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 레이어
· 약 6분
OSI 7 레이어 개념
- 네트워크 충돌 문제 등의 완화를 위해 ISO 7498로 정의된 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 국제 표준 네트워크 모델
- 같은 계층간 논리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터널링 기법(가상통신, Peer to Peer)을 사용
- 하부 계층 내려갈 때는 캡슐화, 그 반대는 역캡슐화 가정
OSI 7 레이어 기능, 프로토콜 종류
OSI 7 레이어 기능
계층 | 기능 | 설명 |
---|---|---|
응용 | 사용자와 네트워크 간 인터페이스 제공 | 응용프로세스 간 데이터 교환, 인터페이스 제공, 사용자 인터페이스 |
표현 | 데이터 변환 및 암호화 | 데이터 인코딩, 디코딩, 암복호화, 입출력을 응용게층이 이해하는 형태로 변환 |
세션 | 세션 설정 및 관리 | 어플리케이션 간 세션 설정 유지, 데이터 교환 동기화, 복구 관리 |
전송 |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 종단 간 신뢰성, 투명성 유지, 데이터 전송, 흐름, 혼잡, 오류 제어 |
네트워크 | 라우팅 및 패킷 전달 | 목적지 경로 설정, 중계, IP주소활용 패킷 라우팅 |
데이터링크 | 프레임화, 오류 검출, 수정 | 전송된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 처리, 접근 흐름, 오류, 회선 제어 |
물리 | 데이터 전송 매체와 신호 정의 | 전송매체(케이블, 전송속도) 정의, 전기적 신호 정의, 비트 전송 |
OSI 7 레이어 프로토콜 종류
계층 | 프로토콜 | 설명 |
---|---|---|
응용 | HTTP, DNS, SMTP, FTP | 웹페이지 전송 프로토콜, 도메인명 IP 반환 프로토콜 등 |
표현 | JPEG, MPEG, ASCII | 이미지 압축 및 저장 포맷, 동영상 압축 및 저장 포맷 등 |
세션 | SSL/TLS, RPC, SSH | 보안통신용 암호화, 세션 유지, 원격프로시져 호출 등 |
전송 | TCP, UDP, SCTP | 신뢰성 있는 연결지향 전송, 비연결지향 실시간 전송 |
네트워크 | IP, ICMP, IPsec, ARP | 패킷 라우팅 및 주소지정, 네트워크 문제진단, 오류 보고 |
데이터링크 | Ethernet, PPP, L2TP | MAC기반 데이터 전송, 종단 간 직접 연결, 데이터 전송 |
물리 | RS-232, IEEE802.3, SONET | 직렬통신 인터페이스 표준, 이더넷 물리매체 지정, 광섬유 동기화 |
OSI 7 레이어 데이터 종류, 주요 장비
OSI 7 레이어 데이터 종류
계층 | 데이터 종류 | 설명 |
---|---|---|
응용 | 데이터, 메세지 | 어플리케이션 간 주고 받는 순수한 데이터 형태, 컨텐츠 |
표현 | 데이터 | 어플리케이션 계층 데이터를 공통 포맷으로 변환, 압축, 암호화한 데이터 |
세션 | 데이터 | 어플리케이션 간 세션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데이터 |
전송 | 세그먼트, 데이터그램 | 종단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논리적 전송단위, 포트헤더 추가 |
네트워크 | 패킷 | 네트워크 내 라우팅, 포워딩을 위해 IP 헤더를 추가한 전송 단위 |
데이터링크 | 프레임 | 물리적으로 연결된 종단 간 통신 신뢰성을 위해 MAC 주소, 오류 제어정보 추가 |
물리 | 비트 | 디지털 신호 최소 단위, 전기신호 또는 광신호 형태 |
OSI 7 레이어 주요 장비
계층 | 주요 장비 | 설명 |
---|---|---|
응용 | 웹서버, 이메일 서버, L7 스위치 |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 제공, 트래픽 제어, 컨텐츠 필터링 |
표현 | 암호화 장비 | 데이터 인코딩 및 암호화 포맷 변환 서버 |
세션 | 방화벽, 세션 게이트웨이 | 세션 설정, 유지, 종료 관리, 동기점 설정 및 통신세션 보장 |
전송 | 게이트웨이, L4 스위치 | 종단 간 통신 연결, 로드밸런싱, 포트 기반 필터링 |
네트워크 | 라우터, L3 스위치 | 패킷 라우팅, 포워딩, 필터링, 네트워크 토폴로지 관리 |
데이터링크 | 브리지, L2 스위치 | 프레임 전송, 충돌 도메인 분할, 오류 감지, 수정 제공 |
물리 | 허브, 리피터 | 신호의 전기적, 광학적 전송 담당, 신호 증폭, 분배, 물리 매체 연결 |
OSI 7 레이어와 TCP/IP와의 비교
TCP/IP 비교 | 프로토콜 구조 |
---|---|
- TCP/IP는 인터넷 구현을 위한 프로토콜로 Defacto 표준.
- OSI 7 레이어는 컴퓨터 구조를 포함하므로 실제는 TCP/IP의 Hybrid 모델로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