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건너뛰기

yarn 에서 pnpm 으로 마이그레이션

· 약 3분

개요

  • Yarn berry 가 최고라고 유행이 돌았다.
  • 써본 결과 문제가 상당히 많았고, 결국 pnpm 을 선택하는 이유이다.

문제점

zipfs

  • 패키지를 모두 저장하고 디프도 모두 기록된다. 레파지토리 사이즈를 올리는 주범이다. 1GB 미만으로 이미지 관리가 어렵다.
  • typescript 가 올라가는 경우 yarn berry 버전을 올려줘야한다. 타입스크립트의 최신 문법을 바로 사용하고 싶으나 따라갈 수가 없다.
  • typescript, eslint, prettier 를 올릴 때마다 yarn dlx @yarnpkg/sdks vscode로 실행스크립트를 업데이트 해줘야한다.
  • 20명 이상의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붙어야하는 프로젝트에서는 이를 일일히 강제하기가 어렵다.
  • 패키지 내부 소스를 잠깐 수정해서 테스트해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opensource

  • turbo 와 같은 모노레포 툴과, prism 과 같이 postinstall 훅이 걸려있거나, create-* 과 같이 프리셋을 구성하는 환경은 node_modules 를 직접 참조한다.
  • 실행조차 안 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러면 각 레포의 열려있는 이슈를 기다려야한다. yarn berry 의 pnp 스크립트를 분석하려고 쓰는건 아니니까.
  • 이럴 경우 nodeLinker를 주고 yarn 1 버전을 쓸 때와 똑같이 사용을 해야하는데, 아무런 어드밴티지가 없다.

workspaces

  • yarn workspaces 기능은 멋지고 yarnpkg/berry 에 그 완벽한 예시가 있다.
  • 그러나 node.js 라이브러리만을 개발할 때만 멋지다. 프론트엔드용 라이브러리는 번들러가 필요한데 그 레퍼런스가 없다.

벤치마크

  • 벤치마크 성적은 데일리로 Pnpm 에서 관리한다.
  • 파이프라인 캐시랑 락 파일 켜면 감수할만한 느림이다. 일회성 느림이지 요청/응답에 대한 느림이 아니니까 어차피 프로브로 처리 가능하다.

https://pnpm.io/benchmarks

결론

  • yarn berry 의 플러그인 기능들은 멋지지만, 의존성관리에 스트레스가 더 쌓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