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QC, 양자내성암호
· 6 min read
양자내성암호 개요
- 양자 컴퓨터의 발전으로 기존 암호화 방식이 깨질 가능성에 대비하여 설계된 암호화 기술
- 데이터 보안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조직의 민감한 정보 보호와 미래의 사이버 위협 대비 필수
양자내성암호 개념도, 유형, 활용방안
양자내성암호 개념도
- 기존 인터넷 인프라(TLS/SSL)와 호환되도록 설계되어 도입이 용이
양자내성암호 유형
유형 | 설명 | 특징 |
---|---|---|
격자 기반 암호 (Lattice-based Cryptography) | 격자 문제(예: SVP, CVP)를 기반으로 한 암호화 방식 | 강력한 보안성과 다양한 응용 가능성 |
코드 기반 암 호 (Code-based Cryptography) | 오류 정정 코드를 활용한 암호 방식 | 오래된 이론적 기반과 높은 내구성 제공 |
다변량 다항식 암호 (Multivariate Polynomial Cryptography) | 다변량 다항식 방정식을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 | 경량 기기 적용 가능, 계산 효율성 우수 |
해시 기반 암호 (Hash-based Cryptography) | 암호화에 해시 함수와 그 변형을 사용하는 방식 | 간단하고 안정적인 보안, 디지털 서명에 주로 사용 |
아이소제니 기반 암호 (Isogeny-based Cryptography) | 타원 곡선 간의 아이소제니(동형사상)를 이용한 방식 | 키 크기가 작아 리소스 효율적이며, 타원 곡선 문제에 기반 |
양자내성암호 활용방안
구분 | 활용 방안 | 기대 효과 |
---|---|---|
미래 대비 시스템 보호 | 민감한 금융 데이터를 양자 컴퓨팅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유지 | 금융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고 장기적 신뢰성 확보 |
지적 재산권 보호 | 경쟁자와 해커가 암호화된 기밀 정보를 해독하지 못하도록 보호 |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지적 재산권 및 기밀 정보 보호 |
운영 데이터 보호 | 암호화된 메시지, 계약, 운영 데이터를 양자 컴퓨팅 기반 공격으로부터 차단 | 데이터 가로채기 및 해독 방지로 조직의 데이터 무결성 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