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윤리의 개념
- AI 산업 전반에서 AI시스템의 개발, 배포, 사용과 관련된 윤리적 원칙가 가치
- AI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오남용이 심화됨에 따라 AI 개발, 적용 과정에서의 설명가능성, 투명성 확보를 위한 윤리 기준과 거버넌스 필요
인공지능 윤리의 주요 원칙, 적용방안
인공지능 윤리의 주요 원칙
인공지능 윤리 주요 원칙 상세설명
구분 | 세부 원칙 | 설명 |
---|
인간존엄성 | 인권보장 | 인간중심, 인권, 자유 보장 |
- | 프라이버시 보호 | 사생활 보호, 개인정보 오용 최소화 |
- | 다양성 존중 | 다양성, 접근성 보장, 편향 및 차별 금지 |
사회공공선 | 침해 금지 | 인간에 무해한 목적으로 활용 |
- | 공공성 | 인류 공통 이익 중시, 순기능 극대화 |
- | 연대성 | 이해관계자 참여 기회 보장 |
기술합목적성 | 데이터 관리 | 목적 외의 용도 사용 금지, 품질 관리 |
- | 책임성 | 책임 명확화, 주체별 책임 분산 |
- | 안전성 | 잠재적 위험 방지, 안전 보장 활동 |
- | 투명성 | 설명 가능성 확보, 유의사항 고지 |
- AI 윤리 원칙을 준수하기 위해 기업 내 AI 거버너스 확립
AI 거버넌스 모형 개념도, 구성요소, 주요 사례
AI 거버넌스 모형 개념도
AI 거버넌스 구성요소
구분 | 요소 | 설명 |
---|
기술 | 설명가능성 | 희소오토인코더 기반 xAI 구현 |
- | 공정성 | 편향, 차별 식별 및 제거 |
보안 | 프라이버시 보호 | 개인 데이터 학습에 의한 침해 방지 |
- | 안정성, 보안성 | 적대적 공격, 환각 방지 |
사회 | 공공성 | AI로 인한 일자리 변화 고려 |
- | 연대성 | 긍정적인 사회 변화 선도 |
규제 | 오남용 방지 규제 | 딥페이크 등 오남용 규제 |
- | 국제사회 협력 | 국제 사회 소통을 통한 규제 마련 |
AI 거버넌스 주요 사례
구분 | 사례 | 내용 |
---|
국내 | 카카오 | 국내 최초 AI 윤리 헌장 제정 |
- | 삼성전자 | AI 국제 컨소시엄 가입 |
국외 | 미국 | AI 이니셔티브 행정 명령 |
- | EU | AI 윤리 가이드라인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