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SSHD 보안 - fail2ban, port 변경

· 2 min read
$ cat /var/log/secure | grep 'sshd.*Failed' | grep -Po "[0-9]+\.[0-9]+\.[0-9]+\.[0-9]+" | sort | uniq -c

# 실패 카운트와 IP
6 100.34.214.24
6 101.109.152.219
6 101.164.141.36

기본 포트를 사용 중이라면 어마어마한 IP 목록이 나올 것이다.

SSH 포트 변경

SSH 설정 변경

/etc/ssh/sshd_config 에 포트 설정을 변경한다.

/etc/ssh/sshd_config
Port 2020

SElinux 포트 추가

$ semanage port -a -t ssh_port_t -p tcp 2020

방화벽 포트 추가

$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2020/tcp
$ firewall-cmd --reload

SSH 재시작

$ systemctl restart sshd

Fail2ban

일정 시도 이상을 실패하면 해당 IP 를 차단시키는 Fail2ban 을 설치하자

설치

# repo가 없다면
# $ yum install -y epel-release

$ yum install -y fail2ban

SSH 설정 추가

/etc/fail2ban/jail.local 또는 jail.conf 를 열어 [sshd] 의 enabled 속성을 true 로 변경한다.

서비스 시작

$ systemctl enable fail2ban
$ systemctl start fail2ban

더 쉬운 방법

쉘스크립트로 포트변경, 방화벽 룰 추가, Fail2ban 까지 한 방에 끝내버리자.

$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FunctionClub/Fail2ban/master/fail2ban.sh && bash fail2ban.sh 2>&1 | tee fail2ban.log

명령문에 따라 입력만 해주면 된다. 자세한 설명은 FunctionClub/Fail2ban 참고하자.

컴퓨터시스템구조

· 62 min read

세대별 구분

1세대

  • 진공관
  • 프로그램 내장방식
  • 전력소모 크고 발열 심함
  • 기계어, 어셈블리어

2세대

  • 트랜지스터
  • 진공관 컴퓨터에서 1/100 축소
  • 고급언어 (COBOL)

3세대

  • 집적회로 (IC: Integrated Circuit)
  • 고급언어 (베이직)

4세대

  • 고밀도 집적회로 (LSI: 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
  • 초고밀도 집적회로 (VLSI: Very 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
  • PC
  • 고급언어, 문제지향적 언어

컴퓨터 시스템의 전체적 구성

시스템 버스

  • CPU, 기억장치, I/O 장치들을 상호 연결해주는 중심 통로
  • 단방향 어드레스 버스, 양방향 데이터 버스, 양방향 제어버스로 구성

입력장치

출력장치

기억장치

중앙처리장치

  • 연산장치, 제어장치, 레지스터로 구성
사람컴퓨터
감각입력장치
뇌세포기억장치
신경망중앙처리장치
움직임출력장치

운영체제

  • HW와 SW 자원을 관리하고 제어
  • 편리한 인터페이스 제공
  • 입출력의 보조적 기능 수행
  • 오류 처리

자원관리

  • 프로세스 관리
  • 주기억장치 관리
  • 보조기억장치 관리
  • 입출력장치 관리
  • 파일 관리

컴파일러, 인트프리터: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변환하기 위한 번역기

분류

성능과 규모

  • 마이크로 컴퓨터: 현재 범용컴퓨터
  • 미니컴퓨터: 멀티유저 시스템
  • 메인프레임: 범용목적의 대형컴퓨터, 다수의 터미널 사용
  • 슈퍼컴퓨터

구조

  • 병렬컴퓨터: 동시에 여러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사용
  • 분산컴퓨터: 데이터가 네트워크 상에 분산되어 있을 때
  • 클라우드컴퓨터

사용목적

  • 전용컴퓨터: 군사용, 기상예보용, 천문학 등
  • 범용컴퓨터: 여러 분야의 다양한 업무 처리할 목적으로 설계된 컴퓨터 (과학계산, 통계 등)

처리방법

  • 일괄처리 컴퓨터: 일정 시점 단위로 한꺼번에 처리
  • 실시간 처리 컴퓨터: real-time, 온라인 처리 시스템, 즉시처리 시스템

자료표현

  • 디지털 컴퓨터
  • 아날로그 컴퓨터: 자료를 입력받아 곡선이나 그래프로 출력하는 컴퓨터
  • 하이브리드 컴퓨터: 아날로그, 디지털 데이터 모두 처리, A/D (Analog-Digital conveter) 변환기, D/A(Digital-Analog converter)로 데이터 변형 출력 가능

발달과정

특징컴퓨터
최초 기계식마크원
최초 전자식ENIAC
최초 프로그램내장EDSAC
최초 상업용UNIVAC-I

진공관 > TR > IC > LSI > VLSI 폰노이만 모델: 기억장치에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넣고 순서대로 처리하는 방식 (프로그램 내장방식) 시스템버스: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제어 버스

컴퓨터 명령어

주소필드

  • mode, operation code, address 필드로 구성
  • mode = 0 => 주소가 직접번지, mode = 1 => 주소가 간접번지
  • 주소필드는 주소 || 레지스터 || 데이터를 나타냄
  • 16bit 명령어의 경우: 1bit, 3bit, 12bit

3주소 명령어

  • 범용 레지스터 구조의 컴퓨터에서 사용
  • 연산코드와 3개의 주소필드로 구성
  • 프로그램은 간단하나 명령어의 길이가 너무 길다

2주소 명령어

  • 범용 레지스터 구조의 컴퓨터에서 사용
  • 연산코드와 2개의 주소필드로 구성
  • 연산시에 주소1의 내용은 실행 후에 출력값으로 저장되므로 원래 주소1의 내용은 없어진다.

1주소 명령어

  • 단일 누산기 방식의 컴퓨터에서 사용
  • ACC와 Operand의 연산결과는 다시 ACC에 저장되는 형식
  • 입력으로 사용된 누산기는 결과값이 저장되어 원래 값은 없어진다.

0주소 명령어

  • STACK

주소지정방식

의미주소지정

  • Implied Addressing Mode
  • 묵시적 주소지정방식
  • 데이터의 위치를 지정하지 않아도 묵시적으로 정해져 있음
  • PUSH, POP: Stack Pointer 사용
  • SHL, SHR: ACC의 내용을 시프트
  • 명령어가 짧다

즉치주소지정

  • Immediated Addressing Mode
  • Operand의 내용이 연산에 사용될 실제 데이터
  • 프로그램상에서 레지스터나 변수의 초기값을 설정하는데 사용

레지스터 주소지정

  • Register Addressing Mode
  • 레지스터에 데이터가 존재
  • 레지스터를 지정하는 오퍼랜드가 4bit라면 16개의 레지스터를 지정할 수 있음
  • 메모리를 액세스하지 않아 실행시간 단축
  •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 레지스터로 한정

레지스터 간접주소지정

  • Register Indirect Addressing Mode
  • 레지스터의 내용이 유효주소가 되기 때문에 지정된 레지스터의 내용이 메모리 주소가 되어 유효 데이터를 가져옴
  • 레지스터가 10bit면 2^10B, 20bit면 1MB의 메모리 영역을 지정 가능
  • 데이터 인출을 위해 한 번만 메모리를 액세스하면 된다.

직접주소지정

  • Direct Addressing Mode
  • 오퍼랜드가 데이터의 유효주소
  • 데이터 인출을 위해 한 번만 메모리 액세스

간접주소지정

  • Indirect Addressing Mode
  • 오퍼랜드의 데이터가 가리키는 기억장소의 데이터가 유효주소 (2번)
  • 오퍼랜드가 nbit면 최대 2^n개의 주소공간
  • 명령어의 I비트가 0이면 직접주소, 1이면 간접주소

상대주소지정

  • Relative Addressing Mode
  • 명령어의 주소필드에 PC(Program Counter) 값이 더해져서 유효주소가 결정되는 방식
  • 기준 주소는 명령어의 주소, 변위는 PC
  • 주로 분기명령어에서 사용

인덱스된 주소지정

  • Indexed Addressing Mode
  • 인덱스 레지스터의 내용과 주소필드의 내용이 더해져서 유효주소가 결정
  • 기준 주소는 명령어의 주소, 변위는 인덱스 레지스터

베이스 레지스터 주소지정

  • Base Register Addressing Mode
  • 베이스 레지스터의 내용과 주소필드의 내용이 더해져서 유효주소가 결정
  • 기준 주소가 베이스 레지스터, 변위는 명령어의 주소필드

명령어의 종류

데이터 전송명령

  •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고 위치만 옮기는 명령
명령어부호기능
loadLDmem => reg
storeSTreg => mem
moveMOVreg 간 전송
inputIN입력장치 => reg
outputOUTreg => 출력장치
pushPUSHreg => stack
popPOPstack => reg

데이터 처리 명령

  • 실제로 연산이 이뤄지는 명령
  • 산술연산명령어, 논리연산명령어, 비트처리명령어, 시프트명령어로 구분

산술연산

명령어부호기능
addADD덧셈
subtractSUB뺄셈
multiplyMUL곱셈
incrementINCmem, reg 1 증가
decrementDECmem, reg 1 감소
negateNEG2의 보수
add with carryADDC올림수와 함께 덧셈

논리연산

명령어부호기능
ANDAND특정부분 0으로 셋
clearCLR모든 비트 0으로 셋
clear carryCLRC캐리비트를 0으로 셋
enable interruptEI인터럽트 가능
disable interruptDI인터럽트 불가능

시프트

명령어부호기능
logical shift rightSHR오른쪽 논리 시프트
logical shift leftSHL왼쪽 논리 시프트
rotate rightROR현재값 유지하면서 오른쪽 자리이동
rotate lestROL현재값 유지하면서 왼쪽 자리이동

프로그램 제어명령

조건에 따라 PC가 변경되어 수행순서가 달라진다

명령어부호기능
branchBR지정된 주소로 분기
jumpJMP지정된 주소로 점프
skipSKPPC값 증가 후 다음 명령으로 skip
callCALLPC값 저장, 서브루틴 콜
returnRET리턴 주소를 PC에 저장
compareCMP두 수 크기 비교

프로그램 인터럽트

외부 인터럽트

  • 입출력장치, 전원 등 외부 요인으로 발생
  • 입출력장치의 데이터 전송 요구, 정보전송의 마감, timeout, 전원공급이 끊어질 때 발생
  • 프로그램 외적인 상황에서 발생

내부 인터럽트

  • 올바르지 않은 명령어나 데이터 사용시 발생
  • overflow, div 0, stack overflow, 메모리 보호영역 침범 등
  • 프로그램 자체에서 주로 발생

소프트웨어 인터럽트

  • 특수한 CALL 명령어로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위치에서 인터럽트 발생
  • supervisor call instruction
  • 사용자 모드엥서 supervisor 모드로 CPU 상태를 변환

외부 인터럽트 처리

  1. 외부 인터럽트 발생
  2. CPU는 현재 수행하는 명령어의 실행 사이클 종료
  3. 다음 실행할 PC의 내용을 스택에 저장
  4.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의 시작주소를 PC에 저장
  5. 인터럽트 처리 후 스택영역에 저장된 PC를 복구
  6. 프로그램 복귀 후 계속 실행

복합, 단축 명령어 컴퓨터

CISC

  •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 다양한 데이터와 주소방식 제공
  • 많은 명령어와 주소지정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많은 하드웨어 필요
  • 실행속도가 느림

RISC

  •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 Load와 Store를 제외하고는 레지스터 간의 연산으로 구성
  • 고정된 명령어 형식 사용
  • 복잡한 간접주소지정방식은 사용하지 않음

시스템 버스

  • 컴퓨터 시스템의 각각의 장치를 연결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공유전송매체
  • CPU를 중심으로 주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입력장치, 출력장치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로

주소버스

  • Address Bus
  • 주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읽기/쓰기 위해서 주소를 지정하기 위한 선들의 집합
  • 단방향 전송
  • 주소 버스가 16bit이면 2^16 => 65536개의 주소 지정

데이터버스

  • 각각의 장치들 사이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선들의 집합
  • 양방향 전송
  • 버스의 폭은 주소를 지정하고 한 번에 R/W하는 비트의 수
  • 주소당 32bit 씩 데이터를 전송한다면 데이터 버스의 수는 32개

제어버스

  • CPU, I/O장치, Memory 장치를 제어하는 신호선들의 집합
  • 인터럽트 요구 신호
  • 인터럽트 승인 신호
  • 버스요구 신호
  • 버스승인 신호
  • 기억장치 읽기 신호
  • 기억장치 쓰기 신호
  • 입출력장치 읽기 신호
  • 입출력장치 쓰기 신호
  • 리셋 신호
  • 버스 클록
  • 전송 확인 (transfer acknowledge)

동기식버스

  • 클록 펄스에 의해 데이터 전송이 발생
  • 마스터와 슬레이브는 모두 같은 클록 펄스에 동기
  • 인터페이스 회로가 간단
  • 클록의 주기보다 짧은 동작은 다음 주기까지 기다려야하는 단덤

비동기식버스

  • 핸드셰이킹 프로토콜 사용
  • 속도의 차이가 많은 장치에서 사용
  • 복잡
  • 소규모에선 비동기, 중형이상에선 동기방식을 주로 사용

버스중재

  • 동시에 여러 장치에서 버스를 요구할 때 필요 = 버스 경합

중앙집중식 중재방식

  • centralized arbitration scheme
  • 시스템 내에 중재기가 1개

분산식 중재방식

  • decentralized arbitration scheme
  • 여러 개의 버스중재기가 존재

대표적 버스 중재기: 데이지 체인, 폴링 방식

내부버스

  • 칩들 사이에 신호를 전달

외부버스

내부 버스를 경유해 CPU와 상호간을 연결하는 버스

VME

  • VMEbus 컴퓨터 버스 표준
  • 모토로라, 톰슨 사 등이 개발한 32bit, 64bit 버스 규격

멀티 버스

  • 인텔에서 개발한 범용 버스 시스템
  • 현재 산업용으로 사용
  • 멀티플렉서를 통해 다른 소자와 데이터를 송수신
  • 다중처리 가능
  • 마스터나 슬레이브로 동작
  • 마스터는 버스사용권을 얻어 데이터 전송 가능
  • 슬레이브는 스스로 버스를 제어할 수 없음

ISA 버스

  •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bus
  • CPU와 각종 주변장치를 연결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버스 설계 규격
  • AT 버스라고도 한다.
  • 16bit 버스 구조, 현재는 PCI 버스로 대체

EISA 버스

  • 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bus
  • 32bit ISA 버스
  • 비싸서 사용 안함

VESA 로컬 버스

  •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local bus
  • 버스 제어기를 통하지 않고 직접 CPU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

PCI 버스

  • ISA, EISA, VESA의 후속
  • 32bit, 64bit 사용 가능
  • CPU의 종류가 달라도 CPU와 버스 사이의 브릿지 회로만 있으면 사용 가능
  • 독자적으로 작업을 처리할 수 있음

GPIB 버스

  • General Purpose Interface bus
  • 병렬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어할 수 있는 버스
  • 테스트 및 측정장치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자동 테스트 시스템을 만든다.

마이크로 연산

  • 레지스터 사이의 전송정보 동작
  • Micro Operation

레지스터 종류

  • 소자는 플립플롭
  • 고유의 주소값을 가진다.
  • MAR, PC, SP, R0 등
  • 데이터 레지스터, 주소 레지스터, 상태 레지스터로 구분
  • 범용 레지스터 (GPR), 특수레지스터 (SPR)로 구분

주소 레지스터

  • Address Register

MAR

  •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 주소를 먼저 지정

PC

  • 프로그램 카운터
  • 다음 명령어의 주소를 지정
  • PC의 내용은 MAR로 전송되고 MAR의 내용이 주소 버스를 통해 메모리 주소를 지정

SP

  • 스택 포인터
  • 서브루틴 또는 인터럽트가 발생시 현재 레지스터의 내용을 저장하는데 레지스터를 저장하기 위한 스택 영역 메모리의 주소를 기억

CMAR

  • Control Memory Address Register
  • 마이크로프로그램이 있는 메모리의 주소를 기억

XR

  • 인덱스 레지스터
  • 기준 되는 주소에 XR의 변위값을 더해서 유효 주소를 발생
  • 데이터 블록 전송에 사용

BR

  • 베이스 레지스터
  • 베이스 레지스터에 기준이 되는 주소가 있고 여기에 변위값이 더해져 유효주소를 발생

데이터 레지스터

MBR

  • Memory Buffer Register
  • 주기억장치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기록할 때 사용되는 레지스터

ACC

  • ACCucmulator
  • 연산장치의 입력값을 저장하거나 연산이 끝난 후의 결과값을 저장
  • ACC => MBR => 데이터 버스 => 주기억장치 저장

TR

  • T buffer = Temporary Register
  • 연산 중에 중간값을 임시 저장

PSR

  • Program Status Register
  • CPU에서 수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상태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레지스터
  • Carry, Negative, oVerflow, Zero, Interrupt 플래그의 내용 표시

레지스터 전송

직렬전송

  • 한 클록에 1bit씩 전송
  • 워드 타임 (Word time): 4bit 모두 전송하는데 걸리는 시간

병렬전송

  • 데이터 전송이 한 클록 펄스 동안 이루어지는 전송

산술 마이크로 연산

덧셈, 뺄셈, 1 증가, 1 감소, 보수 image from hexo

논리 마이크로 연산

SET

  • 특정 비트를 강제로 1로 만들 때 사용
  • OR 연산

MASK

  • 특정 비트를 강제로 0으로 만들 때 사용
  • AND 연산

Selective Complement

  • 특정 비트를 강제로 보수로 만들 때 사용
  • XOR 연산

시프트 마이크로 연산

논리 시프트

  • Logical Shift
  • 버리고 0 삽입

순환 시프트

  • Circular Shift = Rotate
  • 버린걸 반대편 끝으로 삽입

산술 시프트

  • Arithmatic Shift
  • 부호 비트를 고려하여 수행되는 시프트
  • 부호 비트는 남기고 데이터 비트만 시프트

처리장치의 구성요소

  • ALU: 제어장치에서 명령어를 해독한 다음 실질적으로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
  • 연산장치는 산술연산장치와 논리연산장치로 구성

단일 누산기 CPU의 내부 버스

3개의 레지스터 간 병렬전송

  • 레지스터가 n비트면 6n개의 신호선

단일 버스에 연결된 레지스터 선택회로

  • 4개의 레지스터 선택시 2X4 디코더 필요

ALU

  • 산술/논리 연산장치 = Arithmatic and Logical Unit
  • 산술, 논리, 시프트 등을 수행하는 장치
  • 가산기(산술연산장치), 시프트, 논리연산회로, 보수기(complementer), 상태레지스터(PSR)로 구성

산술연산장치

  • 전가산기를 이용한 병렬 가산기
  • n비트의 2진 병렬가산기는 n개의 전가산기로 구성

image from hexo

상태 레지스터와 flag

  • C: Carry bit
  • S: Sign bit
  • Z: Zero bit, 값이 0일시 1로 셋
  • V: oVerflow bit
  • 연산 결과에 따라 1 또는 0

논리연산장치

  • AND, OR, NOT, XOR
  • 멀티플렉서와 조합논리회로 (& | ! ^) 게이트를 이용하여 구성 가능

시프터

제어단어

  • Control word
  • 하드와이어드 제어방식과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방식 (제어장치 구현방법)
  • 마이크로 프로그램 제어방식은 제어장치 내의 기억장치에 마이크로 명령어를 저장하여 마이크로 연산을 순차적으로 수행시키는데 이 마이크로 명령어를 제어단어라고 한다.

파이프라인 처리구조

  • 명령어 파이프라인: CPU에서 명령어를 읽어 순차적으로 실행, 하나의 명령어가 실행되는 도중에 다른 명령어 실행을 시작하는 식으로 동시에 여러 개의 명령어를 실행하는 기법

실행과정

  • 명령어 인출: Instruction Fetch
  • 명령어 해독: Instruction Decode
  • 오퍼랜드 인출: Operand Fetch
  • 실행: Excute

마이크로프로그램 제어

  • 마이크로 명령어들의 집합

제어장치

  • 주기억장치에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순서대로 읽어옴
  • 명령어를 해독
  • 각 장치에 신호를 보내 프로그램 처리

제어장치 제어기능

  • 오퍼레이션 부분과 오퍼랜드로 구성 (Op Code와 Address)
  • 명령어 수행단계는 인출단계와 실행단계로 나뉨

제어장치 구성

  • IR (Instruction Register): 명령 레지스터, 주기억 장치에서 인출된 명령어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 Instruction Decoder: 명령 해독기, 명령 레지스터로부터 명령코드를 받아서 해독하고 결과는 제어신호 발생기에 전송
  • 제어신호 발생기: 타이밍 발생회로와 제어회로로 구성
  • Program Counter: 프로그램 계수기, 다음 실행될 명령어를 가진 주기억장치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

명령어 수행 과정

  1. PC의 주소를 MAR로 전송
  2. MAR 번지에 있는 명령어를 읽어 MBR로 전송, PC 1 증가
  3. MBR에서 IR로 전송, OP Code와 주소필드를 각각 해독기와 주소 레지스터로 전송
  4. MAR에서 데이터와 Operand 주소를 계산하고 주기억장치에 접근
  5. 제어신호 발생기에서는 연산자를 해독하여 명령수행을 위한 제어신호 발생
  6. 반복

명령어 사이클

상태기능
Fetch1. 명령어를 주기억장치에서 읽음
2. 명령어 해독
3. 1사이클이면 실행 후 fetch로 이동
4. 아니면 유효주소를 계산해 간접주소면 indirect, 직접이면 execute
Indirect1. 주소를 주기억장치에서 읽음
2. 간접주소이면 다시 indirect
3. 분기명령이면 실행 후 fetch
4. 아니면 execute
Execute1.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서 읽음
2. 실행 후 fetch
Interrupt1. PC 내용을 스택에 저장
2. PC는 인터럽트 시작주소로 변경
3. PSR I bit에 1 처리
4. 인터럽트 처리루틴의 fetch로 이동
플리플롭메이저 상태
0 0Fetch
0 1Indirect
1 0Execute
1 1Interrupt

Fetch Cycle

  1. MAR <= PC
  2. MBR <= M[MAR], PC <= PC + 1
  3. IR <= MBR

Indirect Cycle

  1. MAR <= IR(addr)
  2. MBR <= M[MAR]
  3. IR(addr) <= MBR

Execute Cycle

  • ADD X
    1. MBR <= M[MAR]
    2. AC <= AC + MBR
  • LDA X: X번지에서 데이터를 읽어 누산기에 저장하는 명령어 (LOAD)
    1. MBR <= M[MAR]
    2. AC <= MBR
  • STA X: 누산기의 내용을 X번지에 저장하는 명령어 (STORE)
    1. M[MAR] <= AC
  • ISZ X: X번지의 내용을 1증가 시키고 결과값이 0이면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지 않고 건너뛰는 명령 (Increment & Skip if Zero)
    1. MBR <= M[MAR]
    2. MBR <= MBR + 1
    3. M[MAR] <= MBR, if( MBR = 0 ) then ( PC <= PC + 1 )
  • AND X: 누산기와 X번지 내용을 AND 연산해 결과값을 누산기에 저장하는 명령어
    1. MBR <= M[MAR]
    2. AC <= AC & MBR

Interrupt Cycle

  1. MBR <= PC
  2. MAR <= SP, PC <= ISR (Interrupt Service Routine)
  3. M[MAR] <= MBR

마이크로 연산

한 개의 클록펄스 동안 레지스터의 데이터가 실행하는 기본 동작

수평 마이크로 명령어

  • 제어신호필드, 조건분기필드, 주소필드
  • 마이크로 명령어는 0, 1로 제어신호 출력
  • 한 개의 비트가 하나의 마이크로 연산을 지정
  • 조건분기필드는 branch에 사용
  • 주소필드는 다음에 실행될 마이크로 명령어의 주소 지정
  • 동작속도가 빠르고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장점
  • 긴 제어단어가 필요해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

수직 마이크로 명령어

  • 디코딩을 통해 제어신호 발생
  • 제어단어의 비트 수가 줄어든다
  • nbit로 2^n개의 마이크로 연산 표시 가능
  • 디코더 필요

단일 사이클 제어

모든 레지스터의 이동은 클록 펄스에 의해 제어

  • 마이크로 사이클: 하나의 마이크로 연산이 수행되는 과정
  •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
  •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마이크로 사이클 동작
  • 동기식과 비동기식으로 구분
  • 하드웨어 제어방식
  • 1개의 클록 사이클에 1개의 명령어를 실행

동기 고정식

  • 가장 수행시간이 긴 것을 사이클 타임으로 설정
  • 모든 마이크로 연산의 시간이 유사한 경우 사용
  • 구현 간단
  • CPU 처리시간 낭비 발생

동기 가변식

  • 유사한 것끼리 몇 개의 군으로 모아서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설정
  • CPU의 성능을 높이고 전체적으로 속도 향상
  • 제어 복잡

비동기식

  • 각각의 마이크로 연산에 대해 서로 다른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설정
  • 하나의 마이크로 연산이 끝나면 다음 마이크로 연산 타임이 신호가 발생
  • 복잡해서 안 사용함

하드웨어 제어

2X2bit 인 경우 4개의 AND 게이트와 2개의 반가산기 필요

파이프라인 제어

하나의 프로세서를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여러 개의 서브 프로세서로 나누어 각 프로세서가 동시에 서로 다른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는 기법

명령어 집합

마이크로 명령어의 형식

  • 연산 필드
  • 조건 필드: 상태 비트 조건 선택 필드
  • 분기 필드
  • 주소 필드: 다음 주소 지정

처리장치

명령어 해독기

  • instruction decoder
  • op code를 해독하고 연산의 시작주소를 결정

제어주소 레지스터

  • CAR = Control Address Register
  • 제어 메모리의 주소를 지정하는 레지스터
  • 다음 실행할 마이크로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

제어기억장치

  • Control Memory
  • 마이크로프로그램이 저장된 내부기억장치

제어 버퍼 레지스터

  • CBR = Control Buffer Register
  • 제어 메모리에서 읽은 마이크로 명령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

서브루틴 레지스터

  • SBR = Subroutine Register
  • 서브루틴이 발생한 경우 현재 제어주소 레지스터(CAR)의 내용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

순서제어 모듈

  • Sequencing Module
  • 마이크로 명령어의 실행순서를 결정하는 모듈

명령어 주소 결정

  1. 제어주소 레지스터 1 증가
  2. 무조건 분기와 상태 비트 조건에 따른 조건부 분기
  3. 명령어의 op code로부터 제어기억장치의 주소로 매핑
  4. 서브루틴 call, return

제어기

순서 레지스터와 디코더를 이용한 방식

  • 각 상태마다 하나의 출력신호가 발생하도록 디코더를 사용
  • nbit의 순서 레지스터는 n개의 플리플롭과 게이트로 구성
  • 2bit의 경우 2^2 = 4개의 상태 표시, 2X4 디코더 필요

상태 플리플롭을 이용한 제어방식

  • 각 상태에 한 개의 플립플롭이 필요
  • 한 순간에 여러 개의 플립플롭 중에 단 한 개만 1이 된다.
  • 다수의 플립플롭이 필요
  • 상태 수가 증가하면 상당히 복잡해진다
  • 설계는 간편

CISC

  •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 다양한 어드레싱 기능
  • 명령어 길이와 실행시간이 가변적
  • 명령어 복잡

RISC

  • CPU의 명령어 개수를 줄여 하드웨어 구조를 좀 더 간단하게 만드는 방식
  • 높은 처리속도
  • 단순 구조
  • 주기억장치 액세스 명령어의 제한
  • 주소지정방식의 단순화

사상(Mapping): 각 명령어의 실행 전용 루틴을 찾는 것

기억장치

참조 지역성

공간적 지역성

  • Spatial locality
  • 특정 데이터가 참조되면 그 부근의 데이터가 참조될 확률이 높아짐

시간적 지역성

  • 특정 데이터를 액세스하면 빠른 시간 내에 그 데이터를 다시 참조하는 확률이 높음
  • 캐시의 이유

기억장치 성능평가 요인

  • 기억용량: capacity
  • 접근시간: access time
  • 사이클타임: 하나의 액세스 시작부터 다음 액세스를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
  • 기억장치 대역폭: bandwidth 1초동안 송수신할 수 있는 비트 수
  • 가격

속도 순서: 레지스터 > 캐시 > 주기억장치 > 보조기억장치 (디스크 > 테이프)

주기억장치

폰 노이만 병목현상: 주기억장치를 이용하는데 CPU와 입출력장치가 경쟁해 주기억장치에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것

복수모듈기억장치

  • 독자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억장치 모듈을 여러 개 가진 기억장치
  • 기억장치 버스를 시분할하여 사용

메모리 인터리빙

CPU가 각 모듈로 전송할 주소를 교대로 배치한 후 차례대로 전송하여 여러 모듈을 병행 접근하는 기법

  • 기억장치 접근시간을 효율적으로 높임
  • 캐시, 고속 DMA 전송에 사용
  • 각 모듈을 번갈아가며 접근 가능

연관기억장치

  • CAM = Content Addressable Memory)
  • 워드에 접근하여 원하는 정보를 찾는 기억장치
  • bit serial, bit parallel 구조
  • 내용에 의한 검색
  • 캐시 내부에서 사용
  • 외부 인자와 내용을 비교하기 위해 병렬판독논리회로, 하드웨어 장치가 필요

캐시기억장치

  • 주기억장치보다 빠른 기억소자로 구성해 CPU와 주기억장치 속도차를 줄임
  • 주기억장치에서 캐시로 워드를 전송할 때 그 주위 워드도 같이 전송됨 => 그 블록을 캐시로 이동
  • 히트: 액세스하려는 단어가 캐시에 있을 경우
  • 미스: 액세스하려는 단어가 캐시에 없을 경우
  • 캐시에 공간이 없으면 희생 블록을 선택해야한다.

적중률 = 히트 수 / 전체 메모리 참조 수 교체알고리즘: FIFO, random, LRU (미사용 중 가장 오래된 것부터), LFU (최소 사용부터)

캐시 사상방식

  • 직접사상: tag와 index 필요, 캐시와 주기억장치 인덱스 부분이 같은 경우에만 데이터가 저장
  • 연관사상: 데이터와 주기억장치의 주소도 함께 저장
  • 집합연관사상: 캐시 인덱스에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데이터 블록을 저장

가상기억장치

  • 대용량 보조기억장치 일부를 주기억장치로 사용
  • 프로그램 명령어가 사용하는 주소를 가상주소, 주기억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주소를 물리적 주소
  • CPU에서 참조하는 가상주소는 주기억장치의 실제 주소로 변환되어야 하며 이 것을 사상(mapping) 이라고 함
  • 사상방식에는 페이징 기법과 세그먼트 기법이 있다.

페이징 기법

  • 가상기억공간과 실제기억공간의 프로그램 블록의 크기가 같고 각 블록의 크기도 모두 동일할 때 이 블록을 페이지라고 한다.
  • 주기억장치에서 페이지를 찾지 못하는 경우를 page fault

세그먼트 기법

  • 프로그램의 논리적 구조에 따라 세그먼트를 다양하게 나누는 방법

보조기억장치

자기디스크

  • 블록: 자기디스크에서 주소에 의해 지정될 수 있는 정보의 단위
  • 트랙: 디스크 표면의 동심원
  • 헤드가 트랙을 지나가며 R/W
  • 액세스 암: 금속 끝에 헤드가 달려 있음
  • 이동 헤드 디스크: 플로피
  • 고정 헤드 디스크: 하드
  • 탐색시간: 헤드를 트랙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 회전지연시간: 섹터의 시작주소에 헤더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 전송시간: 섹터에서 데이터를 읽어 주기억장치로 옮기는 데 걸리는 시간
  • 디스크 access time = seek time + rotational delay + transfer time

자기테이프

  • 순차접근방식
  • 용량이 커 장시간 보관 용도로 사용
  • DEBDIC 코드는 9트랙, BCD 코드는 7트랙
  • BPI: Byte Per Inch 1인치당 저장하는 바이트 수
  • 시작점은 BOT 끝점은 EOT
  • IRG: Inter Record Gap 레코드 사이의 갭
  • IBG: Inter Block Gap 블록 사이의 갭

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여러 개의 하드를 하나듸 하드로 다루는 방법

  • 하드웨어 RAID: 안정적이지만 고가
  • 소프트웨어 RAID: 운영체제에서 레이드 구성, 신뢰성은 떨어져도 저렴하게 데이터 저장 가능
  • 디스크 인터리빙: 데이터를 여러 개의 디스크에 분산 저장하는 기술

RAID-0

  • 빠른 입출력을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를 여러 개의 하드에 분산 저장하는 스트라이핑 방법 사용
  • 하나의 디스크에 저장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여러 개의 디스크에 동시적으로 분산하여 저장하는 방식
  • 동영상 편집과 출판에 적합
  • 장애 발생시 뻑남

RAID-1

  • 미러링 기법
  • 한 드라이브에 기록되는 모든 데이터를 다른 드라이브로 복사
  • 하드 용량을 50%만 사용가능

RAID-2

  • 에러 검출 능력이 없는 드라이브를 위해 검사 디스크를 추가하고 해밍코드로 에러 검출 및 정정
  • 요즘은 오류 검출기능을 달고 나와서 거의 안씀

RAID-3

  • RAID-0의 빠른 I/O에 에러 보정 기술이 추가
  • 별도의 패리티 드라이브를 사용
  • 장애시 패리티 정보를 이용한 복구 가능

RAID-4

  • RAID-3에다가 각 드라이브에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분산 저장
  • 데이터 출력시 빠른 성능이지만 저장시 패리티 블록도 변경해야하는 단점
  • 최소 3개의 드라이브

RAID-5

  • RAID-3과 4의 단점 보완
  • 패리티 갱신을 위한 디스크 액세스가 분산되어 패리티 디스크에 대한 병목현상이 사라져 쓰기를 병렬로 수행 가능

RAID-6

  • RIAD-5에 다차원 패리티 체계를 구축한 시스템
  • 2개의 패리티 블록을 저장
  • 쓰기시 2개의 패리티를 갱신해야함

광기억장치

CD-ROM

  •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 데이터는 트랙에 따라 순차적 저장
  • 액세스는 순차적이 아닌 직접 액세스 방식

DVD

  • 용량은 4.7~8.5GB
  • 2장의 얇은 디스크가 겹쳐져 있는 형태

1ns = 10^-9 s

입출력 제어기

입출력장치

  • 데이터를 저장하고 시스템에서 처리한 결과를 출력

입출력장치 제어기

  • 입출력장치를 움직이는 구동장치
  • 보통 입출력 장치에 포함

입출력장치 인터페이스

  • 입출력 포트 = I/O port
  • CPU 내부 레지스터와 입출력장치 간의 정보전송을 제어

입출력 버스

  • 데이터 전달 경로
  • 고성능 시스템에서는 입출력 제어기를 통해 주기억장치 버스에 연결

주기억장치 버스

  • 주소 버스
  • 데이터 버스
  • 제어 버스

CPU에 의한 입출력 => DMA에 의한 입출력 => 채널에 의한 입출력

버스

  • 버스에 연결된 장치는 master와 slave로 나뉨
  • master는 데이터 전달회선의 사용권 획득 및 실제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어
  • slave는 데이터 전달에 필요한 작업을 하는 장치

주기억장치버스

  • 주기억장치의 데이터 버스 비트 수는 주기억장치 워드의 비트수와 같다
  • R/W

입출력 버스

  • 입출력에만 이용
  • 한 쪽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다른 쪽에는 입출력 제어기
  • 입출력 데이터 버스의 비트 수는 1Byte
  • 양방향
  • 주소버스의 bit는 장치번호의 bit 수와 같다.

버스 중재 방식

중앙집중식 병렬중재

  • centralized parallel arbitration
  • 하나의 버스에 하나의 중재기를 사용하는 방식
  • 모든 장치는 각각 버스 요청과 버스 허용회선에 의해 중재기에 연결됨
  • 중재기 내의 장치들의 우선순위를 정해주는 논리회로가 있어야한다.

데이지 체인

  • 직렬중재 = daisy chain
  • 중재기 버스 사용의 우선순위는 외부 데이지 체인 하드웨어에서 결정
  • 우선순위 높은 장치가 버스를 독점할 수 있다.
  • 직렬연결이라 한 장치가 고장나면 다음 장치는 버스허용신호를 못 받는다.

폴링

  • polling = 주기적 검사방식
  • 버스중재기가 각 master에게 버스 사용 여부를 체크하는 방식
  • 하드웨어 폴링: 버스 중재를 위해 폴링 회선이 따로 중재기와 각 장치에 연결, 중재기가 각 장치의 고유번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므로 버스 사용권을 받기까지 시간이 길다.
  • 소프트웨어 폴링: 폴링의 순서를 CPU가 관리하는 방식으로 우선 순위 또는 융통성이 좋다. 하드웨어보다 느리다.

전송 제어 방식

스트로브 제어

  • 데이터 전송시간을 맞추기 위해 제어회선이 추가
  • 제어회선을 통해 송수신측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제어신호를 보낸다.
  • 수신쪽에서 데이터를 받았는지, 송신쪽에서 데이터를 보냈는지 확인 불가

핸드쉐이킹

입출력장치 인터페이스

Busy Done입출력 데이터 버퍼 상태
0 0입출력장치 휴지 상태
0 1금지 상태
1 0입출력 작업 중 상태
1 1입력 데이터 버퍼에서 데이터를 읽거나 출력 데이터 버퍼에서 데이터를 기억시킬 수 있는 상태

데이터 전달방법

직렬전송방식

입출력장치 인터페이스 내에 있는 입출력 데이터 버퍼는 시프트 레지스터

병렬전송방식

CPU 내의 레지스터 사이 데이터 전송방법과 같다.

에러 체크

  • 패리티 비트: 데이터를 첨가하는 비트가 1bit
  • 되울림: echo back 키보드에 입력한 문자를 화면에 나타내어 확인
  • 입출력 반복: retry 한 바이트가 잘못 읽어지면 반복해서 읽어오는 방식
  • 오류검사/수정코드: 오류가 검출될 때 수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음

입출력 제어기

주기억장치 사상 입출력

하나의 공통된 버스를 공유하는 입출력 시스템에서 주소를 지정하는 방식으로는 기억장치사상 입출력 방식과 고립형 입출력 방식이 있다.

기억장치 사상 입출력

  • 하나의 주소공간
  • 공통의 버스와 제어선

고립형 입출력

  • 입출력장치의 주소영역은 주기억장치의 주소영역과는 별도로 지정
  • 분리된 제어신호
  • 2개의 제어선으로 지정된 주소가 주기억장치 워드에 해당되는지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 레지스터를 지정하는 것인지 구분

CPU에 의한 입출력

프로그램에 의한 입출력 방식

  • CPU가 입출력장치의 처음부터 끝까지 제어
  • 저속 컴퓨터에 적합
  • 매번 플래그 검사를 해야하기 때문에 가장 비효율적

인터럽트 처리에 의한 입출력 방식

  • 전송할 데이터가 준비되면 인터페이스가 CPU에 입출력을 요청하는 인터럽트 발생

DMA를 사용한 입출력

  • CPU의 개입 없이 입출력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데이터를 직접 전송시키는 방법
  • Direct Memory Access
  • DMA에 의한 입출력이 수행되면 CPU는 주기억장치 버스를 제어하지 못함
  • DMA 제어기 신호: 버스 요청, 버스 승인, 인터럽트 신호
  • DMA 전송 방식
    • DMA burst transfer: DMA 대량전송 방식, DMA가 주기억장치 제어권을 가지고 있을 때 여러 개의 워드로 구성된 블록이 연속으로 전송
    • 사이클 스틸 방식: 한 번에 하나의 데이터 원드를 전송하고 주기억장치의 버스 제어를 CPU에 돌려줌

채널에 의한 입출력

  • DMA는 초기화 데이터가 필요하며, 여러 입출력장치가 있을 때 많은 DMA 제어기가 필요
  • 입출력 장치와 직접 통신하는 전용 프로세서
  • CPU와 동급의 성능
  • 고유의 입출력 명령어를 인출하고 실행
  • 산술, 논리, 연산작업 수행 가능

selector channel

  • 선택된 입출력장치의 모든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어느 한 입출력장치의 전용인 것처럼 운용되는 채널
  • 고속 입출력 장치와 입출력을 위해 사용
  • burst 방식으로 블록 데이터 전송

바이트 멀티플렉서 채널

  • 하나의 채널에 저속에 많은 입출력장치를 구동시키는데 알맞은 방식
  • 채널을 시분할 공유

블록 멀티플렉서 채널

  • 동시에 여러 고속 입출력장치를 공유하여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
  • 대형 컴퓨터

채널 제어기의 연결형태: 고정 채널 제어기, 가변 채널 제어기 CPU가 DMA제어에 보내는 초기화정보: R/W를 수행할 주기억장치의 시작주소, 전송할 데이터 워드 카운트, R/W 전송모드 지정, 입출력 수행할 장치주소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

  • 처리능력: Throughput 작업량
  • 처리속도: response time
  • 신뢰도: reliability 정확하게 해결하는지
  • 사용 가능도: usability 신속하게 사용 가능한지

처리속도

MIPS

  • Millions of Instruction Per Second
  • 1초에 처리되는 총 명령어의 수
  • 1MIPS는 1초에 106개 명령어

MFLOPS

  • Millions of Floating-Point Operation Per Second
  • 메가플롭스
  • 부동 소숫점 처리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 1MFLOPS는 초당 10^6개 부동소수점 연산 가능

병렬컴퓨터

플린의 분류

SISD

  • Single Instruction stream, Single Data stream
  • 명령어가 하나씩 순차로 실행
  • 현재 많이 쓰는 컴퓨터 구조

SIMD

  • Single Instruction stream, Multiple Data stream
  • 배열처리기 = array processor
  • 모든 처리기들의 동작은 모두 하나의 제어장치의 지시를 받음

MISD

  • 여러 개의 처리기에서 수행되는 명령어는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을 갖고 있는 형태
  • 사용하지 않음

MIMD

  • 대부분의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과 다중 컴퓨터시스템
  • 처리기들간의 상호작용 정도에 따라 밀결합 시스템, 소결합 시스템으로 나뉨
  • 밀결합 시스템: tightly coupled system, 공유기억장치구조,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
  • 소결합 시스템: loosely coupled system, 지역기억장치를 가진 독립적인 컴퓨터 모듈, 프로세서 간 메세지 방식 통신, 다중 컴퓨터 시스템

팽의 분류

병렬 수행정도에 따라 분류

  • WSBS: Word-Serial, Bit-Serial
  • WPBS: Word-Parallel, Bit-Serial
  • WSBP: Word-Serial, Bit-Parallel
  • WPBP: Word-Parallel, Bit-Parallel

WBSP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한 번에 한 워드씩 처리

구조에 의한 분류

  • 분산처리: 하드웨어 자원이 프로세스 작업에 대해 상대적으로 약하게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 컴퓨터 네트워크 등
  • 병렬처리: 프로세스 작업에 대해 강하게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 다중컴퓨터, 다중처리기로 구분됨

공유기억장치 시스템

  • 공유기억장치를 갖는 다중처리기구조는 처리기와 기억장치 모듈사이에 완전한 연결성이 있는 강결합 시스템
  • 기억장치 요청이 지역적인지 비지역적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기억장치 대응장치(MMU: Memory Mapping Unit)이 필요

메세지 전달 시스템

  • 데이터 통신이 메세지를 통해 이뤄짐
  • 메세지는 여러 개의 고정된 길이를 갖는 패킷으로 구성
  • 단순성과 확장성의 성질을 포함해 대규모에서 좋은 성능

다중 프로세서의 고려사항

  • 병렬성
  • 기억장치 (충돌, 접근 효율성, 캐시 일관성)
  • 스케줄링
  • 동기화
  • 시스템 균형

병렬처리기

파이프라인 처리기

시간적 병렬성 활용

파이프라인: 하나의 프로세스를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여러 개의 서브프로세스로 나ㅜ너 각 서브프로세스가 서로 다른 데이터를 취급하도록 하는 방식

배열 처리기

  • 처리장치(PE)를 배열 형태로 갖고 있음
  • PE는 레지스터, 연산장치, 지역기억장치로 구성
  • PE는 상호연결망에 의해 데이터 교환 가능
  • 벡터, 행렬 계산에 사용

다중처리기

  • multiple processor
  • 시스템상의 여러 처리기들에 여러 개의 독립적인 작업을 각각 배정하여 2개 이상의 처리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시스템
  • 하드웨어 시스템 구성은 주로 기억장치와 처리기, 기억장치와 입출력 채널 간 상호연결구조에 의해 결정

데이터 흐름 컴퓨터

  • 프로그램 내의 모든 명령어를 수행에 필요한 피연산자들이 모두 준비될 때 명령어의 순서와 관계없이 수행시키는 것
  • Data Driven 방식

VLSI 처리기

  • 병렬 알고리즘을 직접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처리기
  • 파이프라인 기법을 이용한 다중처리 기법
  • systolic array 구조가 있는데 영상이나 신호처리를 위한 특수분야에 사용

상호연결망 구조

처리요소를 가진 병렬시스템에서 처리요소와 기억장치 사이를 연결해주는 네트워크

  • 대역폭: bandwidth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전송률, 단위는 MB/s
  • 네트워크 지연: 네트워크를 통해 메세지 전송시 소요되는 지연시간
  • 기능성: functionality 네트워크 데이터 경로설정, 동기화, 인터럽트 처리 및 메세지 송수신과 같은 동작을 어느정도 지원해 주는지
  • 확장가능성: scalability 새로운 하드웨어 추가시 네트워크 확장이 가능한지
  • 하드웨어 복잡성: hardware complexity 네트워크 구현시 필요한 하드웨어, 부품의 수와 복잡성

정적 상호연결망

성형

허브에 모두 연결됨

선형

노드가 차례대로 연결

링형

선형의 끝이 연결된 원형

2진 트리

완전한 트리형태, 통신거리가 상대적으로 김

펫 트리

채널의 크기가 상위계층으로 올라갈 수록 커져서 상위 수준에서의 병목현상 해결

메시, 토러스

노드가 2차원 사방으로 연결, 배열처리기에 적합

하이퍼큐브

  • 처리기의 수가 증가하면 연결점 및 하드웨어가 급증하므로 많은 처리기를 연결할 때 좋은 효율
  • 높은 확장성
  • 모든 노드가 같은 경로배정방법 사용 가능

동적 상호연결망

버스

  • 단일 버스 구조: 미니컴퓨터나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사용
  • 다중 버스 구조: 고성능 시스템

크로스바

  • 네트워크 규모가 커지면 비용이 크지만 지역적인 기반구조로 유용
  • P개의 처리기와 M개의 기억장치 모듈을 동시에 연결

다단계 네트워크

  • multistage network
  • 근원지와 목적지 사이에 여러 개의 스위치 요소가 있는 상호연결망

파이프라이닝

  • 어떤 일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일을 여러 단계로 나눠 중첩하여 실행함으로써 선능을 높이는 방법
  • 수행 단계별로 2단계, 4단계, 6단계가 있다.

Vue Developer Tools 켜기

· One min read

Devtools inspection is not available because it's in production mode 란 메세지와 함께 Vue 개발자 도구가 표시되지 않을 경우에 script 상단에 아래 구문을 추가한다.

Vue.config.devtools = true;

개발자 도구에 Vue 탭이 없을 때

ctrl+shift+i 키를 Vue 탭이 보일 때 까지 반복해서 눌러준다.

Laravel 5.5로 업그레이드

· 2 min read

Laravel 5.4 에서 5.5 로 업그레이드 후기

공홈을 참조해도 된다. composer.json에서 아래 패키지의 버전을 바꿔준다.

dependencies

  • laravel/framework: 5.5.*
  • phpunit/phpunit: ~6.0

dev-dependencies

  • filp/whoops: ~2.0
$ composer clearcache
$ composer update

이슈

Session, DB 문제

$ php artisan cache:clear

const UPDATE_AT 문제

const UPDATED_AT = null;처럼 timestamps 필드 중 하나를 disable 했을 때 5.5 버전에선 오류가 발생한다. 아래 처럼 모델에 setUpdatedAt 함수를 추가해주면 된다.

<?php
public function setUpdatedAt($value) {
return $this;
}

request has 문제

request->has와 같은 기능으로 동작하려면 request->filled로 바꿔줘야한다.

<?php
// 5.5에서는 name 값이 비던 안 비던 true
if ($request->has('name')) {

}

// 이게 구버전 has의 기능과 동일하다.
// name 값이 있을 경우만 true
if ($request->filled('name')) {

}

Laravel - Socialite InvalidStateException

· One min read

가끔 가다가 인증이 안 되는 경우가 있다.

stateless

Socialite::driver('인증 타입')->stateless()->user(); 로 가져오자.

session 명 변경

config/session.phpcookie 값을 변경해준다.

session domain 변경

config/session.phpdomain 값을 null 에서 내 도메인으로 변경한다.

그리고 아래 두 명령어를 실행해주자.

$ php artisan cache:clear
$ composer dump-autoload

여담

socialite 설명에선 나오지 않았지만, Socialite 구문을 try/catch로 감싸주는게 좋았다.

<?php
try {
$user = Socialite::driver('facebook')->stateless()->user();
} catch (\Exception $e) {
return redirect()->route('login');
}

Laravel Query Logging, 쿼리 로그

· One min read

Laravel DebugBar 를 이용하는게 편하지만 dump 나 json 리턴시에 DebugBar 가 보이지 않으므로 직접 찍어줘야하는 경우가 많다.

<?php
# DB 파사드를 추가한다.
use DB;
...

public function your_func(Request $request) {
// 로그를 enable 시키고
DB::enableQueryLog();
// 쿼리를 여기에 실행한다.
Member::where('조건', '값')->get();
Product::find(1);

// 쿼리 로그를 찍는다.
$queryLogs = DB::getQueryLog();
dump($queryLogs);
}

결과

배열에 query, bindings (preparedStatement 를 위한 것), time 이 상세하게 나온다.

Laravel 5.5 - Debugbar와 BrowserSync의 충돌 해결

· One min read

Laravel Mix로 browserSync 옵션을 활성화 시에 Debugbar가 생기지 않는 오류가 발생할 경우 (스크립트 단에서 JSON parse 오류가 발생한다) 다음과 같이 설정해주면 된다.

webpack.mix.js
mix.browserSync({
proxy: {
// artisan serve시의 주소
target: "localhost:8000",
reqHeaders: function () {
// host를 직접 지정해준다.
return {
host: "localhost:3000",
};
},
},
});

Cannot start container iptables failed

· One min read

Container를 다시 올릴 때 다음과 같은 오류로 올라가지 않는 경우가 있다. docker kill이 아닌 stop, rm으로 container를 지웠을 때 뭔가 충돌이 나는 것 같다.

Error response from daemon: Cannot start container aca936f2822fce32235e627ff539c58b74b2f4e66cfa701de47ce609e2590d13: iptables failed: iptables -t nat -A DOCKER -p tcp -d 0/0 --dport 50000 -j DNAT --to-destination 172.17.0.10:50000 ! -i docker0: iptables: No chain/target/match by that name.
(exit status 1)

해결

이 중 마음에 드는 방법으로 해결하면 된다.

서비스 restart

docker 서비스를 restart 한다.

iptables rule 추가

오류 메세지에 필요한 rule을 추가한다.

$ iptables -t filter -N DOCKER
$ iptables -t nat -N DOCKER

AWS CodeCommit 사용하기

· 5 min read

AWS 에서 제공하는 Cloud Git Repository 인 CodeCommit 으로 소스코드를 관리해보자.

공식 문서가 아주 잘 되어있다. 문서를 보고 시작해도 된다.

IAM 유저 생성

IAM 에서 유저를 만든 뒤에 AWSCodeCommitFullAccess 권한을 추가한다.

키 파일 업로드

ssh 키를 생성하고 Public Key 파일(id_rsa.pub)을 해당 유저의 Security credentials 메뉴에서 업로드한다. 키가 등록되면 SSH key ID가 보이는데 메모해 놓자.

config

사용할 유저의 ssh config 를 설정해줘야한다. User 에 들어가는 값은 위에서 적어놓은 SSH key ID 값이다.

$ vi ~/.ssh/config

# 아래 내용을 맨 위에 넣어주자.
Host git-codecommit.*.amazonaws.com
User EXAMPLEEXAMPLEEXAMPLE
IdentityFile ~/.ssh/id_rsa

# 저장한 뒤 권한을 바꿔준다.
chmod 600 ~/.ssh/config

테스트

설정이 완료된 후에 서울리젼으로 ssh 연결을 시도해보자.

$ ssh git-codecommit.ap-northeast-2.amazonaws.com

#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리턴되면 성공이다.
You have successfully authenticated over SSH. You can use Git to interact with AWS CodeCommit. Interactive shells are not supported.Connection to git-codecommit.
ap-northeast-2.amazonaws.com closed by remote host.
Connection to git-codecommit.ap-northeast-2.amazonaws.com closed.

연동

이제 AWS CodeCommit 과 내 소스를 연결시켜보자.

# 이미 존재하는 프로젝트의 경우
$ git remote remove origin
$ git remote add origin ssh://git-codecommit.ap-northeast-2.amazonaws.com/v1/repos/레파지토리명

# 처음 시작하는 경우
$ git clone ssh://git-codecommit.ap-northeast-2.amazonaws.com/v1/repos/레파지토리명

# 권한이 없거나 ssh 계정을 물어볼 때
# origin의 path 앞에 SSH key ID를 추가하자
$ git remote add origin ssh://EXAMPLEEXAMPLEEXAMPLE@git-codecommit.ap-northeast-2.amazonaws.com/v1/repos/레파지토리명

git pull origin master시에 정상적으로 가져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ssh 연동이 잘 되지 않을시

메뉴얼대로 따라해도 연동이 안될 때는 당황하지 말고 IAM > Users > Security credentials에서 HTTPS Git credentials for AWS CodeCommit를 만들어주고 CodeCommit Repository 연결을 http로 하면 된다.

Webhook

Github, Bitbucket 와 달리 Webhook 설정하는 법이 조금은 복잡하다. (GCP 의 Pub/Sub 와 비슷한 느낌)

CodeDeploy 서비스를 사용하면 쉬워질 것 같은데, 그럼 CodePipeline 도 쓰고 싶을 것 같고 CI 세팅을 해야되고 다음 기회에

Lambda

람다는 웹(URL)으로 호출할 수 있는 Javascript function 이다.

설정

먼저 Lambda > 함수 > 함수생성 > 새로 작성 메뉴에서 webhook 이란 이름의 함수를 생성한다. 트리거 구성 메뉴에서 CodeCommit 을 선택하고 입력 폼을 잘 채워주자.

image from hexo

기존 브랜치로 푸시, master 브랜치를 선택했다. 사용자 지정데이터에는 webhook 을 걸 URL 경로를 넣어준다. (예: https://yourdomain.com/webhook)

소스

이미 세팅된 함수를 사용하자.

"use strict";

const url = require("url");
const https = require("https");

exports.handler = (event, context, callback) => {
const webhook_url = event.Records[0].customData;

if (!webhook_url) {
const error = new Error("Web-hook URL not provided as custom data.");
callback(error);
} else {
console.log("POST web-hook to " + webhook_url);
const options = url.parse(webhook_url);
options["method"] = "POST";

const req = https.request(options, (res) => {
let body = "";
console.log("Status:", res.statusCode);
console.log("Headers:", JSON.stringify(res.headers));
res.setEncoding("utf8");
res.on("data", (chunk) => (body += chunk));
res.on("end", () => {
console.log("Successfully triggered web-hook.");
// If we know it's JSON, parse it.
if (res.headers["content-type"] === "application/json") {
body = JSON.parse(body);
}
callback(null, body);
});
});

req.on("error", callback);
req.end();
}
};

https 커넥션이 아닌 경우 http 모듈을 사용해서 request 를 보내면 될 것 같다.

등록 후엔 CodeCommit > 트리거 > webhook > 트리거 테스트를 진행하면 정상적으로 호출이 된다.

로그

호출 로그는 CloudWatch > 로그에서 생성한 Lambda 명으로 확인할 수 있다.

로그 스트림이 설정되지 않았을 경우엔 Lambda > 구성 > 기존 역할에 표시된 역할(Rule)이 해당 Lambda 함수를 잡고 있는지 확인해야한다. IAM > Rules > 해당 룰 > Permissions에서 Show policy를 누르면 Resource 속성에서 확인할 수 있고 다르다면 제대로 연결시켜주면 된다.

여담

AWS Korea week in review에 소개되었다.

Laravel 5.5 - Log Permission 문제

· 4 min read

웹 서버의 유저로 로그 파일이 생성되어야 하는데, 어느 순간부터 root:root 권한을 달고 daliy log 가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여러가지 경우의 수가 있는데, 맞는 조건을 찾아서 Permission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처리해보자.

storage 에는 쓰기권한이 있어야한다.

$ chcon -R -t httpd_sys_rw_content_t storage

WebServer user

웹 서버의 유저가 다르게 설정 되어있을 때 권한이 바뀔 수 있다. 서버 설정을 열어서 유저가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자.

nginx.conf
user nginx;

php-fpm user

php-fpm 에서 설정하는 user 와 group 이 다르게 설정 되어 있을 때 권한이 바뀔 수 있다. php-fpm 설정을 열어 유저가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자.

php-fpm.d/www.conf
user = nginx
group = nginx

listen.owner = nginx
listen.group = nginx

log rotate

로그 파일이 너무 커지는 걸 막기위해 log rotate 설정이 되어있다면 권한이 바뀔 수 있다. logrotate 가 cron 에 물려 있는지 설정을 확인해보자.

/etc/logroate.d/*
$ pwd
/etc/logroate.d

$ vi nginx
$ vi php-fpm

cron 사용시

crontab 의 경우 root 유저로 실행이 되면 cron 에서 Laravel 을 호출할 때 log 가 root 권한으로 생성될 수 있다.

로그 분기

log 파일을 생성하는 프로세스별로 분기해서 해결할 수 있다. Stackoverflow 참조

bootstrap/app.php
$app->configureMonologUsing(function(Monolog\Logger $monolog) {
$filename = storage_path('logs/laravel-'.php_sapi_name().'.log');
$handler = new Monolog\Handler\RotatingFileHandler($filename);
$monolog->pushHandler($handler);
});

설정을 추가해 놓으면 logs 폴더 하위에 다음과 같이 로그가 분기되어 생성된다.

storage/logs
$ ls -al .
-rw-r--r-- 1 nginx nginx 718 Aug 18 10:56 laravel-fpm-fcgi-2017-08-18.log

cron 은 root 에서 실행되나 user shell 에서 Laravel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경우 root 에 의해 log 가 생성되었다면 다음과 같이 permission 을 변경해서 생성해야한다. Post 참조

bootstrap/app.php
$app->configureMonologUsing(function(Monolog\Logger $monolog) {
$filename = storage_path('/logs/laravel-' . php_sapi_name() . '.log');
// 5번째 파라미터로 666 권한을 넘긴다.
$handler = new Monolog\Handler\RotatingFileHandler($filename, 0, \Monolog\Logger::DEBUG, true, 0666);
$monolog->pushHandler($handler);
});

RotatingFileHandler 의 Parameter 는 여기를 참조하자. 666 으로 생성 시엔 굳이 php_sapi_name()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rw 권한이 모두에게 있으니까)

setfacl

다른 해결 방법으로는 ACL 을 수정해 logs 폴더 자체를 해당 user:group 이 편집할 수 있게 처리하면 된다.

$ pwd
/public_html/storage/logs

$ setfacl -d -m u:nginx:rwx .

$ getfacl .
default:user:nginx:rwx

# 삭제
$ setfacl -d -x u:nginx .

여담

Laravel 프로젝트 시작시 bootstrap/app.php 안에 로그를 분기 로직을 넣고 개발하는 게 좋아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