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pe/network" 태그로 연결된 45개 게시물개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기술사 네트워크 토픽

모든 태그 보기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약 3분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네트워크 규모에 따라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주기적으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RIP,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Dijkstra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단 경로를 계산한 OSPF 선택

RIP, OSPF 동작 매커니즘, 상세 비교, 활용 방안

RIP, OSPF 동작 매커니즘

RIP, OSPF 상세 비교

구분RIPOSPF
프로토콜 유형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알고리즘거리 벡터 알고리즘링크 상태 알고리즘
최대 홉 수15제한 없음
전송 계층 프로토콜UDPIP
특징주기적 업데이트, 단순 구조빠른 수렴, 멀티캐스트 사용

RIP, OSPF 활용 방안

구분내용적용 방안
RIP소규모 네트워크에서 기본 라우팅 제공구현 및 유지보수 용이
최대 홉 수 제한으로 인해 대규모 네트워크에는 부적합OSPF 등 다른 IGP 프로토콜 검토
OSPF대규모 네트워크에서 확장성과 안정성 요구빠른 수렴, 정확한 경로 선택
복잡한 설정 및 높은 리소스 요구전문가 컨설팅 및 하드웨어 성능 확보

서비스 메쉬

· 약 3분

서비스메쉬 개념

  •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 서비스 간의 통신을 최적화하고 관리하는 구조로, 트래픽 제어, 보안 강화,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
  • 서비스 간 통신 복잡성 증가 / 보안 요구사항 강화 / 대규모 분산 환경 운영 단순화,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메쉬 개념도, 역할, 도입 장점

서비스메쉬 개념도

  • 서비스메쉬 도입으로 개발 효율성, 운영 편의성, 보안성 강화

서비스 메쉬 역할

역할설명예시
트래픽 관리로드 밸런싱, 트래픽 분산, 서비스 디스커버리 지원카나리 배포로 새 버전 점진적 전환
보안서비스 간 통신 암호화(TLS), 인증 및 권한 부여민감 데이터 처리 API의 보안 강화
모니터링메트릭 수집, 분산 추적, 로깅Istio 텔레메트리를 통한 성능 시각화

서비스 메쉬 도입 장점

문제세부 내용장점
서비스 간 복잡한 통신서비스 간 빈번한 통신으로 인한 복잡성 증가통신 로직을 Service Mesh로 표준화
보안 취약점네트워크 계층에서의 데이터 유출 위험TLS 암호화와 Zero Trust 모델 적용
운영 문제장애 진단 및 성능 최적화 어려움실시간 모니터링과 분산 추적 활용
유연한 배포트래픽 제어 및 롤백 어려움카나리 배포, 블루-그린 배포 지원

서비스 메쉬 주요 도구

도구특징활용 사례
Istio로드 밸런싱, 암호화, 인증 기능 제공금융 서비스의 민감 데이터 보안 강화
Linkerd경량화된 트래픽 관리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성능 지표 모니터링
Consul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네트워크 보안분산 환경에서의 암호화 통신 관리

TLS 1.3

· 약 3분

TLS 1.3 개념

  • 인터넷 통신에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무결성을 보장하는 프로토콜로 1.3버전에서 보안성과 성능을 크게 개선

TLS 1.3 개념도, 개선 내용, 적용 사례

TLS 1.3 개념도

TLS 1.3 개선 내용

변경 사항설명예시
암호화 강도 강화취약한 알고리즘 제거, AES-GCM, ChaCha20-Poly1305 채택RC4, SHA-1 제거
핸드쉐이크 간소화1-RTT 기본 적용, 0-RTT 재접속 지원초기 연결 시 속도 향상
PFS 기본 지원Diffie-Hellman(ECDHE) 사용으로 세션 키 고유화세션 키 유출 시 타 세션 보호
MITM 공격 방지엄격한 인증서 검증중간자 공격 가능성 차단
레거시 프로토콜 제거TLS 1.0, 1.1 제거최신 보안 요구사항 반영

TLS 1.3 적용 사례

분야적용 사례효과
웹 브라우저Chrome, Firefox 등에서 기본 지원HTTPS 보안 강화
클라우드 서비스AWS, Google Cloud에서 TLS 1.3 활용데이터 보호 및 성능 개선
VPNOpenVPN, WireGuard에서 TLS 1.3 적용안전한 원격 접속

TLS 발전방향

  • 양자내성암호와 결합하여 TLS 보안성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

5G New Radio의 AI/ML 기술

· 약 4분

5G NR 개요

  • AI/ML을 도입하여 네트워크 복잡성을 줄이고, 실시간 적응 및 최적화를 통해 성능을 극대화

5G NR AI/ML 프레임워크 개념도, 핵심요소, 기대효과

5G NR AI/ML 프레임워크 개념도

5G NR AI/ML 프레임워크 핵심요소

구분핵심요소내용
데이터 처리데이터 수집AI/ML 학습 및 추론을 위해 네트워크 데이터를 수집 및 전처리
모델 관리모델 학습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AI/ML 모델 학습 및 평가
모델 저장학습된 모델을 저장하여 추론 기능에서 활용 가능
모델 운영추론실시간 데이터 기반 추론으로 네트워크 상태를 진단 및 예측
관리성능 모니터링 및 피드백을 통해 네트워크 최적화와 모델 업데이트 수행

5G NR AI/ML 적용 기대효과

기술내용기대 효과
CSI 피드백채널 상태 정보를 AI/ML로 예측하여 오버헤드 감소데이터 전송 효율 및 정확도 향상
빔 관리빔포밍, 빔 스위칭 등 AI 기반 관리밀리미터파 대역에서 통신 성능 최적화
측위 정확도 향상NLOS 환경에서도 AI 기반 예측 기술 활용고정밀 위치 추적 가능

5G NR AI/ML 적용시 고려사항

구분고려사항내용
기술적데이터 품질AI/ML 모델 학습 및 추론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한 고품질 데이터 필요
모델 복잡성적응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시간 추론이 가능하도록 경량화된 모델 설계
경제적비용 효율성AI/ML 인프라 구축 및 운영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클라우드 활용
운영적표준화다중 공급업체 환경에서 AI/ML 모델의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표준 필요
보안AI/ML 모델과 네트워크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보안 메커니즘 필요

참조

ISAC, 6G 센싱/통신 통합 기술

· 약 5분

6G 센싱, 통신 통합 기술 개념

ISAC 개념

  • 센싱과 통신을 단일 플랫폼에서 통합적으로 수행하여 데이터 전송과 환경 감지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기술
  • IMT-2030의 주요 사용 시나리오 중 하나로, 초연결 네트워크(ubiquitous connectivity)와 신뢰성 높은 저지연 통신(hyper-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 등과 함께 6G의 핵심 기술

ISAC 필요성

구분필요성내용
고정밀성초정밀 데이터 요구 증가높은 주파수 대역 활용으로 환경 인지와 통신 정확성을 동시에 실현
자율성통합적 네트워크 관리IoT, 자율주행 등 다양한 서비스에서 실시간 통합 관리 요구 충족
효율성자원 활용 최적화통신과 센싱 자원의 통합적 사용으로 비용 절감과 에너지 효율성 증대

ISAC 시스템 개념도, 기술과제, 기술동향

ISAC 시스템 개념도

  • ISAC 시스템 구축을 위해 E-MIMO, 빔포밍, 정밀 포지셔닝 기술 연구 필요

ISAC 시스템 기술과제

과제내용해결방안
간섭 문제센싱 및 통신 신호의 상호 간섭 발생빔포밍 기술과 자원 스케줄링을 통한 신호 간섭 최소화
채널 모델 부재통신과 센싱 신호를 동시에 고려하는 통합 채널 모델 부족통합 신호 특성을 반영한 채널 모델 개발 및 AI 기반 채널 분석 기술 활용
성능 최적화통신과 센싱 간의 트레이드오프LoS/NLoS 경로 최적화와 자원 분배 알고리즘 적용
  • Line-of-Sight, Non-Line-of-Sight

ISAC 시스템 기술동향

구분기술동향내용
국내6G ISAC 초기 연구대학 및 연구소 중심으로 ISAC 기반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응용 연구 진행
표준화 참여3GPP, IEEE 등 국제 표준화 작업에 국내 기업(통신사, 제조사) 참여 확대
국외Nokia/Hexa-X6G 네트워크를 센서로 활용, JCAS(Joint Communication and Sensing) 기술 개발
Huawei/ZTE테라헤르츠 대역 기반의 고해상도 센싱 및 통신 통합 연구 진행
Qualcomm초정밀 위치 추적 및 RF 센싱 기술 상용화

ISAC 시스템 고려사항

구분고려사항내용
기술적간섭 완화센싱과 통신 신호의 간섭 문제 해결을 위한 신호 처리 기술 필요
경제적비용 효율성네트워크 자원의 통합적 사용으로 CAPEX/OPEX 절감
확장성서비스 적용 가능성자율주행,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상용화 가능성 고려

참조

IBN, 의도 기반 네트워킹

· 약 5분

의도 기반 네트워킹 개요

의도 기반 네트워킹 개념

  • 네트워크 관리자의 의도를 인공지능 기술로 파악하여 인터넷을 구성하는 유무선망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술
  • 선언적 명령을 통해 네트워크 구성과 관리 단순화, 인공지능(AI), 자연어 처리(NLP)와의 통합을 통해 자동화 수준 제고

의도 기반 네트워킹 필요성

구분필요성내용
관리 복잡성네트워크 증가 및 복잡성 완화기존 네트워크는 수동 구성으로 인해 시간 소모 및 오류 가능성 존재
자동화AI/ML 기반 최적화인공지능 및 기계 학습 기반으로 실시간 네트워크 최적화와 적응형 관리 가능
표준화환경 적합성다중 연결 장치와 네트워크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표준화된 접근 방식 요구

의도 기반 네트워킹 개념도, 핵심요소, 기술동향

의도 기반 네트워킹 개념도

  • 각각의 단계에서 LLM, ML, 딥러닝 및 최적화 기술 적용

의도 기반 네트워킹 핵심요소

구분핵심요소내용
정책 처리의도 인식사용자 텍스트/음성 입력을 통해 네트워크 의도를 정의 및 생성
의도 번역사용자나 관리자의 의도를 상위 정책으로 변환
정책 최적화번역된 정책을 컴퓨터가 실행 가능한 명령어로 최적화하여 네트워크에 적용 가능하게 처리
정책 실행의도 적용최적화된 정책을 네트워크 장비나 가상화 인프라(VNF, CNF)에 배치
운영 관리의도 모니터링네트워크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의도대로 작동하는지 확인 및 데이터 분석
의도 검증의도와 네트워크 성능이 일치하는지 검증하며, 부족한 성능 최적화 요청
의도 재설정필요 시 정책을 재작성하거나 재설정하여 네트워크 최적화 수행
  • 실시간 의도 재설정에서 발생하는 레이턴시를 줄이기 위해 SDN, 엣지 컴퓨팅 활용

의도 기반 네트워킹 기술동향

구분기술동향내용
국내3GPP 표준화 작업IBN 관련 의도 번역 및 실행 모듈 개발, NFV/SDN 표준화 참여
5G 기반 IBN 테스트베드국내 기업들이 AI 기반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구축 실증
국외CiscoAI 기반 네트워크 번역 및 모니터링 기술로 시장 선도
화웨이캠퍼스 네트워크 자동화와 오픈 소스 플랫폼 개발
  • IBN 시장규모는 연평균 25% 성장할 것으로 예측, 기술 개발 및 표준화에 지속적 관심과 투자 필요

참조

비정지궤도 위성통신

· 약 5분

위성통신 개요

위성통신 개념도

비정지궤도 위성통신 개념

  • LEO 및 MEO 위성을 활용하여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 낮은 지연시간, 글로벌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통신 기술
  • GEO 대비 낮은 전송 지연으로 IoT, 자율주행, 의료 등 다양한 서비스 적합 / LEO 위성 서비스 활성화로 인한 데이터 수요 충족 / 긴급 SOS 메시징 및 극지방 커버리지 등 기존 위성 통신 문제 해결

비정지궤도 위성통신 구성도, 구성요소, 기술동향

비정지궤도 위성통신 구성도

비정지궤도 위성통신 구성요소

구분구성요소내용
위성LEO/MEO 위성저지연, 고속 데이터 전송, 글로벌 커버리지 제공
위성 간 링크 (ISL)위성 간 데이터 중계 및 글로벌 라우팅 지원
단말위성 파라볼릭 안테나 단말GEO+MEO+LEO 지원, 주로 해상 및 고정형 통신 환경에서 사용
위성 평판 안테나 단말위상 배열형 전자적 빔 조향 안테나, 높은 내구성, 다중궤도/다중대역 지원
항공기 IFC 단말기내 인터넷 연결, 실시간 스트리밍 지원
해상용 단말극지방 커버리지 및 해상 데이터 통신 지원
지상 휴대 단말긴급 SOS 메시지, IoT 연동, 위성 직접 통신

비정지궤도 위성통신 기술동향

구분기술동향내용
국내LEO 위성 테스트베드 구축2030년까지 시범시스템 확보를 목표로 기술 개발
표준화 참여3GPP NTN 표준화 및 위성-지상 통합 기술 개발
국외스타링크6,100개 이상의 위성을 운영하며 100개국에서 300만 명의 가입자 확보
Amazon Kuiper3,236개의 Ka 대역 위성으로 글로벌 커버리지 구축 계획
EU IRIS² 프로젝트LEO/MEO/GEO 다중 궤도 기반 초고속 통신 서비스 구축

참조

6G 무선통신 기반 포지셔닝 및 센싱

· 약 4분

6G 무선 포지셔닝 및 센싱 개요

6G 무선 포지셔닝 및 센싱 개념

  • 6G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고속 데이터 전송, 초저지연, 광범위한 연결성을 제공하며, 포지셔닝 및 센싱 기능을 통해 초정밀 위치 추적 및 환경 데이터 수집을 가능하게함
  • 테라비트급 속도, 초정밀 포지셔닝, AI 및 ML 통합

6G 무선 포지셔닝 및 센싱 필요성

구분필요성내용
정밀도하드웨어 한계 해결고주파 대역에서 높은 정밀도를 위한 ADC, 다중 안테나 배열 등 고성능 설계 필요
채널 문제복잡한 신호 경로 처리도심 환경의 다중 경로 반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요구
다기능성통신과 센싱의 융합MIMO, SDR 기술 기반으로 통신과 센싱 기능을 동시 구현하는 다기능 하드웨어 필요

6G 무선 포지셔닝 및 센싱 구성도, 구성요소, 기술동향

6G 무선 포지셔닝 및 센싱 구성도

6G 무선 포지셔닝 및 센싱 구성요소

구분내용비고
위성 통신저궤도 위성을 활용해 실외 환경에서 높은 커버리지와 안정성 제공5G 대비 10배 이상 커버리지 확대
지능형 표면RIS 활용 신호 반사 및 경로 재구성장애물 극복 및 신호 품질 개선
다기능 하드웨어통신과 센싱을 통합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설계E-MIMO, SDR 등
AI 플랫폼데이터 분석 및 기계 학습을 통해 센싱 및 포지셔닝 최적화신속한 의사결정과 정확도 개선

6G 무선 포지셔닝 및 센싱 기술동향

구분기술동향내용
국내과기정통부 6G 전략 로드맵2030년까지 6G 상용화를 목표로 초정밀 포지셔닝 및 고감도 센싱 기술 개발 진행
국제 표준화 작업ETRI와 TTA의 ITU 및 3GPP의 국제 표준화 작업 참여
국외미국연방통신위원회, 국방부의 6G 포지셔닝 및 센싱 기술 연구 지원, 위성 및 드론 기반 기술 연구
유럽Horizon Europe 프로젝트로 테라헤르츠 기반 고정밀 포지셔닝 기술 개발
중국차세대 정보통신 기술 혁신 전략을 통한 대규모 투자

참조

6G 이동통신과 UAM의 융합

· 약 3분

UAM 개요

UAM 개념

  • 도심 내에서 개인용 항공기(PAV)와 드론 등의 항공기를 기존 교통 인프라에 통합하여 혁신적인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교통 혼잡 해소, 고속 이동성 제공, eVTOL(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AM에서의 6G 사용 필요성

구분필요성내용
통신 신뢰성실시간 데이터 전송초저지연(0.1ms)과 초고속 데이터 전송(최대 1Tbps)을 지원하여 항공기 간 충돌 방지 및 관제 가능
초연결성IoE 통합항공기와 지상 인프라, 위성 통신을 연결하여 도시 교통을 완벽히 통합 가능
안전성저궤도 위성 통신 연계도심 항공 교통망에서 신뢰성과 안정성을 강화하여 충돌 방지와 경로 최적화 실현

6G, UAM의 융합

6G UAM 개념도

6G UAM 구성요소

구분내용비고
통신 네트워크고속 데이터 전송 및 초저지연 실현지상 기지국, 저궤도 위성, 항공기 간 통신
AI 및 엣지 컴퓨팅엣지 컴퓨팅을 통한 지연 감소 및 AI 기반 자동화안전항법, 충돌방지, 경로 최적화
센서 및 IoE안전성과 운영 효율성 향상을 위한 실시간 데이터 제공V2X, 기상 데이터, 교통 상황 센싱

6G UAM 활용사례

구분사례내용
스마트시티도시 항공 교통과 지상 교통 통합6G 통신의 실시간 데이터 분석과 IoE 통합을 통해 도심 혼잡 해소 및 고속 이동 제공
자율 교통망교통 혼잡 해소 및 이동성 증대교통 네트워크의 완전한 통합 운영 및 실시간 데이터 분석 가능
IoE 통합수백억 IoE 센서 기반 운영기상, 교통정보 등을 실시간 반영한 PAV 경로 최적화, 운영 효율성 향상

참조

E-MIMO

· 약 3분

E-MIMO 개념

  • 5G의 mMIMO보다 약 4배 이상 향상된 커버리지와 용량을 목표로 하고, 고주파수의 경로손실문제 해결을 위한 초대규모 다중입출력 기술
  • 6G에서 Upper-mid Band(7~24GHz, FR2) 사용을 위해 개발, 초고속 통신, 적은 지연시간, 높은 데이터 속도

E-MIMO 개념도, 기술요소, 개발동향

E-MIMO 개념도

E-MIMO 기술요소

구분기술요소내용
빔포밍디지털/하이브리드 빔포밍대역폭 활용과 효율적 에너지 소비를 지원
RF 기술GaN, GaAs 반도체 기술고출력, 고효율 RF 트랜시버
안테나 설계대규모 어레이 및 모듈화 기술효율적 공간 사용과 방사 손실 최소화
에너지 효율저복잡도와 저전력 구현 기술탄소절감 에너지 사용의 효율화 달성
통신-센싱 융합환경 센싱 후 이동성 및 빔 형성에 활용센싱 기반 커버리지 향상 및 새로운 서비스 제공 가능

E-MIMO 개발동향

구분동향내용
국내삼성전자 X-MIMOFR3 대역의 전파 손실 해결 및 안테나 밀도 향상 연구
중소기업 및 연구기관선진 기술에 필적하는 E-MIMO 연구 및 프로토타입 개발
국외퀄컴 GIGA MIMO4096개 안테나와 256 디지털 체인을 기반으로 높은 용량 제공
화웨이에너지 절감을 위한 PowerStar 솔루션 연구 및 6G 확장
에릭슨유럽 프로젝트와 협력하여 친환경 기지국과 반도체 기술 발전 연구
노키아FR1 기지국 재사용을 통한 FR3 비용 감소 및 6G 준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