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저기 흩어져있는 전세자금 대출 정보를 하나로 모으고 싶었다. 필요한 서류도 엄청나고, 준비할 것도 많은데 다들 자기 할말만하고 끝나는 느낌이였다. 집 구하는 걸 무서워하지 말고 한 단계씩 실행해보자. 중고나라인데 집을 사는 것 뿐이다.
먼저 회사에 요청해 원천징수영수증과 재직증명서를 발급받는다. 둘 다 직인이 찍혀있는 서류여야한다.
원천징수영수증에 연봉이 3500만 이하면서 중소기업에 취업중이면 어마어마한 저리(低利)로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이 조건에 들 경우,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
대출을 받을 수 있는데 된다면 무조건 대출받아야한다.
조건이 안 되면 차선책으로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이 있다.
중소기업 여부는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법인 번호는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주소 확인
어차피 문 밖의 전단지 매물은 허위매물이니 부동산에 들어가 다음과 같이 말한다.
전세집을 찾고 있고, 어느정도의 금액을 생각하고 있다. 대출 한도를 확인하려하니 주소를 하나 알려주시오.
그럼 공실클럽 이란 중개업자용 직방 웹에서 매물을 찾아서 보여주고 주소를 알려줄 것이다. 안 보여준다면 주소만 하나 알아오면 된다. 혹시 부동산과 연결되어있는 은행이 있는지 확인하고 나온다.
불친절하다면 다음에 온다고 말하고 바로 나오자 시간 아깝다. 어차피 원룸촌이라면 그 지역 매물 다 거기서 거기이다.
근린시설, 다중주택, 다세대주택이 아닌지를 꼭 확인한다. 대출이 안 나올 수 있다.
대출 한도 확인
주거래 은행이 아니여도 상관없다. 월급 통장이 있는 은행일 경우 빠른 처리가 가능하고, 우리은행이 주택도시기금의 주 거래은행이라 빠른 서류처리가 된다. 부동산에서 추천한 은행이 제일 좋긴하다.
은행에 가서 대출상담창구로 간 뒤 전세자금 대출을 한도 확인하러 왔다고 말한 뒤
원천징수영수증과 재직증명서, 그리고 주소를 준다.
원천징수영수증 + 재직증명서 + 주소 <=> 한도
로 교환한다고 보면 된다.
나의 한도를 확인하고 다시 부동산에 방을 보러간다.
방 확인
전세자금대출이 가능하며, 버팀목 대출일 경우 미리 전입신고가 가능한 방만 보여달라고 한다. 한도에 맞는 방을 보고, 중개업자와 함께 돌아다닌다. 사진보다 실물로 봐야 훨씬 방이 크니 꼭 그 집에 가보자.
내가 생각하는 집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 낑긴 층
- 창문 및 결로현상 확인
- 가벽 여부 확인
- 온수 확인
- 수압 및 물샘 확인
- 에어컨, 인덕션, 세탁기, 냉장고, 전자레인지 옵션 확인
- 가스, 수도, 전기가 개별요금인지 확인
- 집 냄새 확인
- 장판 및 벽지 들추고 곰팡이 확인
- 엘리베이터 확인
최소 5군데 이상은 돌아보자. 2년 살 집이다.
계약서 작성
집을 선택하고 건물주의 등기부등본을 확인한다. 이건 건물주가 빚이 얼마나 있는지, 실제 판매하면 얼마정도로 가격을 받을 수 있는지가 나오며 내 전세자금이 안전할 수 있는지에 대한거라 꼭 확인이 필요하다.
그리고 부동산이 보증보험증권에 가입되어있는지도 확인한다.
마음에 드는 집이 있다면 전세가격의 5% 를 계약금으로 걸고, 계약서를 쓴다. 대출이 생각보다 길어질 수 있으므로 넉넉하게 3주 이상으로 잡자.