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사업의 단계별 발주제도
· 약 3분
소프트웨어 사업의 단계별 발주제도 개념
- 정보기술용역을 구성하는 SW, HW, 시스템 개발 등을 일괄 발주하지 않고 선행, 후속 사업 2단계로 분석, 설계를 우선 실시하고, 산출물에 의거하여 구현 사업을 수행하는 제도
- 단계별 요구사항 명확화, 단계별 예산 효율적 관리, 설계와 구현 분리로 인한 품질 향상
소프트웨어 사업의 단계별 발주제도 절차도, 세부 내용
소프트웨어 사업의 단계별 발주제도 절차도
소프트웨어 사업의 단계별 발주제도 세부 내용
구분 | 표준 프로세스 | 주요 산출물 |
---|
선행사업 | 요구사항 질의, 분석 | 요구사항 명세서, Use Case 시나리오 |
| 기본설계 (논리적) | 기본 설계서 |
후속사업 | 상세설계 (물리적) | DB설계서, 테스트 명세서 |
| 개발 | 코드, 단위모듈 설계서, 테스트 시나리오 |
| 테스트 | 테스트 결과서, 품질 검토서 |
| 인수 | 인수 계획서, 설치 결과서, 시범운영계획서 |
소프트웨어 사업의 단계별 발주제도, 일괄 발주 비교
구분 | 단계별 발주 | 일괄 발주 |
---|
특징 | 설계와 구현 분리 발주 | 설계와 구현 일괄 발주 |
리스트 관리 | 단계별 리스크 식별, 관리 | 프로젝트 전체 리스크 관리 |
참여업체 수 | 다 수 업체 | 동일 업체 |
발주 행정부담 | 복수사업자 선정에 따른 행정 절차 부담 증가 | 단일 사업자 수행으로 행정 절차 감소 |
시스템 통합 책임 | 별도 시스템 통합 사업자 선정 | 구축 사업자가 통합 책임 |
소프트웨어 사업의 단계별 발주시 고려사항
- 다수업체 발주로 인한 프로젝트관리, 품질관리를 위해 PMO, QMO 도입 검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