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차세대시스템과 오픈결함

· 약 4분

차세대 시스템 오픈관련 문제점 개요

  • 사업 사전준비 부족과 프로젝트 관리 역량 부족 등 미진한 대응으로 대국민 서비스 품질 저하 및 공공기관 신뢰성 저하

오픈 관련 문제점의 원인

기술적 원인

구분문제짐내용
데이터데이터 전환 미흡마이그레이션 후 정합성 문제
-도메인 분석 미흡시스템 통합에 딸느 영향도 파악 부족
기능기능 미구현다양한 유저의 필요 기능 불안전 구현
-개발자 역량개발자의 도메인 지식 부족
시스템테스트 부족시스템 통합 후 미구현 기능 발견
-시스템 검수 미흡성능 요구사항 미준수

관리적 원인

구분문제점내용
요구사항불명확한 요구사항일정 지연 원인
-리스크 관리 부족위험 수집, 판별, 분석, 대응 미흡
제도대기업 참여제한프로젝트 관리 경험 부족
-감리체계 미흡산출물 위주 감리로 실무 괴리
적정대가 미지급불공정한 과업 변경이해관계자 협의 없는 변경
-개발자 이탈핵심인력 중 90% 과업 진행 중 이탈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및 법,제도 보완점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구분대책내용
요구사항공공 PMO 활용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관리
-사전심사제도과제 진행 전 이슈 분석
적정대가 미지급과업심의위원회심의 의무화로 합의 진행
-RFPFP 기반한 대가 산출
데이터데이터 품질 검증마이그레이션 테스트 계획 수립
-전문가 활용업무 도메인, 데이터 전문가 활용

재발 방지를 위한 법, 제도 보완점

구분보완점내용
발주발주 시행근거 마련발주기관 지표 항목 개선
-분리분할발주 강화사업 규모 따른 관리 위험 완화
사업참여대기업 참여제한 완화프로젝트 관리 경험 증가로 안정성 증가
-컨소시엄 구성 체계 변경동일 사업 참여 컨소시엄 책임 조정
제도감리제도 강화업무 부문 감리 항목 강화
-하도급 제도 개선하도급 관리 기준 개정 효율화
-SW산업 진흥법 개선공공 SW사업 기반 제도 수정

오픈준비 점검지표

ISO 25010 기반

기능 점검지표

  • 적합성
  • 정확성
  • 상호운용성
  • 호환성

성능 점검지표

  • 사용성
  • 신뢰성
  • 유지보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