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한비자

· 13 min read

좀 더 일찍 알고, 일찍 읽었으면 좋았을 걸.

지시

  • 명령: 의도와 임무가 모두 명시
  • 훈령: 의도는 명시되나 부하의 임무가 명시되지 않은 지시
  • 호령: 의도나 노림, 목적을 밝히지 않고 부하에게 임무만을 전하는 지시

정확한 호령을 내려 잠재능력을 발휘하게 한다.

명군의 도

  • 지혜로운 신하에게 그 지혜를 발휘하게 하고, 자신은 그에 따라 매사를 판단하는 것

인망과 인덕

  • 인망있는 자는 결코 자신을 상대에게 의도적으로 맞춰가지 않는다.
  • 신뢰를 보낼 수 있는 사람이다.
  • 인망은 인덕에서 생긴다.
  • 덕은 외롭지 않다. 주위로부터 초연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경원하게 되어 외로울 때가 있으나, 반드시 그를 돕는 사람이 나오기에 고립되는 일이 없다.
  • 성인의 덕은 감화시키는 데 있다.

인간상

  • 요직에 기용할 인재는 뛰어난 능력이 있으나 욕심은 없는 사람
  • 두번째는 능력도 없고 의욕도 없는 사람
  • 마지막이 능력도 있고 욕심도 있는 사람

덕장

  • 리더가 부하들을 따듯하고 세심하게 포용하면서 능력을 발휘하게끔 한다.
  • 사람들이 기만당하게 되는 많은 부분은 자신이 잘 아는 분야에서 전문가인 것을 자만하다가 오히려 확인을 섣불리 한다.
  • 리더는 사소한 문제까지 까다롭게 따지는 전문가가 될 필요가 전혀 없다.
  • 대국적 견지에서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리더는 토양과 같은 존재다. 부하를 키울 만큼의 자양분이 있을 때라야 부하가 건전하게 자라난다.

의견수렴

  • 잘 경청하고, 업적을 조사하여 검토한다.
  • 경청하고 중지(衆志)를 모아야한다.

팔간(八姦)

8가지 악행

  • 동상(同床)
    • 군주와 잠자리를 같이하는 자를 이용하는 것
  • 재방(在旁)
    • 측근을 이용하는 것
  • 부형(父兄)
    • 친인척 관계를 활용하는 것
  • 양앙(養殃)
    • 군주에게 닥친 재앙을 기회로 설득하는 것
  • 민맹(民萌)
    • 아첨이나 여흥으로 기분을 좋게 만드는 것
  • 유행(流行)
    • 유창한 웅변을 활용하는 것
  • 위강(威强)
    • 권력, 세력을 활용하는 것
  • 사방(四方)
    • 주변 외국의 힘을 활용하는 것

팔간을 이겨낼 수 있을 정수(精髓)를 찾는 일

십과(十過)

명심해야할 열가지 잘못

  • 작은 충의에 얽매이는 것은 큰 충의의 적이다.
  • 작은 이익을 탐하다가 더 큰 이익을 잃게된다.
  • 행실이 한쪽으로 치우치거나 제 마음대로 행동하고 제후들에게 건방진 태도로 일관한다면 패가망신한다.
  • 정치에 귀를 기울이지 않고 풍악만을 즐기면 언젠가는 막다른 골목에 이르러 자멸한다.
  • 탐욕과 고집으로 이익만을 추구하면 나라를 망치고 제 목숨도 잃게 된다.
  • 음락에 빠져 정치를 돌아보지 않으면 나라를 망치는 재앙이 된다.
  • 내정을 멀리하고 밖으로 놀러다니거나 간언하는 사람을 소홀히 여기면 자멸에 위기에 빠진다.
  • 정치를 그르치면서도 충신의 간언을 듣지 않고 제 고집대로 자행하면 조롱감이 된다.
  • 정치를 고려함이 없이 자국의 힘을 믿지 않고 외국 제후들에게 의존하기만 해서는 나라를 침탈당한다.
  • 나라가 작은데도 예를 지키지 아니하고 충신의 간언을 듣지 않아서는 머지않아 시대에 뒤쳐저 멸망한다.

대국관

  • 부분이 아니고 전체를 보는 눈

길흉화복

  • 부유해지면 지위가 높아지고, 의식주가 화려해지고, 오만해지고 방심하게 된다.
  • 재앙은 원래 행복에서 비롯되고, 복 안에는 처음부터 재앙이 깃들어있다.

집념

  • 의심만 한다면 길은 있을 수 없다.
  • 발을 내딛으면 발이 길을 만들어준다.
  • 가면 절로 알게 된다.
  • 그림을 그려가고 반드시 내 것으로 만든다.
  • 목적을 달성한다는 확신을 지속해서 갖고 간다. 이 것이 집념이다.

자신

  • 자기 자신에 대한 신앙

혁신

  • 여태할 수 없었던 것을 오늘부터 되도록 하는 것

  • 넉넉하게 남는 것으로 모자라는 부분을 보충하고 장점을 단점으로 잇는 것
  • 반석을 닦으면 집이 무너질 일이 없고, 준비가 제대로 되면 기회가 왔을 때 놓치지 않고 붙잡을 수 있다.

겸허함

  • 혼자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에서부터 오만함이 비롯된다.
  • 혼자할 배짱과 각오를 갖고 있으나 경외하고 두려워하는 마음을 동시에 갖는 것이 겸허함이다.
  • 인재는 무서움을 아는 사람
  • 무서움을 머리로서가 아니라 몸에 배도록 알고 있는 것이 겸허함이다.

안술유칠(安術有七)

나라를 평안하게 하는 방법

  • 상벌을 잘잘못에 따라 확실히 시행하는 것
  • 화와 복은 선과 악에 따르게 해야 하는 것
  • 죽이고 살리는 것은 법에 따라 행하는 것
  • 사람을 판단할 때는 현명한지 불초한지를 따져야지 그 판단에 애증이 개입되면 안 되는 것
  • 사람을 판단할 떄는 그가 어리석은 자인지 지혜로운 자인지 실증에 따를 뿐 남의 비방이나 칭찬에 이끌려서는 안 됩니다.
  • 일정한 법도가 있어야 하는 것으로 마음대로 처리해선 안 되는 것
  • 신의가 있고 속임수가 없어야 하는 것

위도유륙(危道有六)

나라를 위태롭게 하는 길

  • 법을 안으로 굽혀 새끼줄에 얽매어 놓은 채 일을 처리하는 것
  • 법의 테두리 밖에서 재단하는 것
  • 남에게 해를 입히고 이득을 취하는 것
  • 남의 재앙을 즐기는 것
  • 편안하게 잘 있는 사람을 위태롭게 하는 것
  • 사랑해야 할 사람을 가까이하지 않고 미워해야 할 자를 멀리하지 않는 것

견마최난(犬馬最難), 귀매최이(鬼魅易之)

  • 그림을 그리더라도 누구나 다 알고 있는 것이 더 그리기 어렵다.

정보

  • 정보에는 목숨이 걸려있다.
  • 모든 것은 정보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당사자 책임이다.

분별

  • 남에게 의존하기보다는 자신을 믿어야하며, 남이 무엇을 해주길 바라기보다 자기 일은 자기가 스스로 해야한다.

보수

  • 농사일은 고되지만 백성이 이를 행하는 이유는 농경 일을 함으로써 부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 전쟁은 위험하지만 백성이 이를 행하는 이유는 높은 신분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진인능(盡人能)

  • 군주는 권력의 핵심만 잡고 있으면 된다. 신하에게 맡겨도 될 일까지 직접 하려고 하면 피곤하기만 할 뿐이다.
  • 삼류 군주는 자신의 능력을 이용하고, 이류 군주는 남의 힘을 이용하며, 일류 군주는 남의 능력을 이용한다.

통솔

  • 군주가 자신의 권한을 신하에게 넘기면 백성들은 신하를 두려워하고 군주를 얕잡아본다.
  • 형명참동: 부하의 보고를 바탕으로 일을 맡겨 보고와 성과가 일치한 자에게 상을 주고 그렇지 않은 자에게는 벌을 준다.
  • 부하에게 좋고 싫은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다.
  • 가끔 부하에게 예기치 못한 질문을 한다.

자멸

  • 자리를 유지하려면 권력을 틀어잡고 절대 다른 이에게 맡긴다.
  • 사사로운 일에 집착한다.
  • 쾌락에 빠진다.
  • 본거지를 비워둔다.
  • 충신의 의견을 듣지 않는다.
  • 다른 사람의 힘에 의지한다.
  • 힘이 없으면서 예의조차 없다.

의견 제시

  • 상대가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일은 칭찬하고, 수치스럽게 생각하는 일은 덮어둔다.
  • 남에게 피해를 줄까 행동을 주저하는 사람에게는 대의명분을 주어 자신감을 갖게한다.
  • 하찮은 일이라고 생각하면서도 그만두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해가 되지 않으므로 그만두지 않아도 된다고 안심시킨다.
  • 높은 이상 때문에 힘겨워하는 사람에게는 이상이 그에게 부적합하다고 지적하고 실행하지 않는 편이 좋다고 설득한다.
  • 위험한 사업을 중지하도록 간청할 때는 명예가 걸린 문제라고 조언하고 지도자 자신에게 이익이 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이익

  • 인간은 이익을 좇아 움직이는 동물이다. 인간의 마음을 움직이는 동기는 애정도 아니고 배려심도 아니다. 의리도 인정도 아니며 오로지 이익뿐이다.
  • 어부는 맨손으로 뱀장어를 잡고, 여자는 맨손으로 누에를 잡는다. 이익이 된다고 판단되면 누구든 용감해진다.
  • 수레를 만드는 사람은 모든 사람들이 부자가 되길 바라고, 관을 만드는 사람은 빨리 죽기를 원한다.

불신

  • 성문법은 모두 인간 불신에서 기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