디지털 신호를 계층적으로 다루는 전송 구조로, 통신망에서 데이터 전송 효율성과 확장성을 확보하기 위한 체계

디지털 계위 유형

구분유형특징
비동기PDH초기 디지털 전송 계위, 비트 인터리빙
동기SDHITU-T 표준, 바이트 인터리빙
-SONET미국 ANSI 표준, 광통신망 중심

PDH 개념 및 구성요소

PDH 개념

  • 각각의 디지털 다중화 장치들이 자체 발신기 클럭을 사용하여 DS-N 급 신호를 만들어가는 준동기식 다중화 전송 체계

PDH 구성요소

구분기술요소설명
네트워크지역별 이기종 전송 계열북미(T1, T3), 유럽(E1, E3) 등 지역별 상이한 전송 표준으로 상호 호환성 문제
-비트스터핑준동기 유지 위해 상위 계위 결합시 불필요 비트 삽입, 오버헤드 증가
계층계층적 다중화 구조하위 신호를 상위 신호로 단계적 다중화, 역다중화 과정 복잡

SDH 개념 및 구성요소

SDH 개념

  • 북미 표준 SONET을 확장한 동기식 디지털 다중화 신호 계위에 관한 ITU-T 국제 표준

SDH 구성요소

구분기술요소설명
네트워크Add-Drop Max신호의 삽입, 추출을 허용하여 타 전송신호 STM을 경로에 추가/제거하는 장비
-DXC전송신호를 교환, 분배하여 유연한 망 구성 지원
-STM-1/4/16SDH의 기본 전송단위로 여러 하위 신호를 다중화하여 포함 가능
계층Path종단 사이에서 데이터 서비스 전송
-Line물리 매체를 통하여 VL-4 등 페이로드 및 오버헤드 전송
-Section물리 계층 통해 STM-N 프레임 전송
-Physical광섬유 기반 전기신호 전송

SONET 개념 및 구성요소

SONET 개념

  • ANSI에서 제정한 북미표준 광 전송 동기식 디지털 계위

SONET 구성요소

구분기술요소설명
네트워크STS-1/3/12SONET의 기본전송단위, 완전 동기식 전송
-PTE상위 계층 사용자 페이로드를 SONET용으로 처리
-LTE망 구성요소 사이에서 PTE 계층 다중화, 동기화, 백업, 스위칭
-STE프레임 정렬, 오류 검출, 모니터링 담당
계층전송 계층경로, 라인, 섹션 계층화, 경로 관리, 흐름 제어
-물리 계층광섬유 기반 고속 데이터 전송 지원

디지털 계위 발전 방향

WiFi 7

· 약 3분

WiFi 7 개념

  • 46Gbps의 최대 전송률과 2.4, 5, 6GHz 무선 대역에서 초실감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IEEE 802.11be 표준 무선통신 기술

WiFi 7 구성도, 구성요소

WiFi 7 구성도

WiFi 7 구성요소

구분구성요소설명
MACMLO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동시 활용하여 지연 감소 및 처리량 증대
-Multi AP Coordination주변 AP와 데이터 공유를 통해 전파 간섭 최소화, 전체 네트워크 성능 및 커버리지 개선
-H-ARQFEC, BEC를 결합하여 오류제어 및 재전송
PHY혼합 빔포밍320MHz 광대역을 다수 협대역을 분할하여 프리코딩
-4096-QAM기존 대비 4배 많은 비트 전송, 20% 성능향상
-Preamble/Puncturing특정 서브 채널을 제외하거나 활용하여 채널 효율 개선, 간섭 최소화

WiFi 6, 7 비교

구분WiFi 6WiFi 7
표준IEEE 802.11axIEEE 802.11be
최대전송속도9.6Gbps46Gbps
최대대역폭160MHz320MHz
변조방식1024-QAM4096-QAM
MU-MIMO8x816x16
적용기술OFDMA, MU-MIMOMLO, H-ARQ, Multi AP
주파수2.4, 5, 6GHz (6E)2.4, 5, 6GHz
타겟 서비스고화질 스트리밍, 스마트홈, 대규모 밀접시설AR, VR, 8K 스트리밍, 초저지연 무선통신

ISO 26262

· 약 4분

ISO 26262 개념

  • 자동차에 탑재된 전기전자시스템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기능안전 국제 표준
  • 전기차, 자율주행, E2E AI 등 신기술 도입으로 SW 비준하는 전기전자 제어시스템의 안전성 확보 필요

ISO 26262 구성도, 구성요소

ISO 26262 구성요소

파트구성요소상세설명
Part1용어ISO26262 사용용어 및 약어 정의
Part2기능안전프로젝트 전반 안전성 관리 요구사항 정의
Part3구상단계위험분석(HARA) 및 안전 목표 설정
Part4시스템 레벨 제품 개발시스템 아키텍처 설계, 기술적 안전 요구사항, 테스트 요구사항
Part5HW레벨 제품 개발HW설계, 아키텍처 평가, 검증 요구사항 정의
Part6SW레벨 제품 개발SW안전 요구사항, ASPICE와 연계하여 SW개발 프로세스 관리
Part7생산 및 운영차량 생산, 운영 중 발생가능한 위험관리와 폐기 안전 절차
Part8지원 프로세스형상 관리, 변경 관리, 문서화 등의 지원 절차
Part9ASIL 및 안전 중심 분석ASIL 평가 방법론과 안전 구성요소 간 종속 조건 정의
Part10가이드라인표준 적용 시 참고할 수 있는 추가 가이드라인 제공
Part11반도체 산업 적용 가이드라인반도체 제조업체를 위한 세부 정보 제공
Part12모터사이클 적용 요구사항모터사이클에 특화된 기능 안전 요구사항

ASIL 평가 절차, ASIL 등급

ASIL 평가 절차도

ASIL 등급

등급내용비고
ASIL A상대적 낮은 위험, 기본 안전조치 필요경상
ASIL B중간 수준 위험, 추가적인 안전조치 필요중상
ASIL C높은 위험 수준, 엄격한 안전조치 필요사망
ASIL D매우 높은 위험 수준, 최고 수준의 안전조치 필요다수 사망

자율주행시대의 자동차 안전 고려사항

  • ISO 21448을 통하여 자율주행시 알려진, 알려지지 않은 시나리오를 평가하여 위험 감소
  • ISO 21434를 통하여 개발단계의 사이버보안에서부터 사고 대응, 복구, 모니터링 및 공급망 관리 절차 강화

SP인증, SW 프로세스 품질 인증

· 약 4분

SP인증 개념

  • SW 프로세스 품질 향상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SW 기업 및 개발 조직의 SW 프로세스 품질 역량 수준을 심사하여 등급을 부여하는 제도

SP 인증 개념도, 구성요소, 인증등급

SP 인증 개념도

SP 인증 구성요소

영역내용비고
프로젝트 관리프로젝트 계획 수립, 통제, 협력업체 관리계획 수립, 일정 관리, 리스크 관리
개발요구사항 관리,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기능 명세, 코드 품질, 단위 테스트
지원품질 보증, 형상 관리, 측정 및 분석형상 베이스라인, QA 프로세스, 데이터 분석
조직 관리조직 프로세스 관리, 구성원 교육프로세스 성숙도, 교육 이수, 인재 양성
프로세스 개선조직 성과 관리, 문제 해결, 프로세스 개선 관리성과 지표, 지속적 개선, 프로세스 성과

SP 인증등급

등급영역설명
1등급심사대상 아님프로젝트 성공여부와 관계 없이 특정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잇는 수준, 역량 개선 필요
2등급프로젝트 관리, 개발, 지원개별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스 수립, 이를 기반으로 프로젝트를 통제하여 성공적 수행 가능
3등급프로세스 관리, 조직관리, 프로젝트 관리, 개발, 지원조직 프로세스 체계 정의, 정량적인 데이터 관리로 일관된 품질 수준의 프로젝트 수행 가능, 지속적 프로세스 개선 가능

SP 인증 문제점과 해결방안

문제점해결방안기대효과
SP인증심사 혜택 확대SP인증기업 프로젝트 수주 우대 등 혜택참여기업증가, 제도 활성화
지속홍보 및 전문가 교육지속적 심사 홍보, 기업 SW품질 담당 육성인증제도 인식 확대, 역량 강화
컨설팅 등 서비스 부족SP인증 준비 기업 사전 지원 서비스기업 어려움 완화, 인증 성공률 강화
인증 시간, 노력, 비용 부담SP인증 개선 토론, 설문조사인증과정 효율성 향상
SP인증 심사원 부족기술사 등 인력풀 활용, 전문교육심사원 확보로 인증 적체 해소

병렬컴퓨팅, 병렬 프로세서

· 약 3분

병렬 컴퓨팅 개념

  • 프로그램 내 계산 영역을 여러 개로 나누어 각 계산을 여러 프로세서에서 동시 수행하는 기술
  • 생성형 AI 발전, GPU 품귀, 단일 프로세서 한계

병렬 컴퓨팅 특징

구분특징설명
목적실행시간 단축Wall clock time 단축
-작업 동시 수행HW, SW 측면 작업 분할
유형작업 단위 병렬성다수 독립 작업 프로그램
-태스크 단위 병렬성서로 다른 기능 태스크
-스레드 단위 병렬성동시 처리 스레드
-명령어 단위 병렬성어셈블리 명령어

병렬 프로세서의 분류

Flynn의 분류

SISD

  • 명령어 순차처리
  •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

SIMD

  • 하나의 제어 유닛으로 동기화
  • 벡터, 행렬 연산 처리

MISD

  • 프로세서 처리 결과로 연산 수행
  • 실제 구현 불가

MIMD

  • 각 프로세서가 비동기적 처리
  • 강결합시 공유메모리 사용
  • 약결합시 분산메모리와 메시지 패싱 기법 사용

시스템 구성 방법에 따른 분류

SMP

  • 프로그래밍 용이
  • 메모리 접근 병목

MPP

  • 프로그래밍 복잡
  • 낮은 가용성

NUMA

  • 장점 결합
  • 분산 로컬 메모리, 글로벌 메모리 사용
  • 다양한 프로세서 사용 가능

클라우드 아웃소싱

· 약 6분

클라우드 아웃소싱 개념

  • 기업이 IT 인프라, 소프트웨어, 데이터 관리 등 다양한 IT 업무를 외부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CSP)나 관리형 서비스 제공자(MSP)에게 위탁하는 방식
  • 비용 절감, 확장성, 유연성, 보안성, 위험 관리

클라우드 아웃소싱 개념도, 구성요소, 적용방안

클라우드 아웃소싱 개념도

  • 책임공유모델(SRM)과 서비스수준 계약(SLA)을 통해 각 주체가 수행하는 역할을 규정하고, 안정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

클라우드 아웃소싱 구성요소

구분내용비고
CSP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인프라 및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IaaS, PaaS, SaaS) 제공AWS, Microsoft Azure 등
MSP클라우드 설계, 구축, 보안 관리 및 유지보수를 지원하며, 규제 준수와 최적화 서비스 제공메가존클라우드, 베스핀글로벌 등
기업클라우드를 도입해 핵심 비즈니스에 집중하고, IT 인프라 관리 부담 감소SRM을 통한 보안 설정 관리

클라우드 아웃소싱 적용 방안

구분내용비고
CSP 및 MSP 선택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맞는 CSP와 MSP를 선택하여 SLA로 서비스 품질을 보장글로벌/국내 CSP 선택
클라우드 전환 전략MSP와 협력하여 장기적인 디지털 전환 전략을 수립하고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및 교육을 진행단계별 전환 계획
보안 및 규제 준수SRM을 통해 보안 책임을 명확히 하고, MSP의 컨설팅을 통해 규제 준수 체계를 마련금융, 의료 등 규제 엄격한 산업에 필수
비용 최적화MSP의 성능 모니터링 및 최적화 방안을 통해 불필요한 자원 낭비 없이 비용 효율성을 확보성능 모니터링으로 시스템 가용성 유지
지속적 개선MSP와 협력하여 최신 기술 업데이트와 최적화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경쟁력을 유지주기적 리뷰 및 개선
SLA 관리SLA를 통해 가용성, 응답 시간, 문제 해결 시간 등 서비스 수준을 보장하고, 위반 시 보상 조건 설정크레딧, 환불 등의 보상 가능
소버린 클라우드 활용데이터 주권과 국가별 규제를 준수하며, 소버린 클라우드를 활용해 특정 국가 내 데이터 저장 및 처리법적 규제가 엄격한 산업 필수

클라우드 아웃소싱 유형

구분내용이점
전체 클라우드 아웃소싱IT 서비스 전체를 클라우드로 이전핵심 비즈니스 집중
선택적 클라우드 아웃소싱IT 서비스 중 일부만 클라우드로 이전하여 특정 기능이나 업무를 CSP 또는 MSP에 위탁하는 방식관리 효율성 향상
SI + 클라우드 아웃소싱시스템 통합(SI) 후 운영을 위한 클라우드 아웃소싱을 통해 구축과 운영을 외부 서비스 제공자에게 위탁하는 방식안정적이고 유연한 운영 가능

IT 직무제, SW 기술자 등급제

· 약 3분

IT 역량분류 체계 개요

SW 기술자 등급제, IT 직무제 비교, 개선 방안

SW 기술자 등급제, IT 직무제 비교

구분SW 기술자 등급제IT 직무제
개념학력, 경력 기반 기술자 등급 산정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직무별 기술자 역량 평가
평가기준학력, 경력, 자격기반직무수행능력, 실제업무역량, 자격, 경력 등
장점등급체계 단순다양한 평가 기준
-대가산정 용이NCS 기반 역량 표준화, 직무 세분화
단점실무 능력 괴리새로운 체계에 대한 현장 저항감
-분류기준 한계직무정의 모호성으로 인한 혼란
-경력증빙 복잡학위 유관성
-비용 부담평균 임금 데이터 오류

IT 직무제 개선 방안

구분개선 방안내용
현장 저항감현장 교육, 워크숍, 파일럿 프로그램, 단계적 도입 고려현장 요구사항 반영
직무 정의 모호성용어 정의 개선, 직업 예시 제공직무별 역량 세부 정의
학위 유관성다양한 기술, 역량 가진 인재 우대학위 이외 역량 인정
평균 임금 데이터 오류직무별 표본 확보, SW기술자 등급제와의 매핑, SW사업 기여도 따른 가중치 적용실제 임금과의 연계성 강화

`

AHP, 계층화 분석법

· 약 3분

AHP 개념

  • 의사결정과정을 목표, 기준, 대안 등의 계층으로 구조화한 뒤 쌍대비교하여 도출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결과값을 통해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법론
  • 계측적 구조화, 우선순위 도출, 일관성 검토, 계층요소 비교

AHP 프로세스, 상세 설명, 도입 효과

AHP 프로세스

  • 계층 분리, 쌍대비교 후 도출된 우선순위를 통해 일관성 검사 진행하여 최종 의사 결정 사안 도출

AHP 프로세스 설명

단계설명비고
1. 계층화관련 요소식별 및 선정, 단계별 계층 구조 형성문제 목표와 세부 평가기준 설정
2. 쌍대비교각 계층의 요소들을 쌍으로 비교하여 상대적 중요도 평가1~9단계 점수, 비교 행렬 작성
3. 부분 우선순위쌍대비교 결과 표준화, 각 요소 가중치 계산우선순위 벡터
4. 일관성 검토평가 일관성 검증, 판단 신뢰성 제고일관성 비율(CR) 1 미만
5. 최종 우선순위최종 종합 가중치 계산, 의사결정 수행최적 대안 선정

AHP 도입 효과

도입 효과내용비고
다기준 의사결정 지원다양한 평가 기준 분석을 통한 최적 대안 도출비용, 품질, 납기 등
의사결정의 일관성 확보쌍비교 통한 상대적 중요도 평가평가 신뢰성 강화
정량적 및 정성적 요소 통합데이터와 정성적 요소를 고려한 종합적 평가전문가 판단 수용
우선순위 설정의 명확성각 대안 우선순위 도출 후 전략 수립자원 배분 최적화
투명한 의사결정 과정계층 구조와 평과 과정을 통한 이해관계자 신뢰 증진투명성, 신뢰성 강화
  • SCM, TPRM 등 공급업체의 가격, 품질, 납기, 유연성, 신뢰성, 보안성, 리스크 등 다양한 평가기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때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